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생을 알 수 있는 방법? | 존재만으로 사람을 감동시켰던 청화스님 일화 | 김성철 교수 '체계불학' 9

Sdílet
Vložit
  • čas přidán 9. 11. 2023
  • 불교학자 김성철 교수는 치과의사 출신이다. 서울대 치대를 나와 치과의사를 하다가 동국대 대학원에서 인도불교를 전공했다. 치대 동기로 치과의사인 부인에게 “2년만 불교책을 원 없이 보겠다”고 양해를 구한 뒤 떠난 길이 본업이 됐다. 2000년부터 동국대 경주캠퍼스 불교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불교학회장을 지낸 김교수는 2023년 2월 정년퇴직했다.
    그는 서울대 사대 학장과 서울대 불교학생회 지도교수를 지낸 선친 김종서 교수가 가끔 모시고 온 탄허 스님을 어린 시절 집에서 만나곤 했다. 성인의 풍모지만 겸손하기 그지없이 ‘하심’(자기 자신을 낮추고 남을 높이는 마음)으로 일관했던 탄허 스님의 모습은 어린 그에게 깊게 각인됐다고 한다.
    그는 고교 2학년 때까지 그림에 심취해 미술반 활동에 열심이었다. 그러나 “그림을 그려서는 밥 먹고 살기 어렵다. 치과의사는 몇 시간만 일하면 나머지는 원하는 불교책도 원 없이 읽고, 참선도 할 수 있다”는 어른들 말에 치대에 진학했다고 한다. 그래서 치대를 다닐 때도, 치과의사로 일 할 때도 틈만 나면 불교책을 보고 참선을 했다. 그렇게 열망했던 공부이기에 그는 삶을 위한 ‘불교학’을 할 수 있었다. 그는 ‘제2의 붓다’로 불리는 용수의 중관학으로 석·박사를 했다. 용수는 그에게 직업인으로서 불교학자가 되기에 앞서 삶의 길을 제시해줬다.
    김 교수 연구실은 그의 부인이 운영하는 서울 용산구 서부이촌동 치과의원의 한 귀퉁이에 있다. 댓평 남짓한 좁은 공간에서도 오직 연구에만 몰두하는 그는 이 시대의 오타쿠다. 젊은 시절 좋아한 술도 끊고 오직 연구에만 힘써 온갖 학술상을 휩쓸었던 그는 분노와 탐욕, 교만과 같은 감성적 번뇌를 치료하는 데도 붓다의 가르침을 최고의 처방으로 제시한다.
    그는 금강경에서 강조하는 ‘반야’(깨달음의 지혜)를 절대부정으로, 화엄경의 화엄을 절대긍정으로 비교한다. 김 교수는 백과사전과도 지식뿐 아니라 현대사회에 응용할 무궁무진한 불교적 지혜를 보여준다.
    그가 정년퇴직을 하면서 ‘불교적 심신의학과 생명윤리’, ‘체계불학-신념체계로서의 불교학’을 펴냈다. 오타쿠 불교학자와 함께 불교의 무궁한 블랙홀에 들어가면 시공간을 넘어 진속불이를 경험하게 된다.
    #김성철교수 #대지도론 #청화스님
    ----------------------------
    조현TV 휴심정
    조현 한겨레신문 종교전문기자
    iuhappyday@naver.com
    무엇을 갖기를 원하나요. 많은 돈, 높은 지위, 든든한 권력, 좋은 가족과 친구, 기쁨과 행복.
    열린 태도로 지혜로워질 때 많은 것이 덤으로 주어집니다.
    휴심정은 종교와 이데올로기, 고정 관념, 편견을 내려놓고, 마음을 열고 배워 지혜롭고 성숙해져서 자타가 함께 행복해지는 곳.
    바꿀 수 없는 것을 받아들이는 지혜를, 바꿀 수 있는 것을 바꿔낼 수 있는 용기를!
    *조현TV 휴심정은 유튜브에 광고신청을 하지않아 수익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인터뷰어, 인터뷰이, 촬영자, 편집자 모두의 재능 기부로 만들어집니다.
    (조현이 삼각대 위에 핸드폰을 장착 후 인터뷰하는게 대부분이니, 음향 등 미숙을 양해해주세요)
    **인터뷰 기사는 휴심정( well.hani.co.kr )에 있어요.
    네이버 뉴스에서 조현 기자를 구독( naver.me/F5uVPaKk )하면 조현 글이 배달됩니다.
    ***한겨레신문을 후원( support.hani.co.kr )해주시거나, 신문을 구독해 주시면 큰 힘이 됩니다.
    (후원해 주신 분은 이메일로 연락주세요. 한겨레신문 구독 신청하실 분도 이메일로 연락주세요. 조현 이메일 iuhappyday@naver.com)
    당신이 건강하고 행복하기를!
    당신이 사랑받고 존경받기를!
    당신이 아름다운 세상을 만드는 창조자이기를!

Komentáře • 31

  • @bubanbohaeng

    🙏🙏🙏

  • @user-xm4ne8mb9r

    김성철 교수님,

  • @user-or7hl5rm3g

    교수님 감사합니다. 극락왕생 깨달음으로서 편안하십시요.

  • @jongchulchoi1400

    40년간 장좌불와를 하신분이 청화스님이시죠 방에는 이불이 없으셨고 하루 일종식을 어긴적이 없으시며 평생수행을 하셨던 큰스님

  • @user-lm9em4vo3g

    감사합니다! 항상 팔정도. 수행하면서 엄청난 고통에서 벗어나서 부처님의 가피로

  • @user-kc1ty1sw3w

    현실 에 잘 적응 하며 심오 한 불교 공부 해야 겠습니다 너무 좋습니다 감사 드립니다🙏🏼🙏🏼🙏🏼

  • @user-gv4de5sc4s

    감사합니다

  • @user-kf2pw9wh7q

    늘 수고많으시고 감사합니다 덕분에 행복합니다~^^

  • @user-rb9mb6ih8i

    고맙습니다

  • @user-tj2kx4lv6t

    살아계실때는 모르고 돌아가신 후 교수님 무진 법문을 듣고있네요 😂😂😂😂😂

  • @rimehyang

    고맙습니다.

  • @Wqsmh
    @Wqsmh  +5

    재미있네요 영상 감사합니다!

  • @user-vi8ku5ee8h

    인생의 수레바퀴가 낡아 더이상 굴러갈수 없는 상황은 반드시 옵니다.부처님도 더 굴러 갈수 없음을 알고 아난다에게 설했습니다.길게 보면 인생도 하루살이와 마찬가지이듯이..

  • @user-if8hq1we2i

    감사합니다 🙏

  • @user-em7ow5ly7k

    마하반야바라밀.

  • @user-yg4mo6xf1v

    점찰경이라는 내용을 들어보니 불교와는 어울리지 않는거 같지만 행에대한 경각심을 가지게할 수단으론 괜찮을 거라는 생각이드네요.정말 재밌게 들었습니다.감사합니다😊

  • @user-fe7un6no3f

    맑은 기운. 청정의 기운

  • @user-th5ug9rq9h

    나무아이타불

  • @user-eh3xw6qw8r

    우는아이 달래는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