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여스님과 함께 하는 사찰여행 - 부석사(경북 영주), Buseoksa Temple

Sdílet
Vložit
  • čas přidán 4. 05. 2019
  • 부석사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으로 등재된 사찰입니다. 의상스님을 흠모한 여인 선묘가 부석사에 절을 짓게 도와주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습니다.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간직하고 있는 아름답고 고즈넉한 부석사에 함께 떠나보실까요? 즐겁게 보시고, 구독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I am Buddist monk, Moo Yeo. I visited Buseoksa Temple.
    Buseoksa Temple is located in Yeongju, Gyeongsangbuk-do, South Korea.

Komentáře • 146

  • @TV-tm3tg
    @TV-tm3tg  Před 4 lety +7

    This is a caption prepared by Buddhist monk Muyeo for foreigners visiting Buseok Temple.
    Nice to meet you. Let's go on a beautiful temple trip with me today. Monk Uisang returned to Korea after studying in Tang Dynasty and greatly elevated the Huayan school of Korea.
    Huayan school is an important trend of Korean Buddhism, and the main text of a Buddhist Schools is called Avatamsaka Sutra, and Huayam doctrine was widely spread around Buseok Temple.
    I am at Buseok Temple in Yeongju, Gyeongsangbuk-do.
    The signboard of the One Pillar Gate says Buseok Temple in Taebaek Mountain.
    Buseok Temple inscribed on UNESCO World Heritage List.
    There was a Chinese lady named Sunmyo who admired Uisang while his study in Tang China.
    Uisang was to leave Tang after finishing his study, and she dedicated herself so deeply and ended up transforming herself into a dragon to help him go over the challenges on his way back to Shilla.
    It is said she expelled the evils which blocked Uisang from building the temple at the current site.
    She hang huge stones high up in the sky upon heads of the people. There is a huge "floating" stone just next to Muryangsujeon Hall. (Buseok means 'floating stone' in Korean.)
    Would you like to take a look around Buseoksa Temple with me?
    After passing the One Pillar Gate, there is a flagpole supports.
    The flagpole support (Treasure No. 255) is a stone relic of the Silla Dynasty that was built at the time of the foundation of Buseoksa Temple.
    More than 1,300 years ago, the inserted flagpole and flag used to indicate that it was Huayan school temple, but now there is only one pair of stone pillars left.
    After passing through the One Pillar Gate, I came in for a long time and there was Cheonwangmun Gate.
    This is where the Four Heavenly Kings, who protect the Buddha-dharma and temples, are located.

    Anyang-nu is a pavilion at the end of the front yard of Muryangsujeon Hall.
    It consists of a three-room on the front and two-room on the side with a hip roof. It forms the center of temple compound along with Muryangsujeon Hall.
    The building has different signboards at the top and bottom. The signboard hanging on the lower part of a railing reads 'Anyang-mun' and the signboard on the upper floor reads 'Anyang-nu'.
    The building is a double function of a pavilion and a gate, and Anyang means paradise, which symbolizes the entrance to the heavenly world.
    The view from Anyang Pavilion on the second floor is very nice. Enjoy the sound of birds.
    The stone lantern in front of Muryangsujeon Hall is the 17th National Treasure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is 2.97 meters high.
    The octagonal shaped stone lantern is made of granite. It is regarded as the best stone lantern of the Silla Dynasty due to its splendor and beauty.
    There is a blooming lotus flower sculpture on the pedestal where the lotus lantern stands.
    There is an opening on the fourth side of the lantern, and on the fourth side of the lantern, there are statues of Bodhisattva with elaborate carving.
    Muryangsujeon Hall is National Treasure No. 18 and was reconstructed in 1376. Muryangsujeon Hall is the second oldest wooden building in Korea next to Geungnakjeon Hall in the Bongjeongsa Temple in Andong also in North Gyeongsang.
    The building has a five-room on the front and three-room on the side with a hip roof.
    This is a simple style of the column-top complex bracket, which is decorated to support the eaves of the roof.
    In particular, due to the lack of decorative elements found in later-generation buildings, it is regarded as a representative building that best leaves the basic techniques of the column-top complex bracket style.
    The entasis is a representative architectural technique of the Goryeo era.
    There is a seated Amitabha Buddha (National Treasure No. 45) made of clay inside Muryangsujeon Hall.
    Amitabha Buddha statue of the Goryeo Dynasty inside Muryangsujeon Hall is 2.78 meters high and has a delicate, beautiful and solemn look.
    Also, the entire body of the Buddha was brilliantly golden and was made of exquisite craftsmanship. It is famous for its only clay statue during the Goryeo Dynasty.
    It is made of clay, so the modeling is smooth and gentle and dignified.
    Seonmyogak Pavilion is located in the northwest corner of Muryangsujeon Hall. It is a building dedicated to Seonmyo, a person related to the founding story of the monk Uisangsa.
    The mural on the right side of Seonmyogak Pavilion depicts Seonmyo turning into a dragon, helping the monk Uisang return safely to Silla.
    The mural on the left depicts Uisang when he was about to build a temple, Seonmyo hang huge stones high up in the sky upon heads of the people.
    The Three-story Stone Pagoda is a pagoda dating back to the Silla Dynasty located in a slightly higher area east of Muryangsujeon Hall.
    This pagoda was moved from a neighboring temple site along with the stone Buddhas of Jaindang Hall.
    It is a typical Silla-era stone pagoda with a three-story pagoda body built on a two-story base.
    Coming up along the mountain path, there is Eungjinjeon Hall and Jaindang Hall on the left.
    Eungjinjeon Hall is a hall dedicated to Arhats, disciples of Buddha Sakyamuni.
    Inside of Eungjinjeon Hall, there are Sakyamuni Triad and Sixteen Arhat statues.
    This hall is a gable roof decorated with bracket wings, measuring 3-room on the front and 2-room on the side, and was repaired in 1976.
    In the complex bracket of this building, you can see the decorative bracket wing, which was popular in the early 20th century.
    Eungjinjeon Hall is located in the upper north of Muryangsujeon Hall.
    The inside of Eungjinjeon Hall is Sakyamuni Buddha in the middle, Dipamkara Bodhisattva in the right and Maitreya Bodhisattva in the left. It's Sakyamuni Triad.
    A total of 16 Arhats are enshrined, 8 Arhats on the right and 8 Arhats on the left.
    Arhat is a man who plans for deliverance of sentient to people after Buddha's nirvana, and he has supernatural powers.
    Right next to Eungjinjeon Hall, Jaindang Hall is a gable roof, measuring three-room on the front and two-room on the side.
    Considering that the complex bracket is too large for the size of the building and the walls are mixed with various types of old materials, it is estimated that the building was rebuilt around the late 19th century.
    Currently, the seated statue of the Triad Buddha is enshrined inside the building.
    Shakyamuni Buddha is located at the center (Treasure No. 1636) and at the left and right are Vairocana Buddhas (Treasure No. 220).
    These two Buddhas were not originally from Buseok Temple, but were moved from the ruins of a temple at east of Buseoksa Temple.
    The two Vairocana Buddha’s hands were broken, and parts of the face and pedestal were damaged, but they were equipped with both halo and pedestal.
    The two Vairocana Buddha statues of Jaindang Hall are thought to be works of the same sculptor because they are only slightly different in detail and have almost the same shape and sculptural style.
    The Sakyamuni Buddha Statue is Treasure No. 1636, and the Sakyamuni statue shows a round face and a hand seal of Bhumisparsha mudra.
    The flower-patterned Samkakasika and soft yet realistic folds are also unique.
    Based on the incense burner carved on the high three-tier pedestal, the seven lions and the bodhisattva, it is regarded as a work of the 9th century of the Unified Silla Kingdom.
    In particular, the statue of Ksitigarbha carved on the back of the pedestal is noted as an unusual example, and the tall and colorful pedestal is a high-quality work that harmonizes with the Buddha statue with a strong sense of volume.
    The two Vairocana Buddha statues are carved on their halos, and the pedestal is decorated with lotus designs.
    Although it shows a rigid body with no volume and formalized folds of clothing, it is regarded as typical features of Buddha statue in the late 9th century, given its splendidly decorated halo and pedestal.
    Josadang Shrine is National Treasure No. 19, located on the middle of the mountain, a little north of Muryangsujeon Hall.
    The small pavilion, measuring 3-room on the front and 1-room on the side, gives the impression of simplicity.
    The shrine has a side gable roof, but it is long enough that it never feels like a small building.
    In the middle, there is a portrait of the monk Uisang.
    The Chinese pea tree in front of the Josadang Shrine was originated from the monk Uisang's stick attached to the ground and later grew up as a tree.
    After the founding of Buseok Temple, Uisang said, "If this tree doesn't die, You would know that I'm not dead because roots and leaves will come out on the cane," he left for India after perceiving the truth of Buddhism.
    The stone next to Muryangsujeon Hall is a floating stone that is related to the foundation of Buseok Temple.
    The Buddha statue next to the floating stone is a solemn and gentle-looking Buddha statue on the lotus pedestal, and the Four Heavenly Kings are carved below the pedestal.
    We've been touring Buseok Temple together. How was it everyone? I could feel mind of Seonmyo, who dedicated to Uisang, and the seek the truth of Uisang.
    If you come to Buseok Temple here, it would be nice. Thank you for joining us on a beautiful temple trip today. I will prepare for a better temple trip next time. Have a nice day!

  • @user-yo7iz8hp4i
    @user-yo7iz8hp4i Před 4 lety +3

    잘보고갑니다

  • @user-yv7ww6nb2u
    @user-yv7ww6nb2u Před 4 lety +3

    무여스님 감사합니다
    나무아미타불관세음보살

    • @TV-tm3tg
      @TV-tm3tg  Před 4 lety +2

      감사합니다() 건강 조심하십시오()

    • @user-yv7ww6nb2u
      @user-yv7ww6nb2u Před 4 lety +2

      무여스님 저도불자입니다 저역시 사찰 다니는것을 좋아하며 석가모니 부처님을 믿는사람중에 한사람입니다

  • @user-fd4ch9lw3m
    @user-fd4ch9lw3m Před 4 lety +7

    코로나 때문에 집에서 무여스님과 함께하는 사찰여행으로 마음 수련 잘 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TV-tm3tg
      @TV-tm3tg  Před 4 lety +1

      코로나 때문에 다들 많이 우울하실텐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어서 다행스럽습니다. 건강 조심하시고, 평안한 시간 보내세요()

  • @user-ox4on1rb9x
    @user-ox4on1rb9x Před 4 lety +7

    어머니가 생전에 다니시던곳.
    돌아가시고 100제 를 모신곳.
    손모아 가족의 안녕을 염원한,
    어머니같은 절.
    나무아미 타불. 감사합니다.

  • @j-luck6338
    @j-luck6338 Před 4 lety +3

    꼭가봐야겠습ㄴ다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스님 스님을좋아해도괞 찮은가요?

    • @TV-tm3tg
      @TV-tm3tg  Před 4 lety +2

      좋게 봐 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좋은 영상으로 찾아뵙겠습니다.
      건강 조심하십시오()

  • @user-ly7eg8on3q
    @user-ly7eg8on3q Před 5 lety +10

    🍀🌸부석, 선묘, 선비화...신비함으로 가득한 부석사네요^^ 어릴 적~용이 등장한다던가, 돌이 둥둥 뜬다던가 하는 이야기를 들으면 과학적 검증이 불가능한 상상쯤으로 여겼어요~하지만~요사이~ 인과를 철처히 믿고 하늘이 감동할 만한 견고한 믿음과 간절함이 있다면 이러한 신통도 가능하리란 생각을 하게 됩니다~ 그나저나 부처님 오신날이 얼마남지 않았어요^^작품같은 영상 제작하시느라, 초파일 준비하시느라 스님께서 분주하시겠어요~ 항상 화이팅이요^^ 🌺🌸🍀🌷🌱💝

    • @TV-tm3tg
      @TV-tm3tg  Před 5 lety +2

      많은 것을 느끼셨네요! 감동입니다! 직접 다녀오신 것처럼 느끼신 것 같아요! 항상 즐겁고 행복한 마음으로 영상을 준비하고 있어요! 늘 함께 해 주시고, 관심 가져주셔서 감사드립니다! 항상 행복하시기를 기원드립니다!😄

  • @user-bo7dv4fo4j
    @user-bo7dv4fo4j Před 4 lety +6

    무여스님..
    저는 신실한 불자는 아니지만 스님의 사찰여행으로 약십년전 쯤가 본 부석사를 다시한번
    추억해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또한,
    날마다 좋은날 되기를 빌어주셔서도 고맙습니다~^^

    • @TV-tm3tg
      @TV-tm3tg  Před 4 lety +2

      네, 부석사는 멀어서 자주 가기는 힘든 것 같습니다.
      즐겁게 봐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건강 조심하시고, 날마다 좋은 날 되시기를 기원합니다()

  • @user-oj6de9bj7t
    @user-oj6de9bj7t Před 2 lety +1

    스님감사합니다

  • @user-yc2ry2et4h
    @user-yc2ry2et4h Před 3 lety +1

    꼭 가보고 싶습니다 ~🙏

  • @user-yy4hl3wh9x
    @user-yy4hl3wh9x Před 4 lety +5

    부석사을 디테일하게
    설명해주셔 많은것을
    알겠됐네요
    덕분에 사찰 공부많이하게되네요
    감사합니다
    성불하세요ㆍ

    • @TV-tm3tg
      @TV-tm3tg  Před 4 lety +3

      감사합니다() 건강 조심하시고, 평안한 시간 보내시기 바랍니다()

    • @user-yy4hl3wh9x
      @user-yy4hl3wh9x Před 4 lety +2

      @@TV-tm3tg 코로라 바이러스에 건강유의하세요

  • @user-yc2ry2et4h
    @user-yc2ry2et4h Před 3 lety +1

    옴마니 반메훔 ~🙏🌻☘🌼

  • @Lee-zc5cp
    @Lee-zc5cp Před 4 lety +2

    오늘도 스님따라서 부석사 구경한번 해 봅시다 ㅎㅎ

  • @user-gt2re8yw6b
    @user-gt2re8yw6b Před 4 lety +3

    스님 수고많습니다

    • @TV-tm3tg
      @TV-tm3tg  Před 4 lety +1

      감사합니다! 평안하시기 바랍니다!

  • @NowJinggumdari
    @NowJinggumdari Před 5 lety +13

    부석사 사찰안내를 잘 받았습니다. 편안히 앉아서 전국 각지의 사찰 소개를 받으니 참 좋네요 ^^

  • @user-xd1xk3nf4v
    @user-xd1xk3nf4v Před 5 lety +11

    날씨도 좋고 공기도 좋은 요즘 몸이 불편해서 나가지 못했는데 집에서 편안히 영상을 보니 힐링되고 좋네요^^ 영상 감사히 잘 보았습니다.

    • @TV-tm3tg
      @TV-tm3tg  Před 5 lety +3

      네! 감사합니다! 좋아지면 즐겁게 외출하세요! 아름다운 사찰여행 추천드립니다! 😄

  • @leeo.k.5505
    @leeo.k.5505 Před 5 lety +10

    오늘은 또 어떤 곳일까 일요일만 되면 기대가 됩니다~. ^^
    오늘도 부석사 구경 잘했습니다~~.
    연등회 준비하시랴 사찰 순례하여 동영상 만드시랴 그동안 많이 바쁘셨겠어요~~.
    스님 감사합니다~~♡♡♡

    • @TV-tm3tg
      @TV-tm3tg  Před 5 lety +2

      일요일에 소소한 행복을 드릴 수 있어서 정말 기쁘고 감사합니다! 어제는 연등회와 연등행렬에 다녀왔습니다! 날씨가 좋아서 기분이 더욱 좋았습니다! 항상 함께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wx4pz6kt9m
    @user-wx4pz6kt9m Před 5 lety +13

    부석사에 관심이 많았는데, 이렇게 학습하게 되니 반갑고 감사합니다 ^^

    • @TV-tm3tg
      @TV-tm3tg  Před 5 lety +2

      감사합니다()
      부석사에 예전에도 가 봤었는데요, 최근에 가보니 더 매력적이고 아름다운 사찰이라고 느꼈습니다!
      다음에 꼭 가보세요! 😄

  • @user-lt7rp1jx8j
    @user-lt7rp1jx8j Před 5 lety +10

    호압사에서 강의 잘듣고 있습니다. 부석사의 유래와 창건이야기를 쉽게 설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항상 감사히 보도록 하겠습니다.

    • @user-zh4mb3mv8k
      @user-zh4mb3mv8k Před 5 lety +5

      우리나라의 사찰은 다른 나라에서는
      볼 수 없는 소중한 관광상품으로도
      손색이 없을 정도로 아름답고
      잘 보존된 것 같아 자랑스럽습니다.
      감사합니다 스님 화이팅~~^^

    • @TV-tm3tg
      @TV-tm3tg  Před 5 lety +3

      호압사의 소중한 인연이시군요! 반갑습니다! 아름다운 사찰여행에 동행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항상 건강하시고 행복하시기를 기원합니다😄

  • @fromm7240
    @fromm7240 Před 5 lety +13

    부석사의 부석이 뜨인 돌 이라는 뜻이었군요. 성경에도 뜨인 돌이 나오는데 서로 의미하는 바는 다르지만 재미있네요.

  • @andrewsolomon8312
    @andrewsolomon8312 Před 2 lety +1

    Buseoksa temple is the landmark in Youngju.
    Many thanks.
    ♤♤♤

  • @user-ss1up9gq4m
    @user-ss1up9gq4m Před 3 lety +2

    잘보았읍니다 감사합니다

    • @TV-tm3tg
      @TV-tm3tg  Před 3 lety +1

      즐겁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행복한 시간 보내세요()

  • @user-gl6uu8ql2g
    @user-gl6uu8ql2g Před 4 lety +3

    무여스님
    잘 보았습니다ㆍ
    "날마다 좋은날 되세요ᆢ" 라며
    양손 펼쳐 흔들어 주시는
    모습은 천상의 천진무구한 순수를 연상하게 된다는 아이 같은ㅡㅡㅡㅎㅎ
    고맙습니다 ㆍ

    • @TV-tm3tg
      @TV-tm3tg  Před 4 lety +1

      반갑습니다~칭찬 감사드립니다. 좋게 봐 주신 것 같네요~오늘도 좋은 날 보내세요~

  • @user-ur7bg9sv4s
    @user-ur7bg9sv4s Před 4 lety +4

    여기도 가본절입니다

  • @user-zf7yk1pz8q
    @user-zf7yk1pz8q Před 4 lety +5

    스님이 해설이 너무 좋읍니다. 언제나 건강히 ~~^^

    • @TV-tm3tg
      @TV-tm3tg  Před 4 lety +1

      감사합니다. 건강 조심하십시오()

  • @user-xg6ht7hu5m
    @user-xg6ht7hu5m Před 5 lety +4

    무여스님부석사 좋은 영상 잘 보았습니다.감사합니다.

    • @TV-tm3tg
      @TV-tm3tg  Před 5 lety +1

      늘 함께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날마다 좋은 날 되시기를 바랍니다😄

  • @user-vv9nk8zn6f
    @user-vv9nk8zn6f Před 5 lety +4

    귀신사 무여스님이신가 했어요^^
    조곤조곤 상세히 알려주시니 참 좋습니다🙏

    • @TV-tm3tg
      @TV-tm3tg  Před 5 lety +2

      함께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좋은 영상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 @user-xv9oe5tr9m
    @user-xv9oe5tr9m Před 4 lety +3

    우리 무여스님 좋은사찰여행 앉아서 ,누워서 편히 하게 해주셔서 넘감사하고 고맙슴다

    • @TV-tm3tg
      @TV-tm3tg  Před 4 lety +1

      즐겁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평안한 시간 보내세요!

  • @user-eu3yw6vi3c
    @user-eu3yw6vi3c Před 4 lety +2

    스님따라 우리나라 사찰 여행공부 하고다니면 좋겠읍니다 좋은영상잘보고있읍니다 감사합니다 ~~^

    • @TV-tm3tg
      @TV-tm3tg  Před 4 lety +1

      네, 즐겁게 봐 주셔서 감사합니다. 건강 조심하시고, 행복한 시간 보내시기 바랍니다()

  • @jjk4628
    @jjk4628 Před 4 lety +4

    몇번을 가도 다시 가고픈 사찰 중의 한곳입니다. 무량수전에 모셔진 부처님의 방향이 다른 절과 조금 다른 점에 대해서도 설명 부탁드립니다. 관세음보살()()()

    • @TV-tm3tg
      @TV-tm3tg  Před 4 lety +3

      보통의 불전에는 정면에 불상이 있지만 ,무량수전의 불상인 소조여래좌상(국보 제45호)은 왼쪽에서 오른쪽을 바라보고 앉아 있습니다. 이처럼 특이하게 불상을 배치한 것은 무량수전은 그리 큰 건물이 아니기 때문에 불상을 보통의 경우처럼 정면에 배치하면 사람들과의 거리가 너무 가깝습니다. 이 부분에 비밀이 있는데 무량수전 내부의 왼쪽으로 치우친 곳에 불상을 배치한 것은 먼 거리의 공간감을 만들어내기 위해서입니다. 또한 그 불상 앞에 늘어선 기둥 덕분에 여느 불전에서 느낄 수 없는 장엄함과 경건함까지 줍니다.

    • @jjk4628
      @jjk4628 Před 4 lety +1

      @@TV-tm3tg 친절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무량수전 부처님이 아미타부처님이어서 서방정토에 머무신다는 의미로 서쪽에 모셨다고 말씀하시는 분도 계신데, 스님의 해설이 더 맞는것 같습니다. 관세음보살()()()

  • @user-ey7ee9dj5b
    @user-ey7ee9dj5b Před 4 lety +2

    벌써이십사년이 지난네요 우리가족이랑 여행했는데 의상대사의 지팡이서 잎이피었다는것에 지금다시보니 감회가새롭네요.

    • @TV-tm3tg
      @TV-tm3tg  Před 4 lety +1

      오래 전에 다녀오셨네요~ 추억이 생각나실 것 같습니다.
      건강 조심하시고, 평안하시기 바랍니다()

  • @user-xx1ei8ts6p
    @user-xx1ei8ts6p Před 4 lety +2

    감사합니다 스님의 상세하고 해박한 지식이 예쁜 목소리로 담아 주셔서 잘 듣고 있습니다.

    • @TV-tm3tg
      @TV-tm3tg  Před 4 lety +1

      즐겁게 봐주셔서 감사드립니다. 큰 용기와 힘이 됩니다. 무더운 날씨에 건강 조심하십시오()

  • @dandyan5952
    @dandyan5952 Před 5 lety +11

    먼길 고생하셨고 부석사 잘보았습니다. 조만간 가봐야겠네요. 가끔 사찰을 가곤했는데 스님의 영상들을 보니 지금까지 제가 아무생각없이 다녔는듯 깨닫네요. 일주문이 뭔지도 몰랐으니...ㅎㅎ 좋은하루되세요.

    • @TV-tm3tg
      @TV-tm3tg  Před 5 lety +3

      감사합니다()한 번 시간내서 참배하러 가시면 좋으실 것 같습니다!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어드렸다니, 기쁘네요! 앞으로도 사찰여행에 계속 함께 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 @user-vr8fe7wc4t
    @user-vr8fe7wc4t Před 3 lety +3

    나무관세음보살🙏
    충남 서산에도 부석사
    있어요 전설도 같아요
    그런데 무여스님 안내 말씀을 들어보니 영주
    부서사도 가고싶어요
    오늘은 여기까지 여행
    끝내고 내일 다시 오겠습니다 무여스님
    안녕 🤗내일 뵐게요🙏
    도반님들 글에 좋아요👍
    꾹꾹 눌러주고가요🙋‍♀️

    • @TV-tm3tg
      @TV-tm3tg  Před 3 lety +2

      네, 즐겁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아요도 많이 눌러주시니, 큰 힘이 됩니다.
      다음에 꼭 가보시기 바랍니다~^^
      날마다 좋은 날 되시기 바랍니다()

  • @user-mw9ks7gx4z
    @user-mw9ks7gx4z Před 2 lety +1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 복받는 삶-()-

  • @user-ih7xl1ql4k
    @user-ih7xl1ql4k Před rokem +1

    무여스님. 부석사까지. 가셨네요.스님. 건강하셔야히니. 몸잘챙기시고. 포교하세요. 관음세음보살

    • @TV-tm3tg
      @TV-tm3tg  Před rokem

      즐겁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날마다 좋은 날 되세요~()

  • @user-pu8vp8od4y
    @user-pu8vp8od4y Před 4 lety +3

    스님과의 사찰여행은, 행복하였습니다.
    부석사는, 몇 차례 다녀온 사찰입니다. 응진전, 자인당까지 올라갔었지요.
    안양루에서 바라보는 노을이 무척 아름답다고 합니다만, 저는 그 장엄한(?) 광경을 못 보았습니다.
    선묘당의 벽화는,
    미처 자세히 못 보았는데, 스님의 방송을 통해서 잘 보았습니다^^
    스님의
    건강을 발원합니다.
    합장

    • @TV-tm3tg
      @TV-tm3tg  Před 4 lety +2

      네, 그러시군요! 정말 규모가 크지요!
      노을은 저도 못 봤는데, 보고 싶네요
      즐겁게 봐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평안한 시간 보내시기 바랍니다()

  • @user-xt8ti4np4y
    @user-xt8ti4np4y Před 4 lety +3

    부석사 일주문 정말이지 멋진 건축물 입니다 공으로 가는 길목은 아닐런지 인생의 정답은 무엇인가

  • @user-tw8fr6rz5s
    @user-tw8fr6rz5s Před 3 lety +3

    스님 목소리를 들으면 먼가 힐링이 되는거 같고 절로 웃음이 나옵니다.
    앞으로도 소개한 절이라도 새로운 정보가 있으면 계속 올려주세요 감사합니다

    • @TV-tm3tg
      @TV-tm3tg  Před 3 lety +1

      고맙습니다. 응원해 주시니, 큰 힘이 됩니다. 항상 건강 조심하시고, 정진 여일하시기 바랍니다(✿^‿^)

  • @dabinseori
    @dabinseori Před 4 lety +3

    10여년전 아내와 두 아들을 데리고 가을 사과 수확철 때쯤 다녀 온적이 있는데 일주문을 지나 길 양옆에 노란 은행나무와
    길 양옆 사과 과수원의 익어 가는 사과가 너무 맛있게 보였던 부석사..
    다시 보고 싶었는데..
    찬찬히 살펴 보니 영상이 있군요...
    감사합니다.

    • @TV-tm3tg
      @TV-tm3tg  Před 4 lety +1

      추억 속의 은행나무를 찾아서 다행입니다.
      저도 가는 길에 길에서 샀던 사과가 맛있었던 기억이 납니다.
      즐겁게 봐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행복한 시간 보내세요()

  • @freeman0903
    @freeman0903 Před 4 lety +4

    스님덕분에 아련히 추억속에 있던 부석사에 대해 소상히 알게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TV-tm3tg
      @TV-tm3tg  Před 4 lety +1

      도움이 되셨다니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좋은 영상으로 찾아뵙겠습니다.
      건강 조심하십시오()

  • @briancohen6720
    @briancohen6720 Před 4 lety +4

    언제 가도 늘 좋은 절 부석사~~
    스님 덕분에 사찰 여행 잘 하고 있습니다 _ ( ) _
    무량수전 안에 설명을 자세하게 해 주실 줄 알았는데 너무 빨리 지나가서 아쉬웠습니다
    시간 제한이 있긴 하겠지만 ...
    무량수전 법당은 일반 절과 많이 다른 특별함이 있기 때문이죠

    • @TV-tm3tg
      @TV-tm3tg  Před 4 lety +3

      촬영하는데 어려움이 많았던 기억이 납니다ㅠㅠ그래서 어쩔 수 없었어요.
      죄송합니다~

    • @briancohen6720
      @briancohen6720 Před 4 lety +2

      @@TV-tm3tg 아 그렇군요 미안할 것 까지는 없고요.. 아마도 무슨 사정이 있을 수도 있겠다 생각은 했습니다 ~~ 스님과 이렇게 라도 인연이 닿아서 기쁩니다 ^^ 갑사합니다 ^^

    • @user-yq8pm8xd8y
      @user-yq8pm8xd8y Před 4 lety +1

      무여스님 안녕하십니까
      오늘도 수고많으십니다
      영주부석사
      건축양식 즉 배흘림양식 (기둥중앙이 뚜껍게 배가부른)
      에 대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해 주셨으면 좋겠다 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항상 건강하시고 행복하세요
      감사합니다.
      경남 고성군 동해면 에서...

  • @user-wt9km4ds6f
    @user-wt9km4ds6f Před 4 lety +6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 극락도사 아미타불
    기도발원 원만 성취 기원드립니다._()()()_

  • @user-ok6op8vp9e
    @user-ok6op8vp9e Před 8 měsíci +1

    부석사 무량수전앞 마당밑에는 용의 형상을 한 거대한 암석이 있는것으로 밝혀졌는데, 아마 그 바위옆을 흙으로 채워 마당을 만들고 그위에 무량수전을 건축한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그러니 바위위에 절이 세워졌으니 바위위에 떠 있는 절이라는 명칭이 붙었겠죠?

  • @user-zu8fl6sm5p
    @user-zu8fl6sm5p Před rokem +1

    무여스님 부석사 사찰동영상 잘보고 나갑니다 영주 부석사 유명한 사찰이지요 우리도 다녀왔는데 무여스님 동영상 보니 새롭네요 무여스님 건강 챙기시면서 운전조심했어 다니세요 응원합니다~^^

    • @TV-tm3tg
      @TV-tm3tg  Před rokem

      네, 응원 고맙습니다
      조심히 잘 다닐게요
      즐겁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날마다 좋은 날 되세요🙏

  • @user-gg7ti5mt4q
    @user-gg7ti5mt4q Před 2 lety +1

    무여스님처럼
    절로절로 부처님 도량에
    가는데 요즘 사찰여행
    시청으로 하루가 시작되니
    스님설명 맘에 와닫습니다
    넘 많이 배워고 있습니다
    좋은 도량 부탁드려요

    • @TV-tm3tg
      @TV-tm3tg  Před 2 lety

      즐겁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자주 오세요
      날마다 좋은 날 되세요 🙏

  • @user-cr8ds6tu9e
    @user-cr8ds6tu9e Před 3 lety +2

    작년 10월에 다녀왔어요 영상 보고 갔으면 더 자세히 둘러보았을텐데 다음에 가게 되면 확실하게 보겠습니다 감사드립니다 스님 관세음보살 🙏🙏🙏

    • @TV-tm3tg
      @TV-tm3tg  Před 3 lety +1

      네, 다음에 좋은 날에 또 가보시기를 바랍니다
      항상 평안하시기 바랍니다(✿^‿^)

  • @user-bo5vi2ku4h
    @user-bo5vi2ku4h Před 2 lety +1

    정말 아름답고 예쁜 절이네요. 게다가 건축물 대다수가 국보라니... ^^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TV-tm3tg
      @TV-tm3tg  Před 2 lety +1

      즐겁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날마다 좋은 날 되세요 🙏

  • @user-hs7hs9ww4z
    @user-hs7hs9ww4z Před 4 lety +4

    자주 가는 절이면서도 갈 때마다 좋은 느낌을 받는데 오늘은 스님이 설명을
    해 주니 더욱 실감이 납니다..
    전각 안의 부처님은 일반인들이 감히 촬영 못하는데 영상으로 볼 수있어 더욱 좋습니다.

    • @TV-tm3tg
      @TV-tm3tg  Před 4 lety +3

      네, 반갑습니다. 저도 촬영하기 쉽지는 않았어요ㅠㅠ 힘들게 촬영했지만, 즐겁게 봐 주셔서 기쁘고 감사합니다.
      날씨가 많이 춥습니다. 건강 조심하십시오()

  • @user-rc9qc3ji2b
    @user-rc9qc3ji2b Před 4 lety +2

    잘보았습니다 30여년전 두번 참배 관광 하였습니다 오래된 사찰이고 세계 문화유산으로 국보 와 보물이 많이 있는사찰이지요 선비화 이중 철망으로 보호 하는것을보았 습니다 부석사 올라 가는돠 양쪽으로 사과나무과수원 이였는되 다시가보고 십네요 항상건강하세요 감사합니다....

    • @TV-tm3tg
      @TV-tm3tg  Před 4 lety

      네, 그러셨군요! 지금도 여전할 것 같네요. 영주에는 사과가 유명하죠.
      즐겁게 봐주셔서 감사드리고, 행복한 시간 보내세요!

  • @user-vv9nk8zn6f
    @user-vv9nk8zn6f Před 5 lety +5

    스님~ 영상 감사히 잘 봤습니다. 절명(제목)에 지명을 함께 올려주시면 좋겠습니다. 어디에 있는 절인지 알면 영상보기와 더불어 일부러라도 한 번 가보고 싶습니다.

    • @TV-tm3tg
      @TV-tm3tg  Před 5 lety +1

      영상 초반에 위치가 자막으로 나오는데요.
      제목에도 지명을 올리는 것도 괜찮겠네요.
      조언 감사드립니다.
      동영상 제목 사찰 옆에 괄호해서 지명 넣었
      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관심 가져주시면 큰 힘이 될 것입니다!

  • @user-kg2tv8we2y
    @user-kg2tv8we2y Před 4 lety +3

    나무아미타불
    내고향 영주
    고등학생 시절에 저곳에 갔던 기억이
    있는데 아마도 스님 이야기를 듣고 갔더라면 더 좋았을걸 하는 생각이 듭니다.

    • @TV-tm3tg
      @TV-tm3tg  Před 4 lety +1

      그러셨군요. 부석사 정말 아름다운 사찰이지요. 저도 영상 찍으면서 행복했습니다.
      즐겁게 봐 주셔서 감사합니다. 건강 조심하시고, 평안한 시간 보내세요()

  • @user-ur7bg9sv4s
    @user-ur7bg9sv4s Před 3 lety +2

    여기도 풍수지리로도 유명한 사찰이군요

  • @user-nf2rt8pt7f
    @user-nf2rt8pt7f Před 2 lety +1

    설명감사합니다

    • @TV-tm3tg
      @TV-tm3tg  Před 2 lety

      즐겁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항상 건강하시고 평안하시기를 기원합니다()

  • @user-mz8jo1gj9u
    @user-mz8jo1gj9u Před rokem +2

    부석사는 유명한 절이라서 여러번 가봤지만 선묘,용으로 변해서 배를 보호 했다는 이야기등은 처음 접했네요. 자세한 설명 감사 하고 혹 나중에 가면 아내나 애들 한테 설명 해줄수 있을것 같아 설레네요. 감사 합니다.^^

    • @TV-tm3tg
      @TV-tm3tg  Před rokem +1

      네~다음에 부석사에 참배해 보시면 선묘 이야기를 들려주시기 바랍니다() 즐겁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날마다 좋은 날 되세요~()

  • @user-kr2kq9ro2f
    @user-kr2kq9ro2f Před 3 lety +1

    무여스님
    영주 부석사도 희방사도
    뜨거웠던 여름날에
    남편이랑
    장거리로 갔었던곳
    보면서 배울점도 넘넘 많아요~♡♡
    더운날 여름날에
    희방사의 폭포도 물줄기보면서 더위도 식히고 즐거웠던 여행을
    떠올려 봅니다 ~♡♡

    • @TV-tm3tg
      @TV-tm3tg  Před 3 lety +1

      아름다운 추억이 있으시네요
      날마다 좋은 날 되세요(✿^‿^)

  • @user-gq9lt8dh5p
    @user-gq9lt8dh5p Před 2 lety +1

    오늘 제가 좋아하는 부석사를 소개해주시는군요. 너무 좋아서도 가고 경상도에 유명하고 조용하고 좋으절이라 그런지 갈 기회도 많은 절이었던 같아요
    90년도 한 30년전에 영주국장님께서 우리가 출장을 가니 그쪽 과장들 보구 빨리 끝내구 부석사 구경 시켜주라대요. 정말 감사 했지요. 계단을 올라가면 무량수전측면이 보이죠
    부처님은 들어가서 왼쪽에 계시구요, 특이한것은 물론이구요. 무량수전 글씨쪽에 금빛의 부처님이 보이더라구요. 아마 저녁나절인가? 설명해주신분은 영주의 불교 도사?
    갈때마다 그걸 경험하려 한답니다. 절위에 희방폭포 물줄기가 여름이라 그런지 시원하니 너무 좋았어요. 4계절 모두 좋아요. 부석사 시간만 나면 가고 싶은 곳~~
    무여스님! 부석사 설명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제 얘기가 길어서 죄송합니다. 성불하십시오~~^^

    • @TV-tm3tg
      @TV-tm3tg  Před 2 lety +1

      정성 가득 담긴 댓글 고맙습니다~자세하게 기억하고 계시는군요~많은 분들께도 도움이 될 것 같아요~저도 부석사가 기억에 많이 남습니다. 또 가고 싶네요~
      이야기가 길어서 저는 좋았습니다~즐겁게 봤습니다^^ 항상 건강하시고 평안하시기 바랍니다()

    • @user-gq9lt8dh5p
      @user-gq9lt8dh5p Před 2 lety

      @@TV-tm3tg 정성스런 댓글 감사합니다.

  • @user-beupryunhwa
    @user-beupryunhwa Před 3 lety +2

    부석사를 오늘 자세히 보는데 새로운 사실이 많네요.
    안양루가 새롭게들렸는데 극락세계와 같은 뜻이군요.
    그냥
    무량수전은 가장오래된 목조건물까지만알았는데 주불이 아미타불 상 이 소조(흙으로 만들었다는) 설명이 처음알았네요.
    그냥부처님 대충한번보고 삼배만하고 오니...
    응진전에 있는 석가모니부처님과 16나한님은 소재가 돌인가요?.
    자인전도 처음 보는것같습니다.
    좌우 비로자나부처님이 국보 라구요?.
    다시 스님의 설명을 바탕으로 다시 가봐야겠습니다.

    • @TV-tm3tg
      @TV-tm3tg  Před 3 lety +2

      네, 반갑습니다
      자세히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이제 다음에 가시면 전문가처럼 보실 것 같아요(◕ᴗ◕✿)
      처음 보시는 전각도 있으시죠?
      응진전 부처님은 돌부처님이었던 것 같아요
      건강조심하시고, 평안한 시간 보내세요(✿^‿^)

  • @user-qw1rt4uk6q
    @user-qw1rt4uk6q Před 2 lety +1

    부석사 에 그런 깊은 뜻을 품고 있는 사찰 이군요
    꼭 한번 방문 해 보고싶습니다

    • @TV-tm3tg
      @TV-tm3tg  Před 2 lety

      네, 참 좋은 사찰입니다
      다음에 꼭 참배해 보세요🙏

  • @tv-zm1om
    @tv-zm1om Před 3 lety +2

    참 !조오네 ! 근일 스님은 법체 편안하시든가?참 공부인이지!

  • @user-rs3es5sd8s
    @user-rs3es5sd8s Před 3 lety +1

    감사드립니다.

    • @TV-tm3tg
      @TV-tm3tg  Před 3 lety

      즐겁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rx5ue5mz4j
    @user-rx5ue5mz4j Před 4 lety +5

    종교는 달리하지만 예전에 휴가 때 마다 가족과 가서 영주음악회와 부석사 들러 마음 정화했는데 ,언젠가 입구에 화강암으로 된 건축물이 들어서 불편했네요

    • @TV-tm3tg
      @TV-tm3tg  Před 4 lety +2

      그러셨군요~ 어떤 건물인지 잘 모르겠네요.
      저는 못 본 듯해서요. 좋은 추억 간직하셨으면 좋겠습니다. 건강 조심하십시오()

  • @user-xe5oc9mq7w
    @user-xe5oc9mq7w Před 2 lety +1

    스님 오랫만에 뵙습니다.🙏🙏🙏 선묘가 의상대사님을 흠모하면서 바다에 몸을 던져 용이되어 의상대사님을 보호하고 큰 바위를 사람들의 머리위로 들어 올렸다는 부석의 창건설화가 깃든 천년고도 아름다운 사찰 부석사! 스님의 아름다운 사찰여행 영상물 다시 재방 합니다.큰형님 계신 영주라서 예전 서너번 참배 했더랬죠. 요즘 형님께서 많이 아프셔요. 무장무애를 기도 드리면서. 🙏🙏🙏 오늘 수뭔 봉녕사에 극락왕생 하신 모친을 위해 대적광전에 영가등 하나를 올렸습니다.부처님 진신사리 9과가 모셔진 불탑에서 탑돌이도 했습니다. 길었죠! 스님 환절기 몸 건강 하셔요.또 뵙겠습니다🙏🙏🙏

    • @TV-tm3tg
      @TV-tm3tg  Před 2 lety +1

      네, 그동안 잘 지내셨는지요?
      부석사 너무 좋지요
      형님께서 아프시다니 맘이 좋지 않네요
      건강 회복하시길 기도합니다
      사찰도 자주 참배하시니, 참 좋습니다
      원하시는 바 원만 성취하시길 기원합니다 🙏

  • @user-uf8yr8xx5d
    @user-uf8yr8xx5d Před 4 lety +4

    부석사는 일주문 입구부터 제일 위 무량수전까지 한결 같은 구릉의 긴 오르막 입니다. 허리를 굽히고 땀을 흘리며 겸허를 일깨우는것 같습니다.
    당간지주 높이가 4,2m로 얼마나 큰 절이었는지 알려 줍니다. 무량 수전은 한때 최고 오래된 목조건물로 알려졌으나 봉정사 극락전에게 자리를 내어주었지요.
    `무량수전 배흘림 기둥에 기대서서`라는 최순우 의 답사기책을 아시지요. 한국의 문화유적을 가장 잘 표현 하는 말이 아닐까 합니다.

    • @TV-tm3tg
      @TV-tm3tg  Před 4 lety +2

      자세한 댓글 감사합니다. 많은 분들에게도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복 받으실 거에요~행복한 시간 보내세요()

  • @user-sx7en4tn6r
    @user-sx7en4tn6r Před 3 lety +2

    무여스님과함께하는사찰여행부석사(경북영주)

    • @TV-tm3tg
      @TV-tm3tg  Před 3 lety +1

      즐겁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날마다 좋은 날 되세요()

  • @user-ie1mw3pp8u
    @user-ie1mw3pp8u Před 3 lety +2

    내고향옆영주부석사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절입니다
    특히무량수전은목조건물입니다
    영주사과도댓길이죠

    • @user-ie1mw3pp8u
      @user-ie1mw3pp8u Před 3 lety +1

      늙어서리오타좀있네요
      이해주시길바람니다

    • @TV-tm3tg
      @TV-tm3tg  Před 3 lety

      네, 그렇지요! 고향이시군요! 참 좋은 사찰이지요. 즐겁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qj2oi7vf6n
    @user-qj2oi7vf6n Před 4 lety +3

    팔작지붕이 아니고 주심포 맞배지붕으로 알고 있습니다

    • @TV-tm3tg
      @TV-tm3tg  Před 4 lety +3

      맞배지붕은 건물의 옆에서 볼 때 지붕이 시옷(ㅅ)자 형태로 된 지붕을 말합니다. 처마 양끝이 조금씩 올라가고 측면은 대부분 노출되는 구조미를 이룹니다.
      팔작지붕은 정면에서 볼 때 지붕이 치마모양으로 생긴 것으로, 곡면이 특이합니다. 이 양식에는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양산 통도사 불이문 등이 있습니다.

    • @changhyunkim7530
      @changhyunkim7530 Před 4 lety +2

      무량수전은 팔작지붕이지만, 조사당은 맞배지붕이 맞습니다. 간혹 틀리는 부분이 있어야 구독하는 재미가 더해집니다. ㅎㅎ . 오늘은 부석사 여행 즐거웠습니다. 감사드립니다~~

  • @user-pf5yj5of7h
    @user-pf5yj5of7h Před 4 lety +3

    부석사 4사자삼충석탑있는곳아닌가요? 그것도 국보라던데

    • @TV-tm3tg
      @TV-tm3tg  Před 4 lety +1

      제가 알기로는 사사자삼층석탑ㅡ국보
      는 구례 화엄사에 있는 것으로 압니다
      제 영상ㅡ화엄사 편에 있습니다

    • @user-pf5yj5of7h
      @user-pf5yj5of7h Před 4 lety +1

      @@TV-tm3tg 아 ,,맞네요., 감사합니다

  • @user-wy2hu1dv7d
    @user-wy2hu1dv7d Před 4 lety +3

    서산부석사 와 영주 부석사의 전설이 비슷한데 맞는지요?

    • @TV-tm3tg
      @TV-tm3tg  Před 4 lety +2

      네, 맞습니다. 사찰 이름도 같네요()

  • @user-ps3ou8gz3y
    @user-ps3ou8gz3y Před 4 lety +4

    화염경....금강경 ~~~~ 좋은 불교서적 !!!

  • @user-ih7xl1ql4k
    @user-ih7xl1ql4k Před rokem +1

    스님 저는 스님만 보면행복합니다요

    • @TV-tm3tg
      @TV-tm3tg  Před rokem

      감사합니다~늘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 @user-us4fy6lt3u
    @user-us4fy6lt3u Před 2 lety +1

    성불하고 갑니다

  • @gotrade21
    @gotrade21 Před 3 lety

    성불하십시요~

    • @TV-tm3tg
      @TV-tm3tg  Před 3 lety

      나무아미타불.. 날마다 좋은 날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