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망에 빠진 플라톤이 생애를 바쳐 고민한 국가 | 5분 특강, 세상을 움직이는 생각

Sdílet
Vložit
  • čas přidán 28. 01. 2021
  • '도대체 이런 생각은 누가, 언제, 어떻게, 왜 한 것일까'
    세상을 움직이는 생각, 생활과 윤리_ 플라톤의 [국가], '이데아' 그리고 그의 생각이 지금 우리에게 주는 의미는?
    더 많은 5분 특강 무료로 챙겨보기 ▶bit.ly/2XSk6BB
    EBSi 국가대표 고교 강의 ▶ www.ebsi.co.kr

Komentáře • 38

  • @winwinearth
    @winwinearth Před rokem +1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Leeleean5757
    @Leeleean5757 Před 9 měsíci +1

  • @user-te7oj7rm5x
    @user-te7oj7rm5x Před 10 měsíci +2

    플라톤은 이상세계 이데아 영적 형이상학적이네요

  • @Kyeoung
    @Kyeoung Před rokem +4

    인간의 욕심은 계산 할 수 없기에 모든 것이 정답도 오답도 되니까 시기적절한 인물이 나타나는것이 베스트 같기도 합니다

  • @user-gu5hr5yw3f
    @user-gu5hr5yw3f Před 4 měsíci +1

    철학은 물음표만 있고 답은 없죠

  • @whiteboard9125
    @whiteboard9125 Před rokem +1

    상상만 해도 가슴떨리고 행복감이 밀려옵니다

  • @newbee3001
    @newbee3001 Před 2 lety +28

    플라톤은 민주정에서 저런 생각한 이유가 있음. 천재 철학자답다. 철인 정치가 답이다. 민주주의는 시간,돈에 들어가는 비용이 너무 비효율적이고 쓸데없는 평등선거로 인해 부작용이 속출한다. 지금이 민주정이 당연하지만 훗날 후손들은 인공지능과 같은 의사결정 모델 발명으로 정치적인 초고도발전 국가가 되어있을것. 후손들은 민주정을 엄청 비웃을것이라 예견한다.

    • @user-ey2cd5ip3r
      @user-ey2cd5ip3r Před 2 lety +4

      씁쓸하게도 대부분에겐 설득시킬수없수 없을정도로 실존주의에 찌들어서 인지부조화가 온 사회구조지만 정말로 플라톤이 이야기했던 모두의 선이 명확해지는 시대가 온다면 정말 미래는 어둡지 않을거라 봅니다.

    • @user-ie3vu8hg7z
      @user-ie3vu8hg7z Před 6 měsíci +1

      소수가 독점한 절대권력은 반드시 부패한다.

    • @user-jq7bc1pt1o
      @user-jq7bc1pt1o Před 6 měsíci +1

      엘리트 독재가 최고다

    • @user-ie3vu8hg7z
      @user-ie3vu8hg7z Před 6 měsíci +1

      @@user-jq7bc1pt1o 내가 최고의 엘리트다라고 생각하잔아. ㅋㅋㅋㅋ 😆 😎

    • @user-jq7bc1pt1o
      @user-jq7bc1pt1o Před 6 měsíci

      @@user-ie3vu8hg7z 민주정 최고 단점이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는 거지

  • @hyunjin3062
    @hyunjin3062 Před 2 lety +1

    이이잉

  • @user-qq6wx8mg5q
    @user-qq6wx8mg5q Před 2 měsíci

    플라톤의 이데아처럼=정신 이상자
    개념도 없을 것 입니다.
    ■이 개념은=수많은 종교권력자들의
    횡포를 정당화 했습니다.

  • @user-hg4uv2in6t
    @user-hg4uv2in6t Před 3 měsíci

    우리나라에서 부디 실현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 @user-mn2wb8ng4q
    @user-mn2wb8ng4q Před 2 lety +4

    그럼 생산자에게는 사유재산이나 육아 등등을 가지고 있을 수 있나요??

    • @user-gk1ye7ei1k
      @user-gk1ye7ei1k Před 2 lety +2

      넵 !

    • @swelling_wave
      @swelling_wave Před 8 měsíci

      네 그렇습니다. 수호자도 아이를 출산할 수 있긴 합니다. 다만 다른 수호자들과 함께 공동 육아를 함으로써 가족에 대한 집착을 가져서는 안 됩니다.

    • @user-ie3vu8hg7z
      @user-ie3vu8hg7z Před 6 měsíci +1

      ​@@swelling_wave자본주의 시장경제와는 완전히 반대네요. 😢😢😢

  • @user-zq6lv5cx7v
    @user-zq6lv5cx7v Před rokem +5

    사유재산금지. 공동거주. 공동육아...
    이상국가?
    말그대로 이상적인국가..
    천사들이 사는 천국에서나 가능한 이상국가..

  • @user-eq7wr1zt1e
    @user-eq7wr1zt1e Před 3 lety +5

    ? 내가 첫 댓글이넹

  • @vruzekschol2636
    @vruzekschol2636 Před rokem +1

    이상국가는 피아노 배경음악ㅇ.로 점철됔 나라?

  • @lee-xb6lo
    @lee-xb6lo Před 3 lety +12

    내가 잘못 이해하는 걸까?!...
    저건.... 사회주의, 공산주의... 독재....
    북한 얘기같이 느껴진다....ㅋㅋㅋ

    • @user-camus
      @user-camus Před 2 lety +31

      이걸 어떻게 공산주의로 이해함...?? 지배자 그리고 수호자 계급의 사유재산만 박탈 하지 우리같은 생산자는 당연히 사유재산을 가질 수 있음

    • @user-yf5ue6uv8x
      @user-yf5ue6uv8x Před 2 lety +28

      하긴 아는게 북한밖에 없으니 ㅋㅋ 공산주의랑 사회주의 구분도 못하고 똑같이 쓰니까 이해할게 ㅋㅋ

    • @user-camus
      @user-camus Před 2 lety +1

      @카캭캭캭 말 그대로 엘리트 정치의 전형임 당연히 부패할수밖에 없는 구조

    • @user-rv3ch1zg5o
      @user-rv3ch1zg5o Před 2 lety +12

      일단 국가 또는 '정체'라는 책을 읽고 이야기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플라톤이 이야기한 철인 정치는 소수(독재자)에 의한 통치가 아니라 사물의 본질-세상의 본질-을 알 수 있는 철인(철학자)들에 의한 통치를 말한 것이다. 사물과 사람이 있어야할 본연의 위치에 놓을 수 있는 철인이 통치한다면, 정의로운 사회가 될 수 있지 않을까 라는 플라톤의 숙고를 느껴보시길.

    • @yoursmilefor2368
      @yoursmilefor2368 Před 2 lety +1

      플라톤의 국가는 해석의 시각에 따라 굉장히 다방면하게 해석이 됌.
      근데 EBS가 종북좌파의 성향이 무지하게 강한 채널이라서
      그런 식으로 해석해 놓은거임.

  • @ludwigwittgenstein9243
    @ludwigwittgenstein9243 Před rokem +1

    공자와 똑같네. 신만 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