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이 보이지 않는 30m 땅굴 속, 산소 파이프 하나 믿고 보석을 캐는 스리랑카 사람들│스리랑카 보석 광산│극한직업│

Sdílet
Vložit
  • čas přidán 19. 05. 2024
  • ※ 이 영상은 2013년 8월 7일에 방송된 <극한직업 - 스리랑카 보석 광산 1~2부 >의 일부입니다.
    세계 5대 보석생산국인 스리랑카.
    블루 사파이어, 루비, 캣츠아이 등 값비싸고 아름다운 보석을 간직한 나라다.
    스리랑카에서도 ‘보석의 도시’라 불리는 라트나프라는 땅 면적의 90%에 보석이 매장되어 있다.
    약 30m 지하까지 연결된 보석 광산은 기계의 도움 없이 100% 수작업으로 만들어진다.
    삽으로 땅을 파고 물에 강한 고무나무와 나뭇잎을 이용해 무너지지 않게 지지대를 만든다.
    광산 안은 습할 뿐만 아니라 허리도 펼 수 없고 숨 쉬기조차 버거운 좁은 공간.
    언제 닥칠지 모르는 붕괴의 위험 속, 고가의 보석을 채집한다는 자부심을 가지고 한평생 묵묵히 보석을 캐는 스리랑카 보석 광부를 만나본다.
    - 30m 깊이의 보석 광산을 만들어라!
    광부들은 보석을 채취하기 위해 삽을 이용해 30m까지 땅을 파 내려간다. 적정 깊이에 닿으면 방향을 바꿔 공간을 넓혀간다. 이 지역의 토질은 진흙에 가까워 쉽게 무너질 수가 있다. 그래서 이들은 물에 강한 고무나무와 나뭇잎으로 벽을 단단히 고정하며 땅을 판다. 광산 내부는 고작 너비 1.2m의 좁은 공간. 파이프를 이용해 산소를 공급하지 않으면 숨 쉬기가 버거울 정도로 극한 환경 속에서 그들은 쉼 없이 땅을 파 내려간다.
    - 광산 제작의 필수 자재. ‘고목나무’를 벌목하라!
    라트나푸라 토질은 묽고 유독 지하수가 많이 흘러나와 붕괴의 위험이 크다. 그래서 광산에 쓰이는 자재는 까다롭게 선별한다. 주로 물에 강한 성질을 가진 ‘고무나무’와 질긴 나뭇잎을 사용한다. 고무나무는 라트나푸라 인근 산에서 벌목한다. 버팀목으로 사용되는 나무는 크기가 커서 벌목 작업 또한 만만치 않다. 자재를 준비하는 일꾼들은 작은 전기톱 하나로 거대한 나무를 넘어뜨리고 맨손으로 나뭇잎을 모아 광산으로 운반한다.
    - 흙더미에서 보석을 발견하라!
    광산 내부에서 포대에 담아 올린 흙은 근처 물웅덩이로 운반한다. 그 흙을 소쿠리에 담아 물에 흔들어 흙을 씻어낸다. 씻어내는 과정에서 자칫하면 보석까지 흘러내릴 수가 있기 때문에 오랜 경험에서 온 숙련된 기술력이 필요한 작업이다. 이렇게 씻어낸 모래 속에서 다양한 보석이 발견된다.
    - 광산 속 어둠, 습기와의 사투!
    보석 광산 내부는 작은 전구 하나에 의지한 채 작업을 한다. 그마저도 지하수로 인한 습기 때문에 꺼지는 일도 부지기수. 작업을 시작하기 전 고인 지하수를 빼는 과정이 있을 만큼 지하수가 많이 흘러나온다. 온종일 광산 안에서 작업하고 나면 광부들의 몸은 땀과 물, 흙으로 범벅된다. 적당한 깊이까지 파고 나면 드디어 보석이 섞인 흙이 나온다. 그 흙을 포대에 담아 밖으로 운반한다.
    - 아름다운 보석이 거래되는 라트나푸라 보석시장에 가다!
    라트나푸라에는 약 5000여 개의 보석 광산이 있다. 광산에서는 사파이어, 루비, 캣츠아이 등 다양한 종류의 보석이 발견된다. 이 보석들은 광산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보석 시장에서 활발히 거래가 이루어진다. 보석의 도시답게 하루 거래량은 약 5억 원을 넘나든다. 원석을 세공해서 액세서리로 만드는 곳도 밀집되어 있어서 주민들은 물론 관광객들도 즐겨 찾는 명소가 되었다.
    - 스리랑카 보석 광부, 그들의 삶을 만나다!
    라트나푸라의 대부분 사람은 광산을 만드는 일부터 판매하는 일까지 한평생 보석과 동고동락한다.
    광산으로 내려가기 전 신에게 안전을 기원할 정도로 위험한 직업이지만 고가의 보석을 채집한다는 자부심 하나로 묵묵히 일하는 사람들. 스리랑카 보석 광부들의 치열한 삶의 현장이 펼쳐진다.
    ✔ 프로그램명 : 극한직업 - 스리랑카 보석 광산 1~2부
    ✔ 방송 일자 : 2013.08.07

Komentáře • 51

  • @user-qv8mi6fj7w
    @user-qv8mi6fj7w Před 21 dnem +5

    이런게 극한직업이지
    중국의 잔도공과 화산짐꾼 대한민국의 송전탑에서 일하시는분들
    진짜 극한에 극한직업임

  • @user-juol
    @user-juol Před 29 dny +7

    예전에 봤던건데 또봐도 재밌네

  • @exeiii
    @exeiii Před 29 dny +7

    ebs 센스 지리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30skim22
    @30skim22 Před 16 dny +8

    이거 저거 찍으러간 카메라맨도 극한직업이야 ㅋㅋㅋㅋ

  • @jamong_infp
    @jamong_infp Před 2 dny

    36:34 히야옹~

  • @user-tk5ev3fn3c
    @user-tk5ev3fn3c Před 29 dny +5

    유튜브 왜 극한의 직업 이비에스 알고리즘이 계속 따라 다니냐 ?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podol01
      @podol01 Před 29 dny +1

      한번 보면 계속 따라다니는듯ㅋㅋㅋ나도 계속뜸

  • @user-hl7lo3qp2r
    @user-hl7lo3qp2r Před 17 hodinami

    폐쇄공포증 오것다 ㄷㄷ

  • @zip40
    @zip40 Před 4 dny

    잼나네 잼나 ㅋ

  • @user-nk5bb3kf4s
    @user-nk5bb3kf4s Před 9 dny

    정말 보석은 사치용이구나

  • @Joshepchi
    @Joshepchi Před 29 dny +9

    빠니가 갔던 광산이 이런 것이군요. ^^ 좋은 다큐 언제나 감사드립니다. 앗싸 1등

  • @user-cw5lx3du3m
    @user-cw5lx3du3m Před 29 dny +5

    이거보니 왜 보석이랑 금이 비싼지 알겠다....진짜 고생 많네

  • @user-kq2lq5lx9c
    @user-kq2lq5lx9c Před 17 dny

    한국이야기하면 옜날구석기시대같군요❤❤

  • @thisismynameee
    @thisismynameee Před 8 dny

    저게 현실 마크네

  • @user-du6dh5ou1f
    @user-du6dh5ou1f Před 6 dny

    와 굴삭기좀지원해야되는거아니야 ㄷㄷ

  • @yrko8668
    @yrko8668 Před 21 dnem +1

    나도보석을같고싶은데....돈이부족해서

  • @Parksun12
    @Parksun12 Před 29 dny +6

    툭툭 외노자가 갔다온 곳이네

  • @user-ig6rp3jp4x
    @user-ig6rp3jp4x Před 26 dny +3

    가격으로 환산 할 수 없어서
    금고에 평생 모셔두면 결국 그냥 돌덩이랑 같은거지ㅠㅠ

  • @user-wn4nx3mi4f
    @user-wn4nx3mi4f Před 29 dny +6

    빠니보틀

  • @jeongyj3078
    @jeongyj3078 Před 6 dny

    바위만한 다이아몬드 실화냐? 투명도 지린다 39:00

    • @DD_DD_DD
      @DD_DD_DD Před 4 dny

      링크좀 안보임
      토파즈라는데

  • @user-nb7fq9rr6e
    @user-nb7fq9rr6e Před 3 dny

    돌이 없으니 가능하지

  • @Fungengiz
    @Fungengiz Před 27 dny +1

    극한직업: 극한직업 제작진

  • @usqwqwNeWs
    @usqwqwNeWs Před 29 dny +4

    보석 없다

  • @user-bo8qz2ed8t
    @user-bo8qz2ed8t Před 27 dny +1

    나무가 안 썩는게 신기하다.

    • @user-gp2vc4yy4q
      @user-gp2vc4yy4q Před 6 dny +1

      물에 계속 젖어있으면 썩지 않습니다

  • @user-xf5wl1cg9r
    @user-xf5wl1cg9r Před 14 dny +1

    오평파
    왐마 여긴 아니네

    • @donghyunkim2950
      @donghyunkim2950 Před 10 dny

      나도 오평파보다 왜 여기있는걸까 ㅋㅋㅋㅋㅋ

  • @windlimpid6942
    @windlimpid6942 Před 23 dny +1

    빠니보틀보고 이 영상이 떴네요;;;

  • @hjlee3985
    @hjlee3985 Před 29 dny

    밀킹 했고, 인지 못하고 쥐고 있다가 터졌거나, 밀킹 후 투척했으나 코앞에서 터졌나보네

  • @WINDTVMYNAMEWIND
    @WINDTVMYNAMEWIND Před 29 dny +34

    빠니보틀 영상 보고 알고리즘 추천뜬사람 개추!

  • @ara-flower
    @ara-flower Před 10 dny +6

    없어도 살아가는데 전혀 지장없는 사치품일 뿐인 조그만한 돌조각은 수천 수억을 호가하고 없으면 살 수없는 물은 왜 항상 낭비되고 싼 것인 가?

    • @kimpilist
      @kimpilist Před 9 dny +2

      사용 가능한 물이 있도라도 적재적소로 옮기는게 힘듦. 그러니까 문명들의 시초도, 대도시도 강을 끼고 있지요. 미국만봐도 뉴욕 맨하탄도 허드슨강이 있고, 시카고도 미시건 호수가 크게 있지요. 또한 그런 도심지의 부동산에도 영향을 주어 비싸지 않은가 싶어요. 결국 물이 싸지는 않습니다. 비용을 알게모르게 치르고 있다 생각합니다.

    • @zzj7332
      @zzj7332 Před 6 dny +1

      가치가 다르니까... 자본주의 사회에선 당연한거지

    • @sexylofer
      @sexylofer Před 5 dny

      헛소리 입다물고 영상이나봐요~

    • @kangking6641
      @kangking6641 Před 5 dny

      공급과 수요에 의해 가격은 정해집니다... 😂

  • @yrko8668
    @yrko8668 Před 21 dnem +2

    너무위험할거같음

    • @yrko8668
      @yrko8668 Před 21 dnem

      나도같은생각임

  • @user-sg8rq8rt6p
    @user-sg8rq8rt6p Před 29 dny

    만약에 발동기가 고장나서 꺼지게 되면 물이 차올라 잠길건데 위태롭네

  • @user-ol7ju1bj2d
    @user-ol7ju1bj2d Před 29 dny

    얇은 이 아니고 가는 이겠죠.

  • @mariasanchez7308
    @mariasanchez7308 Před 6 dny

    장비도 없이 참 가난한 나라

  • @minkim2476
    @minkim2476 Před 29 dny +2

    그만즘 우려 먹어라 옛날꺼 올리지말고

    • @pppu3u
      @pppu3u Před 4 dny

      그래도 재밌잖아 한잔 해 ~

  • @user-sg8rq8rt6p
    @user-sg8rq8rt6p Před 29 dny

    포크레인 덤프트럭 보석체굴기 가지고 스리랑카로가자

  • @user-sg8rq8rt6p
    @user-sg8rq8rt6p Před 29 dny

    수저로 먹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