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을 조건으로 태어남이 있다ㅣ사성제 법회 10ㅣ일묵스님ㅣ초기불교 제따와나선원

Sdílet
Vložit
  • čas přidán 2. 06. 2020
  • *** ‘사성제법회’는 불교의 핵심 가르침인 사성제를 주제로 진행되는 법회입니다. 법회의 교재인 [사성제] - 일묵스님, 불광출판사 - 는 전국 오프라인, 온라인 서점에서 구입하실 수 있습니다.
    1. 업은 행위의 의도입니다. 자신의 의도적 행위에는 결과가 따릅니다. 하지만 흔히 오해하듯 특정 업이 꼭 어떤 결과를 일으킨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왜냐하면 업은 상호작용을 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과거 해로운 업을 지은 분들은, 지금부터 유익한 업을 많이 지으면 됩니다.
    2. 많은 업 중 특정한 한 업 (무거운 업, 임종 가까이서 지은 업, 습관적인 업, 이미 지은 업)은 다음 생에 31가지 세상 중 하나에 태어나게 합니다. 다른 업들은 현생이나 내생에 행복하거나 괴로운 과보를 맺습니다.
    3. 특정 업으로 다음 생에 태어나는 것은 크게 4가지로 구분해 볼 수 있습니다.
    (1) 평상시 해로운 업을 짓고 임종 가까이에서도 악업을 지어 악처에 태어나는 경우.
    (2) 평상시 해로운 업을 지었지만 임종 가까이 유익한 업을 지어서(ex. 바른 견해를 확고히 하여) 선처에 태어나는 경우.
    (3) 평상시 유익한 업을 지었지만 임종 가까이 해로운 업을 지어(ex. 악행에 대한 후회) 악처에 태어나는 경우.
    (4) 평상시 유익한 업을 지었고 임종 가까이에서도 유익한 업을 지어 선처에 태어나는 경우.
    위에서 보듯 무거운 업이 없다면, 죽음 직전의 마음 상태에 따라 태어날 곳이 달라질 수도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죽음 직전에 정신을 명료하게 하고, 유익한 업과 함께 죽음을 맞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 지은 업(존재)에 따라 특정 세상에 태어나는 것을 크게 4가지로 구분해봅시다.
    (1) 욕계 해로운 업 (ex.살생, 도둑질, 삿된 음행, 거짓 말, 거친 말, 이간질, 쓸데없는 말, 탐욕, 적의, 그릇된 견해) 을 조건으로 욕계 악처(지옥, 축생, 아귀, 아수라)에 태어납니다.
    (2) 욕계 유익한 업 (ex.살생하지 않음, 도둑질 하지 않음, 거짓 말 거친 말 이간질 쓸데없는 말 하지 않음, 탐욕 없음, 적의 없음, 바른 견해)을 조건으로 욕계 선처(인간계, 욕계 6천상)에 태어납니다.
    (3) 색계 네 가지 선정의 의도를 색계 업이라 합니다. 초선의 업은 초선천(범중천, 범보천, 대범천), 이 선의 업은 이선천(소광천, 무량광천, 광음천), 삼 선의 업은 삼선천(소정천, 무량정천, 변정천), 사 선의 업은 사선천(광과천, 무상유정천, 정거천 5가지)에 태어나게 합니다.
    (4) 무색계 네 가지 삼매의 의도를 무색계 업이라 합니다. 무색계 업을 조건으로 무색계 네 가지 세상 중 한 곳에 태어납니다.
    5. 업이 곧 존재입니다. 그러므로 존재(업)을 조건으로 태어남이 있습니다. 이때 업 대신 존재라는 표현을 쓰신 것은, 화생의 경우 특정 업이 바로 특정 세계의 존재를 만들기 때문이기도 하고, 태어난 존재가 있어야 업을 짓고 업을 조건으로 태어나 존재하는 이 과정의 연속을 실감 나게 보여주는 표현이기 때문이지 않을까 추측됩니다.
    다음 시간에는 업을 짓게 하는 조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영상은 후원회비로 만들어집니다.
    시청 후 남겨주시는 댓글 한 줄이 부처님의 가르침을 널리 알리는 데에 큰 도움이 됩니다.
    제따와나선원 홈페이지: www.jetavana.net

Komentáře • 32

  • @user-nr8mx5uf6i
    @user-nr8mx5uf6i Před 11 měsíci +1

    부천님의 지혜의 말씀에 어리석은 마음을 알고 집착을 내려놓습니다~~🧎‍♀️🧎‍♂️🧎‍♀️🙏🙏🙏

  • @user-dc8xl6of6m
    @user-dc8xl6of6m Před rokem

    좋은 법문 감사합니다

  • @user-jk6gx8we8h
    @user-jk6gx8we8h Před rokem

    감사합니다.스님
    사두 사두 사두

  • @user-ok6op8vp9e
    @user-ok6op8vp9e Před rokem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 무상,무아,업장소멸

  • @user-rs2cs2fq4i
    @user-rs2cs2fq4i Před rokem

    나무아미타불 고맙습니다

  • @HAPPY-si6mq
    @HAPPY-si6mq Před rokem

    귀한 법문

  • @HAPPY-si6mq
    @HAPPY-si6mq Před rokem

    감사합니다

  • @user-fy9th2js1h
    @user-fy9th2js1h Před rokem

    나무약사불 나무일광보살 나무월광보살
    옴기리나라 모나라 훔바탁~중생 모두평안

  • @user-ol3bf7em7r
    @user-ol3bf7em7r Před 4 lety +8

    스님. 법문 정말 감사드립니다.

  • @TV-yd3rp
    @TV-yd3rp Před 4 lety +6

    스님~ ^^ 늘 건강기원드립니다 ㆍ

  • @user-eo5fe3gl4k
    @user-eo5fe3gl4k Před 4 lety +8

    법문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8xsoldier
    @8xsoldier Před 4 lety +6

    법문 감사합니다!

  • @user-tc1im8ri1c
    @user-tc1im8ri1c Před 2 lety +1

    사두사두사두 스님 귀하신 법문감사합니다

  • @user-iu6fh8fr2h
    @user-iu6fh8fr2h Před 4 lety +8

    오늘도 스님의 법문을 너무 감사하게 듣고있습니다.
    스님,더위조심하십시오._()_

  • @user-oo3tx2jw4s
    @user-oo3tx2jw4s Před 3 lety +2

    다시 번복해 듣습니다
    스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user-gr3vh5ob3v
    @user-gr3vh5ob3v Před 3 lety +1

    일묵스님 귀한법문 감사 드립니다..

  • @user-bg4ls5bx6q
    @user-bg4ls5bx6q Před 3 lety +2

    훌륭한 법문 잘 듣고 있어요.
    윤회를 확실히 알고 믿게 되었어요.
    감사드립니다.

  • @user-yq3dw2py1e
    @user-yq3dw2py1e Před 2 lety

    나무석가모니불,귀하신법문,너무,감사드립니다

  • @user-mm8yk6lz5h
    @user-mm8yk6lz5h Před 3 lety +1

    이렇게 흥미진진하고 재밌는 법문은 처음 입니다.

  • @user-oo3tx2jw4s
    @user-oo3tx2jw4s Před 3 lety +1

    사두 사두 사두()()()

  • @user-uj2bz7te4l
    @user-uj2bz7te4l Před 3 lety +1

    업과 업력 (업의 잠재력) / 업은 숙명론적 결정론적이 아닌 여러가지 조건중의 하나로 상호작용하는 것 이지만
    죽음 직전의 업은 다음 생을 결정짓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업은 화생인 경우 바로 존재가되는 것이고
    업은 존재의 원인이 되는 것이므로 업을 존재라고 하기도 한다. / 감사합니다.

  • @dogichow2
    @dogichow2 Před 3 lety +1

    어려운 사후세계 이야기를 쉽게 설명해주시어 감사합니다_()_

  • @tv-2671
    @tv-2671 Před 4 lety +8

    스님..좋은 법문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czcams.com/video/8RLs6z419tI/video.html

  • @nameno4381
    @nameno4381 Před 3 lety

    불교는 악한 면과 선한 면, 쾌락과 자학, 생과 사, 양극단의 중심을 잡는 중도의 철학인 듯 싶네요

  • @jiyeonkim2196
    @jiyeonkim2196 Před 4 lety +1

    어디서부터 어디까지가 “업” 인지 궁금했는데 가르쳐주셔서 감사합니다 스님께서 계신 곳은 너무 멀고 BTN에 전화 한통으로
    감사에 대한 표시를 전합니다 (Na YOON SHIK) 스님! 마음과 영혼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 저는 표현의 차이점이지, 같다고 생각했는데
    다르다고 어느 분께서 말씀하시더군요 가르쳐주세요

    • @user-cz1yv2gb3d
      @user-cz1yv2gb3d Před 4 lety

      마음은 대상을 아는 것입니다.예를 들어 눈을 통해 대상을 알면 안식이라고 하죠.대승불교에서는 마음을 먼가 대단한 것처럼 취급하지만 남방불교에서는 마음은 대상을 아는 것 이상도 이하도 아닙니다.영혼이나 자아가 있다고 여기는 것은 부처님께서 잘못된 견해라고 보신 단견과 상견 중 상견에 해당합니다. 모든 현상을 무상고무아로 보는게 바른 견해입니다.

    • @user-co4kv1ty4c
      @user-co4kv1ty4c Před 4 lety

      @@user-cz1yv2gb3d 감사합니다.

  • @user-cz1yv2gb3d
    @user-cz1yv2gb3d Před rokem

    아라한 아들을 둔 사냥꾼이 아버지인 얘기가 경전에 나오던데요.임종에 가까워서 처음에는 악업때문에 지옥의 모습이 보이고 부처님께 공양한 후에는 천상의 모습이 보인다고 나오는데요.
    미래생의 모습이 보인다는건 미래생의 모습이 미래생의 눈감각기관과 접촉이 일어나서 안식이 일어났다는 뜻으로 이해됩니다.그럼 식이 현재생에 일어나다가 미래생에 나타날 존재에게 일어났다가 다시 현재생의 존재에 일어나면서 왔다갔다 하면서 일어나는 것일까요?갑자기 궁금해져서 질문 드립니다.

  • @user-nl9md7rc4c
    @user-nl9md7rc4c Před rokem

    관상 볼줄 모르지만관상이 엄청 좋으신거같습니다.

  • @user-gf5ce2fy7w
    @user-gf5ce2fy7w Před 3 lety

    이름을내려주시면않되겠습니까?

  • @HAPPY-si6mq
    @HAPPY-si6mq Před rokem

    감사합니다

  • @user-dc9jl6ek4r
    @user-dc9jl6ek4r Před 3 lety +2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