[ENG/신기한 과학나라 FULL ver] 양자역학을 이해한 사람은 아무도 없어요^^ 드디어 심화반 수업 ! | 금요일 금요일 밤에 Friday Joy Package EP.9

Sdílet
Vložit
  • čas přidán 1. 04. 2020
  • [Amazing Science Wonderland] Nobody in the world understands quantum mechanics. Finally, they get into the advanced class!
    10인 6코너 옴니버스 예능 <금요일 금요일 밤에>
    매주 (금) 밤 9시 10분 tvN
    #은지원 #장도연 #송민호 #김상욱 #신기한과학나라
    ★금금밤 소식은 여기서 @fridayjoypackage
    ☞ bit.ly/39zaFL9
    ------------------------------------------------------------------
    ▶[금요일 금요일 밤에] 최신 클립 다시보기 : www.tving.com/smr/vod/player/P...
    ------------------------------------------------------------------
  • Zábava

Komentáře • 3,9K

  • @ggokd
    @ggokd Před 4 lety +6689

    이 프로그램 취지도 좋고 파급력도 좋고 하니까 팍팍 밀어서 정규 편성 해줬으면 좋겠어요.
    개인적으로 과학을 정말 좋아하는 사람인데 과학=재미없고 어렵고 편협하다 라는 편견이 깔려있어서 일반 대중들이 과학을 기피하는 현상이 있거든요.
    그 결과 나타나는 사회 부작용이 미신을 믿는 사람이 늘어난다거나 미국같은 경우 지구 평평론 같은게 힘을 얻는다거나 ㅠㅠ.. 하는 일들로 다가왔죠.
    처음에는 무시했던 이 부작용들이 점점 사회비용으로 나타나는 현실을 우리 주변에서 실감하고 있잖아요?
    김상욱 교수님 처럼 말씀 재밌게 하시는 교수님도 적극적으로 채용하고 예능 방송의 제작력과 대중친화성만 더해진다면 우리 사회에 미신을 흔들리게 하는데 도움이 될거라고 생각해요.
    왜 우스개소리로 빨간 펜으로 이름 쓰면 죽는다거나 혈액형 성격론이나 하는 얘기는 쉽게 믿으면서 막상 중력이 어떻고 양자역학이 어떻고 하는 얘기는 쉽게 믿지 못하는
    현대의 어른들을 위해 추가적인 2차 미디어 교육이랄까.. 그런 효과가 있는 것 같아요.
    또 그런 어른들을 보고 자라는 아이들을 위해서도 이런 프로그램 꼭 필요하고 되도록이면 이런 과학 프로그램이 많아졌으면 좋겠어요.
    그리고 사짜과학(무슨 원적외선이 나오는 드라이기니 음이온이 나오는 팔찌니)들을 제대로 짚고 몰아낼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생각합니다.
    나피디님 정도 되는 힘 있는 창작자분들이 재미있는 과학. 쉽게 다다갈 수 있는 과학을 위해서 힘내주세요!! ㅠㅠ 정말 잘 보고 있고 매번 좋아요도 꼬박꼬박 누르고 있어요.

    • @user-xi4bt5kw6z
      @user-xi4bt5kw6z Před 4 lety +107

      아 진짜 이거 백번 공감합니다ㅠㅠㅠㅠ

    • @user-ou4dd2mi1i
      @user-ou4dd2mi1i Před 4 lety +40

      아 정말로요ㅠㅠㅠ

    • @wskim5163
      @wskim5163 Před 4 lety +54

      매우 공감합니다. 말씀대로 실현이 된다면 더할 나위 없이 좋겠지만, 지금 당장 이 부분에 대한 갈증이 있는 분들께는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이라는 팟캐스트를 추천하고 싶습니다. 과학뿐 만 아니라 철학, 경제, 종교, 윤리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해 다루고 있는데, 정말 재밌습니다.

    • @ggokd
      @ggokd Před 4 lety +70

      앗 생각보다 많은 의견들이 달렸는데 저도 도움이 될까 하고 추가 댓글더 달아봅니다! 저 무슨 돈받고 하는 알바 아니고 김상욱 교수님 서브 계정도 아니고 ㅋㅋㅌㅋㅇ

    • @user-pp6dm8cl5r
      @user-pp6dm8cl5r Před 4 lety +28

      맞아요 저도 어리지만 과학 엄청 재미있게 공부하고 있는데 이 방송 엄청 좋다고 생각했어요 특히 양자역학은 제가 정말 좋아하는 파트인데 책으로 보려 하면 너무 어럽게 나와서 이해하기 힘들었거든요 이런 방송 많이많이 나와서 대중화되었으면 좋겠어요 과학이 정말 재미있는 학문인데 모두가 알았으면 좋겠네요

  • @mousecat4696
    @mousecat4696 Před 3 lety +5657

    물리과 대학원생인데 은지원씨 질문들이 생각을 많이 하게 해주고.. 좋아요.. 논문은 저런 가능성을 염두에 둔 질문들에서 나오거든요

    • @이론적
      @이론적 Před 3 lety +1701

      어쩌다 대학원을...

    • @user-zv4pk8hf8o
      @user-zv4pk8hf8o Před 3 lety +634

      몽골사람들은 원자를 볼수있다는것도 논문낼수있나요?

    • @ffff-hw7og
      @ffff-hw7og Před 3 lety +630

      ᄋᄂᄀ 쌉가능이지 새끼야 나도 가끔보는데

    • @_sheli648
      @_sheli648 Před 3 lety +579

      @@user-zv4pk8hf8o보이셔야 되는데 .. 안과 가보세요!

    • @sllaalal8114
      @sllaalal8114 Před 3 lety +63

      @@_sheli648 ㄹㅇ...

  • @Kim-pj9ln
    @Kim-pj9ln Před 3 lety +2083

    어물전 망신은 개망신과
    이중 슬릿을 동시에 하는 송민호가 제일 신기해

    • @user-jd9qx1or6e
      @user-jd9qx1or6e Před 3 lety +14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jz2wb8tj7j
      @user-jz2wb8tj7j Před 3 lety +10

      ㄹㅇㅋㅋㅋㅋㅋㅋ

    • @dssasd4157
      @dssasd4157 Před 3 lety +260

      사실 중첩되있습니다

    • @tjdbs9090
      @tjdbs9090 Před 3 lety +5

      @@dssasd4157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ing_namespace
      @using_namespace Před 3 lety +96

      @@dssasd4157 나PD가 문제를 내서 관측하면 하나의 상태로 고정이 되나요

  • @yeahz1108
    @yeahz1108 Před 3 lety +2204

    3:14 ㅋㅋㅋㅋㅋ은지원 농담에 진지하게 받는 이과 선생님ㅋㅋ "먹고 또 사오는 거겠죠" ㅋㅋㅋㅋㅋㅋㅋㅋㅋ

    • @justiceleague206
      @justiceleague206 Před 3 lety +509

      이과특성 나오죠. 강박적 증명중...

    • @henrychoi6305
      @henrychoi6305 Před 3 lety +19

      @@justiceleague206 강방적ㅋㅋㅋㅋ

    • @Kiwi-lc4mt
      @Kiwi-lc4mt Před 3 lety +131

      이과 앞에선 농담하면 안됌

    • @user-hd4ku6ou4h
      @user-hd4ku6ou4h Před 3 lety +131

      @@justiceleague206 습관성 증명 증후군 ㅋㅋㅋㅋ

    • @happiness4560
      @happiness4560 Před 3 lety +70

      아 자연스럽게 답하시니까 웃거쥭겠네

  • @godha_7388
    @godha_7388 Před 4 lety +6984

    어디서 본건데
    딸이 공부하는걸 지켜보지 않으면 책상, 티비 앞, 냉장고 등에서 발견되지만
    공부하는걸 지켜보면 책상에서만 발견된다.
    완전 양자역학 아니냐고ㅋㅋㅋㅋㅋ

    • @user-yk2db7kw2e
      @user-yk2db7kw2e Před 4 lety +1987

      자식 위치의 불확정성 원리

    • @DG_Seo
      @DG_Seo Před 4 lety +1715

      딸 또한 파동이다 부모가 지켜보기 직전까지는.

    • @user-no6px1fk4q
      @user-no6px1fk4q Před 4 lety +635

      실제로도 모든 물질은 관측하기전까진 파동이기에 딸도 파동이라는ㅋㅋ

    • @milchholstein884
      @milchholstein884 Před 4 lety +270

      부모님을 닮았으면 그 딸은 공부를 잘하겠는데요

    • @user-sf8hu2uk6g
      @user-sf8hu2uk6g Před 4 lety +39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stae1234
    @stae1234 Před 4 lety +2618

    연구실에서 일할때 은지원 같은사람이 제일 부러웠는데....
    어떻게 저런 생각을 하는지도 궁금하고,
    희안한 발상을 가지고 실험을 하면 논문 뚝딱 나오고...

    • @user-xe3vr7jl5j
      @user-xe3vr7jl5j Před 4 lety +595

      저도 바로 감탄함..ㅋㅋ
      순간적으로 주체와 대상의 편견에서
      바로 원인을 대상으로 바꿔보는..
      사고가 진짜 자유로움

    • @user-pe6gm1cp9h
      @user-pe6gm1cp9h Před 4 lety +28

      희안x 희한o

    • @user-hb2np9hr2b
      @user-hb2np9hr2b Před 4 lety +46

      @@user-up2rg4jg6n ㅇㅇ원자는 다시 쿼크로 나뉨 최소 입자가 아님

    • @user-yg6xt2nm1s
      @user-yg6xt2nm1s Před 3 lety +69

      @@user-up2rg4jg6n 그건 당연한거고

    • @bbori_nunna
      @bbori_nunna Před 3 lety

      @@user-yg6xt2nm1s ㅋㅋㅋㅋㅋㅋㅋㅋㅋ

  • @gogichoi
    @gogichoi Před 3 lety +2694

    민호 찐텐으로 좋아하는거 보인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과학 얘기 가사로 나오는거 아닌가 싶네

  • @druid_king
    @druid_king Před 3 lety +1650

    06:25 여기서 은지원이 생각한 전자가 쪼개진다는 가설도 사실 맨 처음 저 실험을 할 당시에 제시된 가설 중에 유력했던 가설이었음.

    • @user-mv7rb6vf8e
      @user-mv7rb6vf8e Před 3 lety +60

      오오,,좋은 가설이었네요,,,

    • @user-whysoserious
      @user-whysoserious Před 3 lety +7

      이건 솔직히 유치원생도 낼법한 생각아니노

    • @Fxxkingsexyguy
      @Fxxkingsexyguy Před 3 lety +93

      @@user-whysoserious 지금 그렇게 생각 하는것이 지금의 우리 과학 수준으로 봤을때 그때의 물리학은 지금의 유치원 수준이였다는거죠 결코 그 가설이 그때는 무시 받을 만한 가설이 아니였으니깐 유력하게 나온거 아닐까요?

    • @blcklst_
      @blcklst_ Před 3 lety +24

      @@user-whysoserious 이 또한 양자역학이죠
      추측이 제시된 다음에는 이미 그 추측이 관측되었으니 있을법한 아이디어
      추측이 제시되기 전까진 알 수 없는 영역이므로 존재하지 않는 아이디어

    • @awesome8137
      @awesome8137 Před 3 lety +1

      전자가 쪼개지는게 전자냐? 전자가 아닌거지. 전자는 쪼갤 수 없는 가장 작은 단위인데. 자기 모순... 뭔 전자가 쪼개져. ㅉ

  • @user-py6pg5zq7y
    @user-py6pg5zq7y Před 4 lety +4164

    좋은 프로 같은데 정규방송에선 시청률 안나와서 못할거 같고
    유튜브 전용 채널로 만들면 좋을거 같아요 과학 너무 재밌습니다

    • @user-fn2qj9se7m
      @user-fn2qj9se7m Před 4 lety +161

      정규방송에서 이미 하고있습니다... 유튜브처럼 단편이 여러개 나오는식으로...
      나영석PD는 천재같아요

    • @user-oh1gq2jw1g
      @user-oh1gq2jw1g Před 4 lety +123

      @@user-fn2qj9se7m 그리고 정말로 시청률이 안나왔죠...

    • @GloomySlave
      @GloomySlave Před 4 lety +84

      @@user-oh1gq2jw1g 금금밤에 3.3퍼로 나름 선방했네요

    • @user-yp7ml5pd8r
      @user-yp7ml5pd8r Před 4 lety +81

      @@GloomySlave 뭐야 안나왔다면서 나름 괜찮게 나왔는데

    • @user-el8dz9zc5s
      @user-el8dz9zc5s Před 4 lety +37

      케이블에서 3.3이면 ..MKS 로치면 10은 나온거 아닌가 요즘은 뭐..케이블이 더재밋지만,,,

  • @haru-lx9uw
    @haru-lx9uw Před 4 lety +605

    꼭 과학나라랑 미술나라 다시 해주세요ㅠㅠ

  • @user-yr8bm5zw7m
    @user-yr8bm5zw7m Před 3 lety +140

    사실 물체의 위치를 모른다면 이중슬릿의 위치도 불안정하고 몰라야한다.. 그래서 이중슬릿은 흔들리고 있는것이다.. 이것도 되게 신선한데요 ? 은지원 천재네...

  • @user-tp8nk3bm4w
    @user-tp8nk3bm4w Před 3 lety +53

    은지원 머리 좋다. 저런 여러가지 의심을 순간적으로 쏟아내는게

    • @tooyoungtodie57
      @tooyoungtodie57 Před 2 lety +1

      약간 하하랑 비슷한 느낌ㅋㅋㅋ머리는 좋은게 배움이 부족해 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xh5ht3cy5k
    @user-xh5ht3cy5k Před 3 lety +4394

    은지원 질문하는게 어휘가 고급지지 않아서 그렇지 굉장히 과학적인 질문임 실제로 양자역학에 대해 논했을 때 은지원이 말했던걸 다 연구해봤었음
    저 질문이 이상하다고 비난하는 사람들은 과정을 무시하고 결과만 외운 주입식 교육에 길들여져서 그런거지

    • @ascpisces
      @ascpisces Před 3 lety +102

      꼴값 떨고 있네

    • @Boo-jh3lg
      @Boo-jh3lg Před 3 lety +217

      박진우 아니 ㅋㅋㅋㅋ은지원이 과학잔가? 예능이잖아요 똑똑한 척 하고있네

    • @o.o_m
      @o.o_m Před 3 lety +387

      @@annoy5502 할 수 도 있죠. 전자가 더 이상 쪼개지지 않는다는 게 틀렸을 수도 있으니까

    • @user-yg1kw6xv4q
      @user-yg1kw6xv4q Před 3 lety +633

      왜 댓글이 욕이지 은지원씨 질문들이 과학적 상식이 없는상태지만 충분히 창의적인 사고로 질문을 하니까 놀랍다는거고 단순히 무시하기엔 좋은질문이 많다는건데

    • @user-yg1kw6xv4q
      @user-yg1kw6xv4q Před 3 lety +486

      공부를 하면 할수록 선입관이 생기고 사고가 나의 지식때문에 단조로워지는데.. 진짜 저런 창의력을 잃지않고 지식을 얻어야 새로운걸 발견하지 않을까요

  • @user-og3lc2wf8j
    @user-og3lc2wf8j Před 4 lety +456

    어벤져스가 따로 없네.. 저 사진 너무 멋지다.. 저 과학자들이 한 국가의 과학자들도 아니고 어떻게 저렇게 모일 수 있는거지 ㅋㅋ

    • @user-rb5dk6hg3m
      @user-rb5dk6hg3m Před 4 lety +10

      12:47

    • @hijklmnopqr
      @hijklmnopqr Před 4 lety

      과학자 모이라고 한거니까?

    • @user-sx6fw8fb5t
      @user-sx6fw8fb5t Před 4 lety +2

      전 레알 갈라티코1기가 떠올랐어요;ㅋ

    • @seojintvasd
      @seojintvasd Před 4 lety +4

      인터넷이 없었으니 서로 교류하고 이해시키려면 만나서 몇날 몇일 함께해야할 듯

    • @rlaqhtp
      @rlaqhtp Před 4 lety

      학회긴 학횐데.... 저 정도면 100년에 한 번 열릴까 말까하는 급으로 보이는데요

  • @mallangduck1
    @mallangduck1 Před 3 lety +330

    과학을 좋아하는사람들은 다들 이해할거다 민호가 왜 이렇게 기분이좋아보이는지..
    나는 과학이 너무 재미있고 신비롭고 좋아서 주변사람들한테도 이 기쁨을 알려주고싶은데
    얘기꺼내고 5초만지나도 벌써 짜증나고 지루해하는게 눈에 보이니..
    그런대 우리나라 과학계 슈퍼스타가 자신앞에서 자기가 좋아하는 과학을 같이 즐거워해주니 당연히 좋을수밖에..
    내 꿈이있다면 딱 한가지. 세상 모든사람들이 과학에 흥미를 느끼는거.. 그렇다면 아마 인류는 훨씬더 빠른 문명의진화가 있을테니..

    • @user-pd8wl2cq6i
      @user-pd8wl2cq6i Před 3 lety

      @@yee1273 꿈이라잖아요ㅋㅋ 그냥 그랬으면 좋겠다.. 라는 희망에 왜 굳이 태클을 거세요ㅎㅋ

    • @yee1273
      @yee1273 Před 3 lety +1

      @@user-pd8wl2cq6i 모든꿈이 다 옳은것은 아닙니다

    • @pianory123
      @pianory123 Před 3 lety +10

      @@yee1273 글쎄요. 세상 사람들이 과학에 흥미를 느끼게 된다는 건 국가 또한 그 과학적 지원을 늘린다는 것으로 이어질 수 있지 않을까요?
      꿈이 옳지 않은 게 아니라, 꿈이 다소 실현 가능성이 낮을 뿐 타인과 인류의 발전을 위한 꿈은 옳지 않은 것이 없습니다.

    • @yee1273
      @yee1273 Před 3 lety +1

      @@pianory123 과학을 싫어하는사람들에게도 과학을좋아하라고 강요하는꼴이되버리는게 아닐까요? 역으로 당신이 싫다고 느끼는 것을 좋아하라고 강요하면좋을까요?

    • @pianory123
      @pianory123 Před 3 lety +12

      @@yee1273 흥미를 느낀다는 거랑 좋아하는 건 동치가 아닙니다. 애초에 과학을 싫어하게 된 이유부터 생각해보고, 과학이 재미없다는 생각보다는 재미가 있다는 생각을 교육으로써 길러주는 거죠.
      애초에 이분의 꿈이 "과학을 싫어하는 사람들을 강제로 좋아하게 만들자"인가요? 그렇게 느낀다면 과하게 꼬인 시선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모든 사람이 과학에 흥미를 느낄 수 있게 하자는 것, 당장 이것이 전세계 교육의 목표입니다. 모든 사람이 공부에 흥미를 느낄 수 있게 하자는 게요.
      전세계가 틀린 건가요?

  • @cagecorndrawings7818
    @cagecorndrawings7818 Před 3 lety +3188

    교수님 속마음: 어 은지원씨 재미있는 소리하네? 어 토론해보고 싶네? 어 근데 지금 방송중이네? 어 그리고 은지원씨는 어차피 양자역학이 뭔지 모르네? 어 누가 대학원생좀 불러와라?

  • @starcall7
    @starcall7 Před 4 lety +701

    은지원이 아무 말이나 하는 것 같지만 저런 스스로 풀려고 하는 창의적 생각이 대한민국에서 가장 필요한 게 아닌가 싶음

    • @motivator3483
      @motivator3483 Před 4 lety +71

      ㅇㅇ동의 하는발언마다 창의적인데..?
      인위적으로 쏴서 달라진거다. 라는 말도 거의 정답에 가까운 발상 아닌가? 결국
      관측해서 답이 달라진거잖아.

    • @kcwg
      @kcwg Před 4 lety +9

      집중 졸라안되는데 은지원때매 ㅡㅡ 개노잼인데 지혼자 웃긴줄아나봄

    • @lllililiil9926
      @lllililiil9926 Před 4 lety +58

      이해를 못하니 집중이 안되지ㅋ

    • @kkjj9409
      @kkjj9409 Před 4 lety +16

      완전공감ㅋㅋㅋ 우리나라에서 젤 필요한 부분임

    • @user-nw8cw5gm1v
      @user-nw8cw5gm1v Před 4 lety +11

      삼성전자드립이 참신하고 창의적인 질뮨이냐
      그냥 몰입 방해하는 병신일뿐이다

  • @user-pe1lm1gp8u
    @user-pe1lm1gp8u Před 4 lety +819

    과학이랑 철학은 결국 끝에가서 서로 만나게 돼있음
    시작을 같이했듯이

    • @MrSio1
      @MrSio1 Před 4 lety +103

      세상 본질을 연구하기 위해서 궤를 같이하죠

    • @glsmw
      @glsmw Před 4 lety +33

      멋진말이군요

    • @muve1720
      @muve1720 Před 4 lety +52

      눈을 감는 순간에 그 물체가 실재하느냐... 철학에서도 정말 어려운 이야기죠

    • @FreshOrPepsi
      @FreshOrPepsi Před 4 lety +5

      결국엔 한뿌리

    • @LL-ym9co
      @LL-ym9co Před 4 lety +8

      그런데 철학을 우리나라에선 돈이 안된다고 안쳐주니..

  • @user-cw9jf1vk5n
    @user-cw9jf1vk5n Před 3 lety +864

    전자의 위치도 불확정이니까 슬릿의 위치도 불확정이다
    은지원은 천재인듯 하다

    • @ooooo8228
      @ooooo8228 Před 3 lety +46

      슬릿은 거시의 물건 = 빛으로 인해서 흔들리지 읺음 / 전자는 미시의 물건 = 빛으로 인해서 흔들림 -> 결국 슬릿의 위치는 불확실하지 않음 (단, 슬릿에게 물리적 변화를 가하지않는다는 조건)

    • @DeeKayLee
      @DeeKayLee Před 3 lety +137

      @@ooooo8228 슬릿이 커서 그 움직임을 알아채지 못하는건 아닐까요? 사실 아주 작은 위치의 변화가 있는데 그게 인간의 기준에선 미세하지만 전자의 기준에선 엄청난 것일수도 있잖아요.

    • @justiceleague206
      @justiceleague206 Před 3 lety +58

      @@DeeKayLee ㄹㅇ... 양자역학의 불확정성의 원리를 이미 알고 저 말을 한것처럼 느껴짐. 최대한 모른척하면서 말한것처럼 보이기도.

    • @DeeKayLee
      @DeeKayLee Před 3 lety +13

      @@justiceleague206 ㅇㅈ합니다 애초에 은지원은 엄청 똑똑한 사람이여서 충분히 가능성 있죠

    • @igemunde
      @igemunde Před 3 lety +17

      @@ooooo8228은지원의 슬릿 이야기를 떠나서 이 현상들을 볼 때 거시적인 것을 이야기한다면 위 영상에서 나온 사과의 위치 이야기를 논할 필요도 없죠

  • @youna4090
    @youna4090 Před 3 lety +90

    드브로이가 진짜 대단한게 원래 드브로이는 사학을 전공한 교수였음 그니까 절대적인 문과 였단 거임 드브로이 형이 과학을 하던 사람이었는데 형 드브로이가 학회에 가서 빛이 파동의 성질을 갖고 있다는 소리를 전해주고 그럼 물질도 파동을 갖고 있지 않을까? 란 생각을 하게 돼서 명문 대학 다시 입학해서 물리학 다시 배우고 논문으로 물질 파동설 제출해서 노벨상 받게 된 거

    • @myfluffydandelion
      @myfluffydandelion Před 2 lety +31

      드브로이 형은 노벨상 받는 동생을 보며 무슨 생각을 했을까..?

    • @user-li4mc4xh2f
      @user-li4mc4xh2f Před 2 lety +1

      과학에도 인문, 문과의 상상력이 필요함

    • @user-kd2dq6vf1s
      @user-kd2dq6vf1s Před rokem

      와.... 진짜 미친 천재구나....

  • @kojoys2000
    @kojoys2000 Před 3 lety +1964

    은지원씨가 말했던 내용들의 대부분은 지난 100년간 물리학자들의 추측이었고 교수님이 반박한 내용은 지난 100년동안 실험을 통해 물리학자들이 알아낸 사실들이에요 몇개는 예능이다보니 우스갯소리겠지만 몇개는 상당히 과학적인 논리에 의거한 추론이라고 생각이드네요

    • @user-td6ns3jz4u
      @user-td6ns3jz4u Před 3 lety +4

      어떤 질문요? 2:30 몽골인들은 보일까요?

    • @kojoys2000
      @kojoys2000 Před 3 lety +328

      @윤수영 그런게 제가 말한 우스갯소리고요 전자가 쪼개진다거나 인위적으로 쏜거기 때문이라던가 벽이 진동한다거나 이런 질문들은 실제로 그렇지 않기 때문에 도태됐을뿐 충분히 다양성을 만드는 접근들이죠 전자가 쪼개질수도 있지않을까? 전자총이 전자의 역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벽의 진동이 전자의 경로에 영향을 미칠만큼 큰가? 이런 연구의 시발점이 될 수 있는 질문들인거죠 그러다가 새로운 사실을 발견할 수도 있는거구요

    • @3p251
      @3p251 Před 3 lety +82

      ​@@user-td6ns3jz4u 사람들 만나서 농담도 못해본 컨셉 잡으신거에요?

    • @hyun4154
      @hyun4154 Před 3 lety +3

      지금은 누구나 생각할 수있는 질문들이라..그렇게 대단한 것들이 아님..

    • @tho881
      @tho881 Před 3 lety +26

      @@kojoys2000 모르지만 본인이 한 생각에 당당할 수 있는사람만이 할 수 있는 질문같음.

  • @DakaDakki
    @DakaDakki Před 4 lety +1897

    저희 학교 양자역학 교수님께서 하신 말씀입니다.
    만일 누가 나는 양자역학 이해 되던데? 라고 말한다면 그사람은 양자역학을 하나도 이해하지 못한거야.

    • @user-co2qh6mw2i
      @user-co2qh6mw2i Před 4 lety +110

      그건 모든 물리학자와 교수님들이 공통적으로들 하시는 말씀이죠

    • @ycs6626
      @ycs6626 Před 4 lety +202

      양자역학 배우고 이게 뭐지? 라는 생각이 들면 정상이니 ㄱㅊ다고 했음ㅋㅋ

    • @Googleaccount31452
      @Googleaccount31452 Před 4 lety +14

      이해 라는 단어의 뜻풀이에 답이 있죠 ㅋㅋ 양자역학 문제를 주고 그걸 풀수 있다면 이해한다는 생각과 답은 구할수있지만 현상을 이해못한다는 생각의 차이

    • @Googleaccount31452
      @Googleaccount31452 Před 4 lety +154

      진짜 과학공부하다보면 왜 기원전에 철학자들이 곧 과학자였는지 이해하게됨

    • @Onepunman776
      @Onepunman776 Před 4 lety +16

      @@Googleaccount31452 전자가 왜 관측하면 입자이고 관측을 하지않으면 파동일까 .. 정답을 예측할순 있어도 이유는 알수없음. 진공상태에서 명백한 입자인 분자를 빛의속도로 쏘는 이중슬릿 실험을 했을때 관측하지않으면 그 분자마저도 파동의 형태가됨. 그래서 관측하지않으면 우주가 연산을 하지 않는다는 말이나온거임. (게임으로치면 최적화느낌)

  • @user-op3ux7yj5j
    @user-op3ux7yj5j Před 3 lety +73

    경희대 학생들 중에서 이 교수님 교양 들을 사람은 다 알 듯한 문장
    철컥..철컥..철컥...

  • @JamesWillGrayson
    @JamesWillGrayson Před 3 lety +59

    이런 프로그램이 많이 나왔으면 좋겠네요. 정말 유익해요. 과학,미술,문학 등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이해하기 쉽게 설명을 해주면 좋을듯 합니다.

  • @cmj7260
    @cmj7260 Před 4 lety +1284

    "양자 역학을 보고도 제정신인 사람은 그걸 제대로 이해하지 못 한 것이다."
    - 닐스 보어 -

    • @jpd9953
      @jpd9953 Před 4 lety

      노이만 : ??

    • @codingsinnam982
      @codingsinnam982 Před 4 lety +7

      @@jpd9953 진짜 노이만은 이해했을지도 몰라요...ㅋㅋㅋ

    • @gracie2983
      @gracie2983 Před 4 lety +15

      @@codingsinnam982 개솔ㄴ

    • @cookie4097
      @cookie4097 Před 4 lety +3

      @@gracie2983 너무 막말하시는거같긴한데.. 틀린말은 아니네요.

    • @Zeddy272
      @Zeddy272 Před 3 lety +44

      @@jpd9953 어려워서 이해를 못 한다가 아니라
      인간의 상식 밖이라 이해를 할 수 없는거죠😅
      만약 어려워서 이해 못했다면 그걸 이해하는 천재들이 또 나왔겠죠..그리고 이미 저들이 그 역대급 천재들이구요..
      관찰하기 전에는 파동인데 관찰하면 입자.
      마치 원래 그릇에 물이 가득차 있었는데 내가 보는 순간 물방울 하나로 뭉침😲😳
      인간 상식으로는 말이 안되죠..

  • @rnultiples_6
    @rnultiples_6 Před 3 lety +1315

    12:50 이게 그 유명한 수상자는 17명인데 메달은 18개인 그 사진.....마리아 스크워도프스카 퀴리,,간지가 넘쳐흘러....

    • @user-nf6pu8yd4t
      @user-nf6pu8yd4t Před 3 lety +22

      헐 라듐...바로 너 라듐...그건 너

    • @donghakim2428
      @donghakim2428 Před 3 lety +158

      퀴리만 두개 퀴리 일가를 합치면 전부 5개 가족 전체가 노벨상 플렉스

    • @user-ye1jx3uv8l
      @user-ye1jx3uv8l Před 3 lety +2

      @@donghakim2428 전부 방사선으로 가셨지 않나??

    • @S_CK_
      @S_CK_ Před 3 lety +19

      @@user-ye1jx3uv8l 가족이 노벨상 많이 받았다는거에서 갑자기 맥락없이 방사선으로 갔다는 얘기를 꺼내는건 도대체 무슨 생각일까... 깎아내리고 비꼬는거? 주워들은 지식 던지기?

    • @yidgn
      @yidgn Před 3 lety +7

      @@S_CK_ 불편하면 자세를 고쳐앉아 보는 자세가 잘못된거야 그냥 아는거 말한건데 니는 거기에 왜 굳이 사족을 쳐 붙여서 얘가 뭐 고인모독을 한걸로 만들고 그러냐

  • @lkj098
    @lkj098 Před 3 lety +1139

    은지원 진짜 이공계 갔으면 연구소스는 엄청 쏟아냈겠는데...?

    • @QLD..
      @QLD.. Před 3 lety +7

      감당 못하지않음? 결론내기도 힘들지않나

    • @sequence9255
      @sequence9255 Před 3 lety +251

      @@QLD.. 감당 해나가는게 연구 아닌가

    • @leemyughan
      @leemyughan Před 3 lety +147

      연구대상 : 은지원
      연구거리 : 많음

    • @user-ik7rx5eg7r
      @user-ik7rx5eg7r Před 3 lety +16

      연구 소스도 논리적이게 내야지 그냥 이렇지 않을까? 이런 발상은 도움도 안됨

    • @user-bb5ph1gy4g
      @user-bb5ph1gy4g Před 3 lety +131

      @러러러 그런 질문에서 영감을 얻어서 연구 주제를 구체화하는 거지 시작부터 제대로 된 주제 꺼내놓으려고 하면 논문 시작도 못하고 표절 준비나 해야 할 걸ㅋㅋ

  • @sinanda_
    @sinanda_ Před 2 lety +33

    설명을 깔끔하게 해주셔서 정말 잘 이해했습니다.. 저희 학부 교수님도 이렇게 설명해주셨다면 매 수업이 행복했을 것 같습니다..

  • @Orange-nc8qx
    @Orange-nc8qx Před 4 lety +709

    3:11 은지원의 아무말도 받아쳐주는 상욱쌤^^
    줜: 이 사과는 시들지도 않네요?
    쌤: 먹고 또 사오는거겠죠?^^

    • @TOPandJELLY
      @TOPandJELLY Před 4 lety +6

      오우 똑같은 사과라는 말도 있었는데 아니군요

    • @user-rp5hm9wy1h
      @user-rp5hm9wy1h Před 4 lety +141

      아 이 상냥한 먹금 너무좋음

    • @user-wj4it8zp1f
      @user-wj4it8zp1f Před 4 lety +40

      전 오히려 은지원의 엉뚱한 상상과 생각들이 과학의 발전에 더많은 영향을 끼칠거 같아요! ㅎㅎㅎ

    • @name-wl5eh
      @name-wl5eh Před 4 lety +6

      @@user-wj4it8zp1f 안인대

    • @user-un9tv7my3p
      @user-un9tv7my3p Před 4 lety +14

      실제로도 엉뚱한 생각들이 세상을 바꿨다 안좋은 쪽으로든 좋은 쪽으로든

  • @user-gz7vm2kl9e
    @user-gz7vm2kl9e Před 4 lety +66

    3:11 여기서 포인트는 태양의 수명임 ㅋㅋㅋㅋ
    편집자 센스 오졌다 ㄹㅇ ㅋㅋㅋㅋ

  • @b2spirit86
    @b2spirit86 Před 3 lety +72

    은지원씨처럼 엉뚱하더라도 끊임없이 의문을 가지고 질문을 하고 본인만의 가설을 세운 뒤 그걸 실험을 통해 틀렸든 맞든 결과를 내고 그에 따라 가설을 수정하고... 이 모든 과정은 두 글자로 줄일 수 있습니다. '과학' 그 자체죠

  • @tls-mq5cy
    @tls-mq5cy Před rokem +37

    김상국 교수님 극성 이과인이라는 생각이 든 장면이 은지원이 이 사과는 시들지도 안네요 라고 농담을 던지니까 교수님이 먹고 다시 사오는것이겠죠 라고 답하는 장면이었음ㅋㅋㅋ

  • @user-nr9vz3cy8o
    @user-nr9vz3cy8o Před 3 lety +1425

    은지원님이 하시는 질문 굉장히 과학적이고 창의적이라 감탄하고 갑니다.. 물론 예능이라 재미를 위해 하신 걸수도 있겠지만, 결국 아이디어라는 게 저런 거침없는 상상력과 질문을 통해서 발현된다죠. 본받고싶네요.

    • @user-pk1ms3yu6d
      @user-pk1ms3yu6d Před 2 lety

    • @user-pk1ms3yu6d
      @user-pk1ms3yu6d Před 2 lety

    • @bw-ee2of
      @bw-ee2of Před 2 lety +8

      노벨상 수상한 그리핀 물질 발견도 그냥 연필가지고 장난친 과학자가 우연히 발견한거였음 과학역사에 이런 우연으로 인한 위대한 발견은 매우 많음 과학은 실력도 중요하지만 운도 중요

    • @user-rc5th3co9o
      @user-rc5th3co9o Před 2 lety +7

      원래 과학이 가정에서 시작되는거니까 상상력이 중요하죰

  • @mikim4392
    @mikim4392 Před 4 lety +84

    사진보고 제작진들이 더 신기해해 ㅋㅋㅋ제작진들이 더 열중해서 듣고 있어 ㅋㅋㅋㅋㅋㅋ아 넘 좋아 이런거 ㅋㅋㅋ

  • @user-rw6bn9nx6q
    @user-rw6bn9nx6q Před 3 lety +62

    과학을 정말 어려워해서 싫어하는 수준인데 이 영상은 정말 재밌네요. 이 영상을 계기로 과학과 그나마 가까워질 수 있었던 것 같아요. 유익한 과학이야기 감사합니다.

  • @user-uw7qt1we6u
    @user-uw7qt1we6u Před 3 lety +1022

    15:04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는 양자역학을 이용한 놀이인건가요

    • @apple010
      @apple010 Před 3 lety +73

      전자는 안볼때는 나루토분신술도 씁니다.

    • @friendshipyeon
      @friendshipyeon Před 3 lety +29

      @@apple010 술래가 안보고있을때 술래아닌 애들이 걸어갔을지 뛰어갔을지 나루토분신술을 썼을지 순간이동을 했을지는 모르지

    • @Evening.H
      @Evening.H Před 3 lety +173

      tlqkf ㅈㄴ신박하네
      우리 선조들은 양자역학 놀이를 한거네??

    • @user-ew7eu2js8s
      @user-ew7eu2js8s Před 3 lety +10

      이건가 ㄷㄷ

    • @dhk1126
      @dhk1126 Před 3 lety

  • @user-oe2fj7rb2i
    @user-oe2fj7rb2i Před 3 lety +782

    아인슈타인은 양자역학을 매우 반대했어요.그래서 EPR논문을 쓰는데 이 반대파 중에 슈뢰딩거도 있었어요.근데 슈뢰딩거가 그래서 반대 실험을 고양이를 대상으로 가상 실험을 하는데 이 실험이 양자역학을 설명하는 주된 실험이 됬다네요;;ㅋㅋ

    • @shc5971
      @shc5971 Před 3 lety +232

      양자역학에 대한 반론으로 제시한 것이 양자역학의 핵심이 된..

    • @user-uc6nj1pq6d
      @user-uc6nj1pq6d Před 3 lety +9

      와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아니 이해가 너무 안되는데 너무 재밌네욬ㅋㅋㅋㅋ

    • @user-mf6yn7cq6r
      @user-mf6yn7cq6r Před 3 lety +8

    • @user-jd6kz3yp4x
      @user-jd6kz3yp4x Před 3 lety +8

      신은 주사위를 굴리지 않는다?

    • @vintage3933
      @vintage3933 Před 3 lety +62

      @@user-jd6kz3yp4x 신은 주사위 놀이를 하지않는다

  • @zong8631
    @zong8631 Před 4 lety +322

    아니ㅠㅠ진짜 신기한 과학나라, 미술나라 너무 재밌다고요ㅠㅠ
    나피디님ㅠㅠ제발 시즌 2 해주세요ㅠㅠ제가 무릎 꿇고 빌게요ㅠㅠ
    제가 원래 과학 싫어하는데 이 방송 덕분에 우주랑 과학에 관심이 생겨서 즐겨봤는데ㅠㅠ이렇그에.....끝놰버뤼며언....안되능거자나여.....왜애.....흥으으으으응ㄷ읖ㅠㅠㅠ대체 왜애 그러시냐구요....
    나피디님 넘 잘생기고오....패완얼의 상식을 깨버리느은...패션소화제 나피디님....
    사랑해요오오옹....그니까아...신서유기 8도 빨리 해주세요오...
    기다리다 목 빠졌ZONG....
    내 직업은 없ZONG
    난 백수ZONG
    난 미성년자ZONG
    나피디님 시랑하ZONG
    신서유기 덕질하ZONG
    텅텅내지갑은텅텅비었ZONG
    난 부모님의 등골브레이커ZONG
    수액↗️↗️↗️↗️↗️↗️↗️
    뿌움뿌움뿜뿌우우우움➡️➡️➡️
    에이↗️요➡️비트➡️주세요↘️
    요↗️디제이➡️뽕➡️디스➡️바➡️레이↗️
    서태지↗️↗️↗️↗️뽕➡️디스➡️바➡️레이↗️
    컴배코옴~~~~~~~
    울트라맨이야~~~~~~~
    난 알아요~~~~~~~
    품치퐉치품취퐉치
    가위➡️바위➡️보↗️
    인디언➡️봡!!!
    저 이 댓글 모든 신기한 과학나라, 미술나라 영상에 적고 있거든요.......제발 해주세요오오오옹....나피디이니임...

    • @hawaii9756
      @hawaii9756 Před 4 lety +2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나메종피디님 우주멋쨍이⭐️❤️

    • @hivernaljoie
      @hivernaljoie Před 4 lety +1

      약먹었나 ㅋㄱㅋㄱㅋㄲㅋㄱㅋㄱ

    • @user-ui3gr2vx8y
      @user-ui3gr2vx8y Před 3 lety

      이분 닉넴도 메Zong 인뎈ㅋㅋ

    • @user-re7xu2hq9f
      @user-re7xu2hq9f Před 3 lety

      미성년자인데 백수라뇨?

    • @zong8631
      @zong8631 Před 3 lety

      @@user-re7xu2hq9f 걍 쓸거 없어서 넣었어요

  • @user-qx4yn8gm5m
    @user-qx4yn8gm5m Před 3 lety +9

    진짜 매번 생각하는건데 김상욱 교수님 진짜 쉽고 재미있게 설명해주시는 거 같습니다.. 제 교수님이었다면 좋았을텐데...

  • @user-th4su3ju3k
    @user-th4su3ju3k Před 3 lety +344

    와 은지원 ㄹㅇ 저런생각 어떻게 하지..
    대한민국 대학생특 발동 왜 나는 저런생각을 못했지 하며 자기비난을 시작함

    • @Fxxkingsexyguy
      @Fxxkingsexyguy Před 3 lety +5

      우리나라는 고정관념이 너무 많은거 같다 은지원 어릴때 외국에 살았다고 들은거 같은데 어릴때 몇년이 삶의 저렇게 큰 영향이 있구나

    • @notpreparedyet
      @notpreparedyet Před 3 lety +13

      외국에 살아서 고정관념을 깨뜨릴 줄 안다는 것도 고정관념아닐까요 ㅋㅋ

    • @user-hk3nx3hg1w
      @user-hk3nx3hg1w Před 3 lety +8

      @@notpreparedyet 그럼 외국에 살아서 고정관념을 깨뜨린다는것도 고정관념 아닐까요도 고정관념 아닐까요

    • @user-cy8iw7od5y
      @user-cy8iw7od5y Před 3 lety +16

      @@user-hk3nx3hg1w 외국 살아서 고정관념을 깨뜨릴 줄 안다는 것도 고정관념 아닐까요를 고정관념으로 생각하는 것도 고정관념 아닌가요?

    • @user-os1zq1rf5t
      @user-os1zq1rf5t Před 3 lety +12

      @@user-cy8iw7od5y ㅅㅂ 그만햌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mx9hn7nm1u
    @user-mx9hn7nm1u Před 4 lety +2006

    처음으로 아인슈타인이 이해갔어

    • @starrygarret
      @starrygarret Před 4 lety +151

      @Y ooO 아닙니다. 아인슈타인의 광양자설이 양자역학의 토대를 마련한거죠.
      양자역학과 상대성이론은 전혀 다른 이론이고 아직 완벽한 통합도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 @PPOI-j7m
      @PPOI-j7m Před 4 lety +70

      농담에 뭐 이런 진지한 댓글이 ㅎㅎ;;

    • @user-bk8dy2rs4j
      @user-bk8dy2rs4j Před 4 lety +202

      @@PPOI-j7m 여긴 이과방이야 문과는 나가있어

    • @user-eu4kj3ct7i
      @user-eu4kj3ct7i Před 4 lety +79

      @@user-bk8dy2rs4j 고맙다......

    • @user-sf8hu2uk6g
      @user-sf8hu2uk6g Před 4 lety +2

      ㄹㅇㅋㅋ

  • @user-ow7en4yf8r
    @user-ow7en4yf8r Před 4 lety +37

    12:49 여기 왤케 멋있냐 특히 뭔가 진짜 대단한 사람들 다 모아놨는데 아인슈타인이 ㄹㅇ 거장 같아서 멋있네 약간 만화에서 멋있는 사람들 뭉쳐서 등장하는 느낌

    • @Zeddy272
      @Zeddy272 Před 3 lety

      그런데 사실상 저 사진의 수퍼 히어로는
      닐스 보어와 하이젠베르크죠😁
      뉴턴을 무너뜨린 아인슈타인이
      보어와 하이젠베르크에게 무너진거죠~
      너무 멋있습니다

    • @user-qx7wk3pb1p
      @user-qx7wk3pb1p Před 3 lety +1

      초딩때:와 내얼굴 합성해서 넣어야지
      중고딩:내가 타임머신타고 가서 저기 폭탄던질거야
      대학후:아니 이런누추한곳에 귀한분들이 (안건드리고 안봄)

  • @yeongdan
    @yeongdan Před 3 lety +21

    슬릿이 떨었을 수도 있다는거 은지원 분명 모르고 한 말일텐데 대단하네 듣고 순간 어? 했다

  • @anaalaya
    @anaalaya Před 3 lety +13

    와 이런 프로 너무 멋지다....티비에서 이런 프러그램을 하다니....교수님 설명 귀에 쏙쏙. 대단하시네요.

  • @user-pu2fq2kz6j
    @user-pu2fq2kz6j Před 4 lety +830

    은지원씨가 헛소리하는것 같아도 저런 엉뚱한 소리를 하는게 답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확실히 도움이 됨ㅋㅋ 새로운 아이디어도 주고

    • @user-xm2bj6mu1n
      @user-xm2bj6mu1n Před 4 lety +54

      그냥 특별해보일려는 아무의미없는 드립임

    • @babobabo1212
      @babobabo1212 Před 4 lety +113

      @@user-xm2bj6mu1n 너의 댓글도 모두에게 의미없음

    • @JJ-vs4vn
      @JJ-vs4vn Před 4 lety +20

      암만그래도 삼성전자에 전자는 몇개냐는 질문은좀..

    • @Ya_ChaA
      @Ya_ChaA Před 4 lety +44

      이거 예능프로그램아닌가요?

    • @user-kf2gt2jg8y
      @user-kf2gt2jg8y Před 4 lety +1

      일로 이게 맞지 ㅋㅋㅋㅋ

  • @user-jf9pf8rq6u
    @user-jf9pf8rq6u Před 4 lety +728

    08:39 은지원이 말한 슬릿이 떠는것도 허무맹랑한 소리는 아님. 아인슈타인도 똑같은 생각함. 슬릿 위치의 불확정성때문에 전자의 운동량에 불확정성이 생겨서 회절무늬 생긴다고 볼수도있음

    • @jinhoung
      @jinhoung Před 4 lety +9

      슬릿은 눈으로 관찰 가능 하기 때문에 슬릿 위치의 불확정성은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 @user-jq7cv7fo5j
      @user-jq7cv7fo5j Před 4 lety +62

      @@jinhoung 슬릿위치도 과찰할수없는거 아닌가요?

    • @jjs8959
      @jjs8959 Před 4 lety

      @@user-jq7cv7fo5j 그것을 제작할때부터 거시세계에 속하게된거 아닌가요? 게다가 사진을 찍을수 있다는거보니깐유

    • @user-mi6jq4qu9g
      @user-mi6jq4qu9g Před 4 lety +59

      @@user-jq7cv7fo5j 이론적으로는 슬릿의 위치도 정확하게 알 수 없다.. 라고 말은 할 수 있으나
      슬릿 정도면 전자기파의 영향을 받기에는 질량이 너무 큼

    • @user-wd4en4se6e
      @user-wd4en4se6e Před 4 lety

      그렇게 학회에서 아인슈타인이 주장을 하면 전부다 보어나 하이젠베르크쪽 애들이 계산해서 가져왔다고하지않았던가요.
      그리고 위치의 불확정성이 증가하면 운동량은 불확정성이 줄어들어야하는거아님?

  • @JinIHwa
    @JinIHwa Před 3 lety +6

    Thanks so much for the English translation! Such a good content

  • @user-sh6pg1wz9w
    @user-sh6pg1wz9w Před 3 lety +4

    교수님 설명을 정말 잘하시네요 일도 모르는데 하나하나 설명하실때마다 고개가 끄덕여져요

  • @spacebest1
    @spacebest1 Před 4 lety +157

    풀버전 짱

    • @swgw8159
      @swgw8159 Před 4 lety

      ???????

    • @user-ew9dc8kq5w
      @user-ew9dc8kq5w Před 4 lety

      ??????????

    • @werduwbyrd1479
      @werduwbyrd1479 Před 4 lety

      ???????????

    • @ooo5988
      @ooo5988 Před 4 lety +2

      형님 저번에 우주가 유한하다는 "쌉소리"를 하시고 보러 오신겁니까.. 사나이 답게 잘못된건 고치는게 진짜 사나이의 자지ㄹ 이라고 생각합니다..

    • @0o041
      @0o041 Před 4 lety

  • @jigwonyoo3802
    @jigwonyoo3802 Před 4 lety +4627

    얼마짜리 과외냐ㅋㅋㅋ

    • @user-pc9ff9wv9t
      @user-pc9ff9wv9t Před 4 lety +21

      누가 이걸 과외로 들어 과외에서는 산수나 배우지 ㅋㅋ

    • @user-pc9wg7jr7m
      @user-pc9wg7jr7m Před 4 lety +16

      사람마다 다른거지 ㅋㅋㅋㅋ

    • @dbsaldus716
      @dbsaldus716 Před 4 lety +5

      아 하나만 더 누르면 좋아요 5백개인데ㅠㅠ

    • @rinma341
      @rinma341 Před 4 lety +31

      과외를 꼭 수능 늘으려고 듣나?ㅋ.ㅋ.

    • @cosmo-is8zr
      @cosmo-is8zr Před 3 lety +2

      @@user-sz7zt6cv6y 논술준비하는 사람들이면 충분히 배우는데

  • @user-zn7xi3wr1p
    @user-zn7xi3wr1p Před 3 lety +2

    김상욱 교수님 덕질중인데 그동안 안 본거 많아서 넘 기쁘다..❤️

  • @liebe7980
    @liebe7980 Před 3 lety +37

    3:13 이 사과는 시들지도 않네요?
    먹고 또 사오는 거겠죠~
    ㅋㅋㅋㅋㅋㅋㅋㅋㅋ

  • @hyeobgaek
    @hyeobgaek Před 4 lety +833

    니가 이해하지 못했다고 그게 진실이 아닌게 아니야. 그냥 니가 이해못한 것일뿐 니가 이해했든 안했든 우주의 진리는 항상 이어진다...
    너무 철학적인데 제일 과학적이야....ㅎㅎㅎ 이게 과학이냐 철학이냐 고민할 필요도 없어... 그냥 그렇게 삼라만상은 만들어진대로 돌아가니까...

    • @anbayo1
      @anbayo1 Před 4 lety +16

      조금더 명확하게 말하자면..'니가'라기보다 '인간이' 이해못하는 거죠. '인간은 절대 이해할 수 없음' 이죠. 알고 계실꺼라 생각합니다.

    • @user-mj9kh4cp5m
      @user-mj9kh4cp5m Před 4 lety +8

      anbayo1 you가 문맥에 따라서는 everyone이 되기도 하잖아요?

    • @anbayo1
      @anbayo1 Před 4 lety +1

      @@user-mj9kh4cp5m 그렇죠~ 그렇게 해석하셔서 들으셨으면 맞아요

    • @zzzi1267
      @zzzi1267 Před 4 lety +7

      양자역학에 따르면 양자역학을 이해한 또다른 나는 어딘가에 있을수도,,없을수도,,

    • @Kim_Brouk
      @Kim_Brouk Před 4 lety +3

      교육과정 중 박사과정 Ph.D에 Ph가 들어가는 이유겠죠 ㅎㅎ

  • @eriuu123
    @eriuu123 Před 4 lety +23

    풀버전💕감사합니다~

  • @genevieve_kor
    @genevieve_kor Před 3 lety +33

    양자역학에서 들었던 가장 무서운 애기가 게임에서 보이지 않는 곳은 데이터 효율을 위해 구현하지 않다가 보게 되먼 구현하는 것처럼
    우리가 인지하지 않으면 파동으로 있다가 인지하게 되면 다시 정렬하는
    우리는 게임 속 데이터 일 수 있다라는 거였죠 ㄷㄷ

  • @user-to8xr3ts7n
    @user-to8xr3ts7n Před rokem +19

    빛은 파동이냐 입자냐 하는 이중슬릿실험, 슈뢰딩거의 고양이 같은 학률 이런 것만 알고있고 양자역학에 대해 깊게 관심 가지지도 않았었는데 설명을 너무 잘해주셔서 재밌고 약간 흥미가 생긴듯. 과학을 공부하는데 유익한 영상이다 ㄹㅇ

  • @user-bw6sy9qe3e
    @user-bw6sy9qe3e Před 4 lety +66

    "인간은 우주를 이해하기 위해 만들어진 존재는 아니에요.." 이말 참 슬프네요

  • @jjiny5930
    @jjiny5930 Před 4 lety +57

    같은 내용으로 인강이있었다면 안봤을꺼예요... 이런 프로그램으로 나오니까 그냥 예능보는 느낌인데 유익해서 계속 보게되는거같아요 너무 좋아요ㅠㅠ

    • @jigi312
      @jigi312 Před 4 lety +4

      양자역학을 인강같은거로 배운다면 온갖 꼬부랑 수식에 압도당하겠죠..사실 수식을 베재한 썰로만 양자역학을 듣는다면 세상 그렇게 재밌는게 또 없습니다

    • @Solamon_Eula
      @Solamon_Eula Před 4 lety +1

      월강이 사실 물리학은 수식빼고 보면 이 세상에서 그보다 재밌는 희극이 따로 없음

    • @tintin0958
      @tintin0958 Před 4 lety

      김상욱교수님이 쓴 양자역학 책 읽어봤는데 그땐 몇날며칠 머리싸매고 읽었거든요 그 책도 정말 쉽고 재밌게 쓴 책이거든요? 근데 17분만에 이렇게.. 나피디님이 이제는 위대해보여요

    • @user-is1rg1pj2p
      @user-is1rg1pj2p Před 3 lety

      괜히 최고 피디가 아니죠

  • @user-ut5ih3sr2c
    @user-ut5ih3sr2c Před 3 lety +8

    진짜 설명 잘해주신다ㅠㅠ 방구석에서 이런 강의를 듣다니

  • @toltori123
    @toltori123 Před 3 lety +14

    진짜 재미있게 봤습니다. 평소 과학에 흥미는 있는데 어려워서 엄두도 못내고 있었는데 정말 재밌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93tina
    @93tina Před 4 lety +8

    3:13 교수님 " 먹고 또 사오는 거겠죠~? " 다정하신 말투와 대답 너무 스윗하시지 않아요? 설렛어요 ..ㅠㅠ !!!

  • @user-eo4bz6vw8s
    @user-eo4bz6vw8s Před 3 lety +703

    은지원씨 마지막말이 백퍼공감
    세상을 다 이해하려하지마라
    어찌됬든 세상은 돌아간다
    양지역학에 대해선 많은 궁금증과 질문들이있지만
    결론은 항상같네요
    우주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그것을 이해하려는 인간의 한계가 문제다

    • @yaboonge
      @yaboonge Před 3 lety +18

      아 그래서 오늘 급식 뭐냐고ㅋㅋ

    • @user-ec1vq9bg8g
      @user-ec1vq9bg8g Před 3 lety +24

      ㄴㄴ 이렇게 노력한 분들 덕분에 우리가 컴퓨터와 에어컨을 쓸 수 있는거임.

    • @user-mf6yn7cq6r
      @user-mf6yn7cq6r Před 3 lety +4

    • @user-dk4yo9ds7v
      @user-dk4yo9ds7v Před 3 lety +4

      고거슨 이해못하는 입장에서 하는 변명이고연

    • @user-lj4zk1hn3g
      @user-lj4zk1hn3g Před 3 lety +6

      세상을 돌리기 위해서 이해하려는 게 아니고 호기심때문에 이해하려는 거 아님? 세상은 돌아가니까 이해하려고 하지마라는건 과학자들을 부정하는 말 같은데.. 세상이 돌아가는거랑 이해하는거랑 뭔 관련이 있는지 모르겠음

  • @cho4276
    @cho4276 Před 3 lety +831

    대부분의 한국 사람들이 은지원 같은 사람을 수용하지 못하니 창의적인 사람이 그렇게 안나오는 것임. 그냥 번뜩이는 생각 이야기 하는 것만 봐도 똑똑한 사람인거 느껴지는데 ㅋㅋ 학교에서 저랬으면 시끄럽다느니 수업방해한다느니 소리 나오지 ㅋㅋㅋ

    • @user-wc7zh4jx9j
      @user-wc7zh4jx9j Před 3 lety +6

      공감공감

    • @user-zn1mr2dw3u
      @user-zn1mr2dw3u Před 3 lety +2

      그럼 어느 나라가 이런 질문들을 포용할수있나요.

    • @cho4276
      @cho4276 Před 3 lety +75

      @@user-zn1mr2dw3u 토론 문화가 있는 나라들이 그러하고 가까운 중국만 해도 질문이나 새로운 의견에 우리보다 관대합니다. 그래서 한국 유학생들이 중국 유학생들 욕을 그렇게 하죠. 수업 안끝난다고. 물론 무조건 그런 형태가 옳은 것은 아니겠지만, 창의적인 인재 개발, 발굴이 어려운 이유와 어느정도 연관은 있다고 생각해요.

    • @cho4276
      @cho4276 Před 3 lety +66

      @@user-ob7jj5rv6w 전~혀 논지를 파악 못하고 잘못된 방향으로 가시는 겁니다 ㅎㅎ 여하간 단점이 있다고 장점까지 무시해버리는 우를 범하진 마세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언가를 이뤄내는 그들에게 이유도 분명히 있는겁니다. 그리고 중국 이외의 많은 나라가 있는데, 중국만 콕 집어서 말하는건 열등감인건가요?? ㅋㅋㅋ 그러지 마세요 좀 ㅋㅋ

    • @yoongi1069
      @yoongi1069 Před 3 lety +12

      @@user-ob7jj5rv6w 1당독재 소수민족 억압하는거랑 뭔상관이여 인성이랑 교육분위기랑은 다르게 봐야지

  • @matae3793
    @matae3793 Před 3 lety +5

    은지원 머리 좋다는 게 확 와닿네.. 일단 전제들을 완전히 이해하고 있음. 2+2=4를 몰라요? 이건 진짜 허를 찌르는 질문ㅋㅋㅋ 그리고 엉뚱하다는 건 선입견을 온전히 배제하고 있다는 뜻임. 머리가 워낙 좋아서 선입견이 생기기도 전에 조건을 이해해 버렸거나 생각할 때는 선입견을 배제하는 습관이 있거나 과학공부를 하는 데 있어서는 매우 적합한 조건임. 저 자리에서 듣고 저렇게 반사적으로 질문한다는 거 자체도 대단하고.. 진짜 갖출 건 다 갖췄어ㅋㅋㅋㅋㅋㅋㅋ

  • @TheLiky73
    @TheLiky73 Před 4 lety +124

    13:20 한 장소에 30명도 채 안모인 사진에 노벨상 17명... ㄷㄷ

    • @user-wd4en4se6e
      @user-wd4en4se6e Před 4 lety +19

      노벨상 못 받은 사람들은 그 제자들이 대거 노벨상 수상자인것도있어요 ㅋㅋ

  • @HelloMaKpieOfficial
    @HelloMaKpieOfficial Před 4 lety +66

    교수님의 수업내용도 일차지만 진짜 mc 세 분도 지루하지않게 리액션과 질문을 잘 던지시네요

  • @musicalkiller_
    @musicalkiller_ Před 3 lety +5

    학교 물리학2 온라인 클래스 참고영상으로 나와서 너무 반가움ㅋㅋㅋㅋㅋㅋㅋ
    유익하고 재밌고 혼자 다하넹 김상욱 교수님 짱짱 '^'

  • @user-ew1rx7wo5d
    @user-ew1rx7wo5d Před 2 lety

    개꿀잼인뎅 17분 순삭이다ㅜㅠ 생방하는 줄도 몰랐었네..ㄷㄷ 또 해주세요!!

  • @user-uf9mg6ve7y
    @user-uf9mg6ve7y Před 3 lety +10

    아직 어떤 일면식도 없었지만 김상욱 교수님의 간결하고 깔끔한 강의는 언제나 저를 실망시키지 않으시는군요! 정말 대단하시고 이러한 훌륭한 사이언스관련 프로그램을 보고 물리와 수학에 흥미와 관심을 갖게될 많은 꿈나무들이 자라나길 기대하면서 대한민국의 과학계의 앞날 또한 전도양양하리라고 생각합니다. 앞으로도 열정과 재치있는 설명과 지식으로 많은 활동을 해 주시길 당부드립니다.

  • @user-xl5df5vw7m
    @user-xl5df5vw7m Před 4 lety +6

    와 진짜 너무 재밌어요ㅠㅠ 역사도 설민석 선생님 덕분에 아이들의 호기심과 국민적 관심도가 높아진 만큼 과학도 꼭 그렇게 됐으면 좋겠어요! 이런 프로그램들이 반드시 한몫 할거라 생각합니다

  • @user-xu4dg6vn5o
    @user-xu4dg6vn5o Před 3 lety +10

    과학을 초등학생 때부터 대학생이 된 지금까지 정말 너무 너무 재미없다고 생각했는데 이렇게 보니까 정말 재미있네요 물론 학문적으로 파고들면 또 지루하고 재미없겠지만 이렇게 흥미를 쌓아갈 수 있어서 좋은 것 같아요 오래 오래 만들어 주세요,,,

  • @Gyul_Myul_Syul
    @Gyul_Myul_Syul Před 2 lety +2

    정말 흥미롭게 봤습니다.

  • @user-if8qw6xe5t
    @user-if8qw6xe5t Před 4 lety +32

    양자역학이 어려운 것은 우리가 지금까지 당연하고 진리라고 생각하는 모든걸 바꿨기에 미치고 팔짝 뛰는거여

  • @user-hj9lq2ix5p
    @user-hj9lq2ix5p Před 4 lety +20

    온라인 클래스에서 이거 가끔 틀어줌ㅋㅋㅋㅋㅋㅋ 너무 좋아

  • @user-kf8rx9qb5x
    @user-kf8rx9qb5x Před 2 lety +1

    항상 재미있게 잘보고 가요♡

  • @Lottegiant_v3
    @Lottegiant_v3 Před 3 lety +52

    알쓸신잡이 다루는 주제는 항상 신선해서 좋은 것 같습니다! 어려운 주제도 이해하기 쉽고 재밌게 풀어나가니 더욱 영상 몰입도 잘 되고 지루하지 않게 보게 되는 것 같습니다! 유익한 영상 잘 보고갑니다!

  • @jbahn1502
    @jbahn1502 Před 3 lety +4

    와 마지막에 미소가 지어지네요. 감사합니다.
    계속 이런 프로그램 만들어주세요

  • @johna5649
    @johna5649 Před 4 lety +15

    교수님이 과학으로 웃기진 못해도 재미는 최고이신듯..

  • @user-im2ff4gr6v
    @user-im2ff4gr6v Před 3 lety +3

    과학은 정말 멋있지만 너무 진입장벽이 높아 제가 감히 들어가지도 못하고 있는 분야인데 이걸 이렇게 쉽게 설명해주시다니 정말 놀랍습니다. 제가 어렸을 때 이런분이 옆에 계셨다면 제가 이과로 가지 않았을까요? 정말 교수님 멋있고 설명 잘하십니다. 팬이에요 교수님.

  • @atyourside3734
    @atyourside3734 Před 3 lety +44

    사실 은지원씨 생각이 진짜 찐이다. 창의적인 사람임. 실제로 슬릿이 움직이고 있다는 것도 사실이기에. 슬릿에 부딛쳐서 쪼개지고 있다는 것도 가능성이 있기에. 교수님은 강의를 끝내야하는 부담감이 있어서 어려우셨겠지만. 시간 제한이 없다면 다 그런 경우를 가정하고 실험을 통해 입증해야 맞는것. 은지원 멋짐!

  • @user-kl7ko8um1o
    @user-kl7ko8um1o Před 4 lety +215

    양자역학 많이 들어봤지만.. 차분히 들어보는건 또 처음이네요 *^^* 참 유익했습니다. 이해의 차원을 떠나서 아.. 저런 고민들이 있었구나 알게된게 좋네요.

  • @hara9
    @hara9 Před 4 lety +6

    진짜 제 최애 코너예요 너무 꿀잼 ... 분량 더 늘려주세요!!!!!!

  • @user-op6mo7ks1v
    @user-op6mo7ks1v Před 2 lety

    정말 유익하네요 계속 보고싶어요~~

  • @pauladeen965
    @pauladeen965 Před 3 lety +15

    오...놀래라...은지원씨 매우 똑똑하고 논리적이네요...이중슬릿을 지난 하나의 전자가 어떻게 저럴까지만 전자가 쪼게지거나 전자가 더 작은 입자로 잘라지는 수퍼 마이크로 현미경이 발견돼 모든 것이 달라진다면 맞지. 양자역학에 의하면 "지켜보는 거" 이중슬릿 자체도 거기 있다 장담할 수 없는 것이 양자역학이니까 은씨 똑똑하네여

  • @byeol448
    @byeol448 Před 4 lety +145

    은지원 컨셉인줄 알았는데 대답이 진심으로 임하지 않으면 나올수없는 진지함이 느껴진다, 귀엽네 ㅋㅋ

  • @rnfmamf
    @rnfmamf Před 4 lety +308

    온라인 수업을 이런식으로 하면 재밌겠네. ㅎㅎㅎ

    • @gykim4373
      @gykim4373 Před 4 lety +2

      과제그만내시고 ㅜㅜ

    • @araleeyo16
      @araleeyo16 Před 4 lety +28

      과학에 흥미를 주는건 좋은데 예능이면 재밌게 전자총도 모형으로 만들어보고 파동도 물결로 만들어보면 좋잖아~ 연예인들 데려다 앉힐생각만 말고.성의없이 cg로 만들지만말고 돈도 많이 드는것도 아닌데 김상욱선생님이 a4지 슬릿만들어온것 짠하다. 그것도 접혀서 잘서지도 않네.

    • @ker8263
      @ker8263 Před 4 lety +5

      wook lee 연예인들 데려다 앉혀야지 사람들이 봐줌

    • @araleeyo16
      @araleeyo16 Před 4 lety +4

      @@ker8263 그렇기는 한데. 이건 예능도 아니고 교양도 아니고 포지션이 애매해진게 문제. 메인컨셉은 있어야지

    • @thobecthistar3222
      @thobecthistar3222 Před 4 lety +2

      정말 딱 맞네요. 이전까지는 선생님이 내용을 설명하는 것으로 끝났는데 이런 식으로 선생님 일방적이 아닌 선생님과 학생이 함께 인터렉티브한 수업을 받는 영상을 만들면 대박날듯.....

  • @user-gf7oq3ru9d
    @user-gf7oq3ru9d Před 3 lety +1

    우와..우연히 본 영상인데 진짜 쉽게 설명해주시네요..

  • @user-hf1rp5eg9u
    @user-hf1rp5eg9u Před 3 lety +5

    원자로 되어있는 최종적 산물은 잘보인다는게 신기하네요. 양자역학을 공부한다는거 자체가 대단한 거 같아요. 저도 공부해보고 싶네요 기회가 된다면

  • @user-bd3mn7wl6z
    @user-bd3mn7wl6z Před 4 lety +186

    물리선생님께서 그러셨지 과학은 이해하는게 아니다. 이해했다고 생각하고 외워서 풀다보면 이해했다고 착각하는 거다

    • @user-mg1hs9wi4h
      @user-mg1hs9wi4h Před 4 lety

      맞는말

    • @user-vp4vi8ie8h
      @user-vp4vi8ie8h Před 4 lety +5

      @임정환 그쵸 배기범이 그랬죠 특수상대성이론수업할때도 이해한게아니라 하다보니깐 이해한거로 착각하는거라고

    • @user-cvviwion
      @user-cvviwion Před 4 lety

      너무 안타까운데...

    • @user-hn1yp5vk9g
      @user-hn1yp5vk9g Před 4 lety +1

      애초에 완벽하게 이해한다라는 게 가능할까요 인간이 태어나서 있는 지식을 받아들였기에 그걸 바탕으로 이해했다고 생각하는 거지, 무언가를 완벽하게 이해한다는 건 사람이 할 수 있는 영역이 아니라고 생각해요 우주 그 자체가 되지 않는 이상,,

    • @curvedspace
      @curvedspace Před 3 lety +1

      과학은 왜?가 아닌 어떻게?다
      왜 그런 현상이 일어나는지 고민할게 아니라 그 현상을 어떻게 설명할지 고민해야된다

  • @user-xj6dd2mr1l
    @user-xj6dd2mr1l Před 3 lety +6

    와 진짜 너무 재밌어요 심오하고.., 깊게 생각하게 되네요. 기분나쁜 일 있을때 보면 그 일들이 한낱 작은일로 느껴져서 마음 정리도 잘 되네요.굿

  • @kakhi0513
    @kakhi0513 Před 2 lety +1

    깔끔하게 정리를 잘 해주셨네요..

  • @HIRIT08
    @HIRIT08 Před 3 lety +336

    송민호는 좀 아는 눈치인데? ㅋㅋㅋㅋ
    아는 척하고 싶은거 참느라 답답해 죽을 것 같은 느낌 ㅋㅋㅋㅋ

    • @heachan_taeyong
      @heachan_taeyong Před 3 lety +1

      민호는 알면 안 참는 성격이지 않나..?

    • @HIRIT08
      @HIRIT08 Před 3 lety +6

      @@heachan_taeyong 방송이니까요 너무 아는척을 많이하면 진행에 방해가 되고 그렇겠죠
      그것도 절제가 안 되면 PD가 안 써 줄 것 같은데요...

    • @taewankim2153
      @taewankim2153 Před 2 lety +1

      그것도 그건데 조금 안다고해서 박사님 앞에서 아는척하기는 조금...ㅋㅋㅋ
      너무 번데기 앞에서 주름 잡는 꼴 될 것 같아서 자제한 것 같네요

    • @heachan_taeyong
      @heachan_taeyong Před 2 lety

      @@HIRIT08 오해하신거 같은데 제가 위너를 2년이나 팠는데 민호 성격상 안 그럴것 다고 말한거예요.... 뭐 캐해는 자유니까요

  • @danielleem145
    @danielleem145 Před 3 lety +134

    이 영상에서 난 은지원씨의 사소할 수도 있는 답들이 더 인상 깊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보통 나는 전문가, 한 업종에서 수년~수십년을 다닌 사람, 심지어 선생님, 심지어 교수님까지도 나는 어떤 면에서 본다면 창의적인 사람이라 생각하지 않는다.
    그래서 가장 그 분야에서 똑똑한 사람일수도 있지만 가장 창의적이지 않은 사람이라고도 말할 수 있다고도 생각한다.
    이미 그건 정답이 딱 하나만 있기 때문에 더이상 너의 다른 논리는 필요 없어 라고 보통 여기기 때문이다.
    창의력은 어린 아이 같은 "왜 그런고에요?" "왜 비행기는 저렇게 큰데 날라다녀요?" "아빠 운전하지 말고 나랑 놀면서 가는 방법은 없어요?~" 뭐 이런 어른이 되면 당연하다고 생각하는걸 아이들은 당연하다고 생각하지 않는 그런 마음가짐을 가지는데서 창의력은 발생한다고 생각한다.
    은지원씨는 교수님께 다 퇴짜를 맞는 답을 했지만 나는 그런 행동이 인상 깊었다.
    전자는 더이상 쪼개지지 않는다 라는 교수님의 의견이 있지만 당연한건 뭐든지 당연한게 아닐수도 있다는 생각을 한다.
    전자는 더이상 쪼개지지 않는다는 답 속에는 더이상 나는 그 이상의 궁금증을 두지 않겠어, 여러 가능성은 이제 닫아야겠어 라는 의미로도 표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우주적으로 바라볼 때 정답은 존재하지 않으며 모든건 상황에 맞을수도 상황에 따라 맞지 않을수도 있는게 우주의 균형이기 때문이다.
    아무튼 나는 사소한 호기심도 굉장히 평상시에 의견을 존중하는 편이기 때문에 이런 말을 쓴거 같다.

    • @user-cz5cy1ud1k
      @user-cz5cy1ud1k Před 3 lety +7

      그건 약간 동의하지 않음
      너의 다른 논리는 필요없어가 아닌 너의 논리를 반박할 수 있어가 맞음
      과학이란 논리를 완전히 반박해서 그게 실험으로 증명이 가능하다면 그게 과학임
      그리고 그걸 논리적으로 말 할 수 있어야 함
      창의력이라는 건 논리에서 창의력이 나오는 거임
      은지원 씨는 교수님께 퇴짜를 맞는 답을 한 게 아니라
      교수님이 은지원씨의 논리를 가볍게 반박한 것이고
      이건 퇴짜 수준도 아닌거임 그냥 정답이 존재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그렇게 느끼는 것일 뿐이지
      우주는 정말 놀랍도록 수학을 기반으로 만들어져있음
      정말 놀랍도록 우주가 수학이라는 언어를 기반으로 만들어져 있는 사실엔 정말 경외심이 들 정도임
      또 원래는 원자가 더 이상 쪼개질 수 없는 물질의 최소입자였는데
      원자가 쪼개진다는 것이 밝혀지고 원자의 의미가 바뀜
      화학적으로 더 이상 쪼갤 수 없는 물질의 최소입자로
      약속이 바뀐거임
      전자는 더 이상 쪼개지지 않는다. 이건 답인게 아니라
      더 이상 쪼개지지 않는 것을 전자라고 약속한 거임
      그러니까 전자는 쪼개진다? 는 오류인거지.. 의미가 쪼개지지 않는 것이 전자라고 말하고 쪼개지면 논리가 맞지 않으니
      만약 쪼개지면??? 원자처럼 약속이 바뀔거임
      이와 비슷한 약속이 1미터와 1초임
      이 의미 역시도 계속해서 변화되어왔음
      현재 1미터와 1초의 약속은
      1미터 = 빛이 진공상에서 1/299,792,458초 동안 이동한 거리
      1초 = 절대영도 상태의 세슘-133 원자가 9,192,631,770 번 진동하는 데 걸리는 시간
      이니 진공상에서의 빛의 속도는 단 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1미터의 오차도 없이 정확하게 소수점 없이
      299,792,458m/s 인 것이고
      이 이유는 1미터와 1초의 정의로 왜 그런 것인지 설명 할 수 있음
      그리고 더 나아가서 왜라는 이유를 물으면 오로지 빛만이 이 우주에서 가장 완벽한 자라고 설명도 할 수 있고
      그래서 내가 동의하는 건 아이들은 당연하다고 생각하지 않는 그런 마음가짐을 가지는데서 창의력은 발생한다고 생각한다. 이거임
      다만 많은 사람들이 많은 선생님들이 이에 대한 답을 잘 못 함, 좀 더 팩폭하면 아이한테 할 수 있는 가장 최악인 대답을 하고;; (크면 배워, 지금 혹은 그런거 알 필요 없어, 그런 거 묻지 마)
      이 왜 라는 질문이 가장 중요하고 왜 라는 질문을 잘 할수록 늘어나는게 본질을 찾는 힘이며, 이 힘이 길러질 때 창의력이 나오는 거임

    • @tuttofamily7332
      @tuttofamily7332 Před 3 lety +3

      유재호 더 이상 쪼개지지 않는 무언가가 있다는 가정이 들어가니까 약속이 나온거잖아요 그 가정이 틀렸다면 해당 약속도 다시 고려할 필요가 있죠
      그런식으로 접근한다면 아인슈타인의 특수상대론도 할말이 없어져요 F=ma 라고 약속한 뉴턴역학에 위배되니까 특수상대론은 틀렸어가 되잖아요
      모든 가능성을 생각하는 것이 창의적인 접근이라 생각해요 ㅎㅎ
      그리고 우주를 표현하는 수학적 언어도 결국 인간이 우주를 표현하기 위해 인간의 방식을 도입한 것이지 우주가 원래 인간의 언어인 수학에 맞게 이루어진 것은 아니라 봅니다

    • @user-us6vp3yh3c
      @user-us6vp3yh3c Před 3 lety

      유재호 화학적으로 안쪼게지는데
      어캐 쪼게지는걸 알았죠??

    • @user-cz5cy1ud1k
      @user-cz5cy1ud1k Před 3 lety

      @@user-us6vp3yh3c 원자의 구성이 원자핵과 전자가 있기 때문이에요.
      물질의 제 4상태인 플라즈마가 바로 원자에 에너지를 계속 가해서 원자핵과 전자가 분리된 상태를 뜻하기 때문에 원자가 화학적으로는 분리되지 않지만 물리적으로는 분리가 된다. 라는 사실때문에 수정이 된 겁니다.

    • @user-cz5cy1ud1k
      @user-cz5cy1ud1k Před 3 lety

      @@tuttofamily7332 뉴턴역학에 위배되니 특수상대성이론은 틀렸어 X
      뉴턴 역학으로도 설명이 불가능한 것을 특수상대성이론과 가속세계에서의 상대성 이론 즉 일반상대성이론에서 뉴턴역학으로 설명이 불가능한 것을 포함해서 뉴턴역학에 있는 것까지 전부 설명을 할 수 있어 O
      좀 더 정확한 가정이 나온다면 새로운 약속이 나오죠
      제가 제일 처음에 쓴 거랑 다를 바가 없죠
      너의 다른 논리는 필요없어(뉴턴역학은 필요없어) 가 아니라 뉴턴역학에서 설명이 안 되는 모든 것들을 설명 가능하게 만들었고 동시에 기존 뉴턴역학에서 설명 할 수 있는 것도 더 정확하게 설명이 가능하니 뉴턴역학의 논리를 완벽하게 반박했죠
      그러니 특수상대성이론은 틀렸다고 할 수 가 없습니다.

  • @user-tf2bv1ky1s
    @user-tf2bv1ky1s Před 4 lety +64

    내 인생에서 양자역학을 이렇게 진지하게 탐구하는 날이 오다니.. 김상욱님 정말 큰 일을 하셨네요 재미있게 잘 봤어요 ㅎㅎ

  • @user-xo4oq2xr3j
    @user-xo4oq2xr3j Před 3 lety +1

    다시해줘요ㅠㅠ나 이 멤버들 캐미 너무좋아 ㅠㅠ

  • @user-bg1wu6ze2y
    @user-bg1wu6ze2y Před rokem +2

    11:00 대박 철학적이다..소름돋고 감탄하면서 봤어요.

  • @wooheng
    @wooheng Před 3 lety +55

    아 이래서 이해한 사람이 없다는거구나
    그래서 결론이 뭐지라고 생각했는데 모르겠네

  • @user-gu2ww3ps5l
    @user-gu2ww3ps5l Před 3 lety +48

    은지원씨 말하는게 맞을 수도 있다고 생각함.
    물체가 고정되어 있다고 가정해서 파동일 것이다. 하는데
    지구안에 움직이지 않는 물체가 없는데 미세한 움직임을 잡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는 지지대가 있나싶음.

    • @user-et7ul2xr4u
      @user-et7ul2xr4u Před 3 lety +1

      뭐가 맞을 수도 있다는거임? 슬릿이 흔들려서 줄이 여러개가 나온다? ㄷㄷ.. 영상엔 스크린이 크면 계속 줄이생긴다는 언급이 있는데 그럼 슬릿이 좌우로 무한하게 흔들어 제껴버린다는거임? 그렇게 되면 전자는 아예 슬릿을 통과 못하게 될텐데...??
      은지원이 하는말을 듣고 교수님이 괜히 가능성을 배제하는 화법을 사용하는게 아님. 이해는 어렵지만 수학적으론 설명이 가능한 방법이 멀쩡히 있기 때문임. 은지원이 하는 생각은 애초에 과학적인 아이디어가 아닌거고..
      댓글에 은지원이 하는 헛소리를 진지하게 높게 평가하는 사람들이 생각보다 많은거 같아서 신기할 따름...

    • @user-qo1fu2tc2j
      @user-qo1fu2tc2j Před 3 lety

      발상이 창의적인거지 틀린건 틀린거임

    • @user-ne6rk6tn4z
      @user-ne6rk6tn4z Před 3 lety +3

      @@user-et7ul2xr4u 비단 여기서 뿐만 아니라 신서유기나 다른 예능에서도 은지원이 뻘짓 할때마다 창의성 있다고 의미부여 하고 천재라고 올려치는거 이해 안됨 음주운전 2번 하고 게임에서 이름표 훔치는 양아치일 뿐인데 ㅋㅋㅋ

    • @user-ne6rk6tn4z
      @user-ne6rk6tn4z Před 3 lety +2

      ​@ere wh 음주운전 2번 했지만 누구에게나 호감이라는 말이 그냥 나 빠순이요 라고 인증하는거지 음주운전 2번 한 사람이 양아치가 아니면 뭐요??? 윤창호법이 생기고도 아직 이런 사람이 있네...

  • @life9oeson8
    @life9oeson8 Před 3 lety +86

    은지원이 농담으로 이 사과는 시들지도 않네요 하는데 김상욱님이 먹고 또 사오는거겠죠?라고 대답한거 나만 웃겨?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sjrnfl0601
    @sjrnfl0601 Před 3 lety +40

    이중슬릿이 떨었다는 은지원의 장난스런 말이 진짜일수도 있지 않을까? 우리눈엔 보이지 않지만 아주 미세하게 이중슬릿을 이루고있는 입자들이 움직이는거지 근데 전자 입당에선 그 움직임이 상당히 크고 그래서 여러 슬릿들이 생겨서 줄이 여러개 생기는거지

    • @hilla-holla
      @hilla-holla Před 3 lety +6

      슬릿의 크기가 전자의 관점으로는 엄청 클텐데 슬릿의 진동은 전자가 지나가는데 거의 영향을 안 미치지 않을까요?
      역으로 영향을 미칠정도의 진동이라면 우리 눈에 보일 정도의 진동이여야지 성립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 @공략
      @공략 Před 3 lety +5

      @@hilla-holla 설명하고 싶었는데 이분이 하셨넹 쪼금만 더하자면 뭐 이론적으론 슬릿의 위치도 알 수 없다라고 할 수 있겠으나 슬릿은 너무나도 커서 슬릿의 위치가 불확정할 확률은 0에 가깝게 수렴합니다 이게 영상에서 쉽게 설명해서 그런데 무엇을 본다, 관측이라는게 되게 많은걸 포함해요 이론적으론 사람도 내 강아지도 파동일 수 있지만 물체가 크면 클수록 이미 무언가와 상호작용을 해서 관측이 되었기 때문에 불확정할 확률은 그냥 없다고 봐도 되는겁니다
      전자가 지나가야 하는 슬릿도 작으니 전자와 비슷하게 행동할 수 있다. 좋은 질문이지만 이건 전자가 얼마나 작은지 아직 모르셔서 하시는 질문이에요 진짜 슬릿이랑 비교도 힘들정도로 작은게 전자입니다.

    • @ghstt
      @ghstt Před 3 lety

      슬릿이움직였다면 한줄슬릿일때도 여러줄이나와야지.. 파동이다라고 단정짓기엔 관측을하면 왜 2줄이생기느냐.. 그것이문제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