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한경쟁 사회에서 모두가 승리하는 방법

Sdílet
Vložit
  • čas přidán 23. 04. 2024
  • 안녕하세요! 타일러입니다
    오늘은 무한경쟁 사회에서
    모두가 승리하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 해볼게요!
    #경쟁 #empowerment #winwin
    ============================================
    이 영상은 100% 재생에너지로 촬영되었습니다
    일찍스튜디오 : naver.me/FOMS10iK
    ============================================

Komentáře • 1,3K

  • @balggeun
    @balggeun Před měsícem +1197

    타일러 같은 미국 지식인이 한국에 애정을 갖고 살아오면서 그동안 한국 사회에 느낀바대로 인사이트를 주는게 정말 행운이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평생을 숨막혀하고 답답해하던 부분을 호소해주네요.

    • @JesusLovesYouAlso
      @JesusLovesYouAlso Před měsícem +15

      전 한국인인데 win-win 윈윈 개념을 이기다 이기다로 해석하는 경우는 거의 못본것 같아요 ㅋㅋ 굳이 한국어로 표현하자면 서로 이득이야 , 상호 이득이네 정도로 표현하지 않을까 싶어요 Empowerment도 자율권 부여 , 권한 부여 정도로 표현할 수 있겠네요. 기업체나 학교에서 말하는 역량 강화라는 표현은 전혀 다른 의미(ability를 강조)로 쓰이는것 같아요 ㅋㅋ

    • @jhpark1747
      @jhpark1747 Před měsícem +3

      @@JesusLovesYouAlso 윈윈은 누이 좋고 매부 좋은 방안입니다 ^

    • @user-je6fn2kt8u
      @user-je6fn2kt8u Před měsícem +13

      타일러 한국사람 조심하세요 사기천국입니다 사기때문에 나라자체가 문제야

    • @Checkonelook467
      @Checkonelook467 Před měsícem +8

      커뮤만 봐도 남 헐뜯고 깍아내리는게 디폴트인 나라.. 어떤 애 엄마가 20대 중반에 애낳고 인스타 하면서 애 빨리 낳으면 좋다고 했다가 악플 아닌듯 교묘한 악플 테러 수천개 당함

    • @user-bp9kr1xh9p
      @user-bp9kr1xh9p Před měsícem

      😊😊😊😊😊

  • @zxcvzxcv287
    @zxcvzxcv287 Před měsícem +819

    남의 불행 위에 이룬 행복을 추구하지 말라
    부처님 말씀이 생각나네요

    • @crazybikegang6632
      @crazybikegang6632 Před měsícem +9

      @@cost1812 그래서 내리막을 찍는중

    • @eos71
      @eos71 Před měsícem +11

      출산은 죄악 세상은 지옥 명심 또 명심

    • @justyoon51
      @justyoon51 Před měsícem +4

      Even if that‘s true tho you can’t say that, Mr Kim😂

    • @userganada
      @userganada Před měsícem +5

      사람의 욕망, 탐욕을 자극해서 발전을 추구하는 서양시스템이
      인류 발전에 지대향 영향을 주는건 사실
      그로인해 점점 편한? 아니면 더 험한? 생활을 하게 됐음(양극화)
      차별이 발전하기엔 정말 좋은 시스템인데
      인권을 파괴하는것도 한몫 한다봄
      자본주의 자체가 불행위에 행복을 추구하는 시스템이라 ㅋㅋ
      한국도 유럽처럼 복지를 늘려서 그걸 극복하던지 해결방법을 찾아야할 시점이긴함
      근데 복지를 늘리면, 욕망 탐욕 자극이 더뎌짐 ㅋㅋ
      그렇다고 일부소수가 모든걸 독식하면(미국) 그것또한 발전이 더뎌짐

    • @ShallSetmefree
      @ShallSetmefree Před měsícem

      @@eos71 쇼펜하우어적이네요

  • @thx2all123
    @thx2all123 Před měsícem +204

    대박이다 진짜.....
    미국인이 알려주는 한국사회의 병폐를 한국어로 듣다니.....
    이 얼마나 감동적이지 않을수가 있을까....
    미쳤다.... 타일러씨랑 밥한번 먹고싶네요

    • @user-bs4po8dg1d
      @user-bs4po8dg1d Před 12 dny

      그니까요 ㅋㅋㅋ 저도 지금 이거 보고 와 ... 이거 우리나라의 단어로 표현하면 바로 정치질입니다 지금 이걸 Empowerment 이걸로 설명을 한거에요

  • @user-km1ox4kj1y
    @user-km1ox4kj1y Před měsícem +118

    외국에서 살면서 그 나라의 문화와 언어를 거의 완벽하게 표현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 이해하는 사람들이 많을 것입니다. 타일러가 매우 똑똑하다는 것은 알고 있었지만, 그가 이렇게 뛰어날 줄은 몰랐네요. 그의 건전하고 건설적인 사고방식이 한국 대중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어 매우 인상적입니다. 현대 사회에서 협업과 협동은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습니다. 각 분야에서 뛰어난 사람들이 모여 더 큰 가치를 만들어 내는 것이 중요하죠. 이런 이유로, 협업을 설계하고 운영하는 능력이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고 봅니다. 좋은 영상 잘 보았습니다.

  • @skyhoho4326
    @skyhoho4326 Před měsícem +375

    타일러를 보면 항상 대단하다고 느낍니다. 저를 포함해서 많은 현대인들이 바쁜 일상속에 본인도 모르게 결착되버린 관념들, 마치 관성만으로 굴러가고있던 그런 관념들을 잘 뽑아내서 비판적 시각으로 접근해보는 자세같아요. 비판에 그치지 않고 본인만의 생각을 잘정리하여 말할수있는 능력까지! 멋집니다~

  • @user-pf4fe7qq8c
    @user-pf4fe7qq8c Před měsícem +408

    저는 일하면서 느끼는게 협력보다는 지시일때가 많고 협력을 하고 싶어도 상대방의 주장이 쎄서 더이상 얘기가 되지 않을때가 많더라구요.. 제가 있는 곳만 한정된건지 모르겠지만 좋은 세상이 됬으면 좋겠습니다

    • @dokichiro
      @dokichiro Před měsícem +58

      조금만 양보해도 자기가 갑질하려들죠. 유난히 겉모습에 따라 등급을 나누고 무의식적으로 상대방이 느낄 수 있는 뚜렷한 차별적인 대우를 합니다. 세계 모든 사람이 그렇겠지만 우리나라 심하다고 봅니다. 운전해보면 바로 알아요. 나는 똑같은 운전기사인데 아반떼 탈 때랑 벤츠 탈때랑 대우가 다름.

    • @user-oq7bp9bp6d
      @user-oq7bp9bp6d Před měsícem +7

      협력하는 습관이 필요한것같습니다 그렇기 위해서는 관용 서로에대한 신뢰 믿음을 줘야하겠죠 일반직장이라면 쉽지않고 내가 어떤 프로젝트의 팀장이거나 팀을 만들어 새로운사업을 하는 과정이라면 꼭 필요한 능력인것 같네요

    • @sunsky9023
      @sunsky9023 Před měsícem +13

      협력할 만한 사람들과 하세요. 타일러도 협력 안되는 대상과 협력하지는 않을 거에요.

    • @0kjuKim
      @0kjuKim Před měsícem +14

      나이가 곧 직급인게 문제죠. 직급이 정말 일을 위한 직급 체계가 아니고. 40~50대가 20~30대에 지시하기 위한 직급.

    • @donlee4105
      @donlee4105 Před měsícem +24

      미국같은 사회는 하나의 팀으로서 생각을 하는데, 우리는 엄격한 서열주의 집단주의로 완전 경직돼서 기싸움 엄청하죠. 걍 이나라는 구글이나 애플같은 창의적인 기업이 나올수없고, 중국하고 경쟁하면서 제조업에 올인할수밖에 없음. 장기적으로는 중국한테 다 먹히겟죠

  • @user-wv4cz8sl2v
    @user-wv4cz8sl2v Před měsícem +116

    협력해서 뭔가를 이루어내본 경험이 단 한번이라도 있으면 그게 얼마나 희열넘치는지 알수있지만.. 오히려 이 사회를 오래 살아갈수록 경쟁에 익숙해지고 소위 "조별과제"식의 프로젝트에서도 어떻게든 자기파이만 챙기고 이기적으로 행동하는 사람을 보면 어?너안해?그럼나도안해. 이렇게 참 쪼잔해지게 되는 제자신을 볼때 스스로도 짜치고 상황에도 현타오고 그러는거같아요 ㅋㅋㅋㅋ 어느순간 커다란 목표로부터 이탈해서 고작 내가 '억울'해지지않으려는게 일순위가 되는걸 보면서요ㅠㅋㅋ 현대사회인들 대부분이 나하나살기도 벅차서 아주 작은 희생조차 견딜 정신적 여유가 없는것도 큰 이유인것같습니다. 아무래도 '경쟁'은 바로 결과물이 떨어지고 '협력'은 장기프로젝트인 경우가 많으니까요. 하지만 궁극적으로는 작은 피자를 누가먼저 집느냐보다는 그냥 피자자체를 크게 만들면된다는 방향으로 다같이 나아갈수있다면 정말 좋을것같아요 . 저부터도 그런마인드를 장착해야겠죠 오늘도 좋은 주제 풀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Ultratext12345
      @Ultratext12345 Před měsícem

      중국 소황제 문화나 일본 이제매 문화 가 있는것 처럼 다른나라도 큰차이는 없죠 애시 당초 인생 살아보면 압니다 이상과 현실은 다르다는 것을

    • @user-wv4cz8sl2v
      @user-wv4cz8sl2v Před měsícem +13

      @@Ultratext12345 감사해요 근데 전 발전하면서 살게요!

    • @austinmoolike
      @austinmoolike Před měsícem +1

      엄지척

    • @HAPPYLOVEFREE
      @HAPPYLOVEFREE Před měsícem

      😎👍👍👍👏👏👏

    • @user-xp8qi8vm1s
      @user-xp8qi8vm1s Před měsícem +1

      조별과제는 사람이 문제가 아니라 시스템이 글러먹은거 아닐까요? ㅎㅎ
      공유지의 비극이라는 현상을 알아보시면 왜 조별과제라는게 있어선 안되는지 알게 되실겁니다.
      이건 오버워치나 롤같은 게임에서도 만족스러운 한 판을 기대할 수 없는 이유도 설명이 되죠

  • @heovan0910
    @heovan0910 Před měsícem +76

    타일러님! 저희 톡파원 남아공 부부예요ㅎㅎ 매번 영상들 올라올 때마다 챙겨보고 있었는데, 오늘은 아하 소리가 절로 나오는 영상에 용기내어 댓글 달아봅니다. 경쟁에 찌들어 쫓기며 살아 온 저와 달리, 서로가 서로를 지지하고 상생하는 문화를 경험했던 남편과 여기 사람들.. 살면 살수록 개인성격/성향을 넘어서 서로의 뇌에 깊이 박힌 문화적 차이를 경험하고 있어요. 외국땅에서 한국을 보고 있기도 하고, 비한국인과 살고 있어서인지 이런 카테고리에 관심이 가고, 더 깊게 생각하게 됩니다. 현상을 조감하고 잠깐이나마 고민할 수 있도록 좋은 영상을 만들어줘서 감사합니다. 매번 타일러님의 통찰력에 감탄합니다. 감사해요!!! ㅎㅎ

  • @user-jf8wt5jy7m
    @user-jf8wt5jy7m Před měsícem +337

    협력해 나가야만이
    잘 살 수 있는 현실이라는
    타일러씨의 의견에 공감합니다~

    • @user-sl8il6my9u
      @user-sl8il6my9u Před měsícem

      저의 이해로는 협력해야 한다는 말이 아닙니다.

    • @seonz7734
      @seonz7734 Před měsícem +5

      수직사회에서는 불가능.

    • @PETBOY
      @PETBOY Před měsícem +2

      이전에도 다른곳에서 강의할때도 비슷한 이야기했음, IT시대에 창의적인 상품이 나오긴 위해서는 협력이 무엇보다 중요한 시대임, 근데 한국 부모들은 어릴적부터 경쟁만 시켜와서

    • @reed3487
      @reed3487 Před měsícem +3

      우리나라는 원래 협력을 잘하는 문화였음....기본적으로 쌀농사는 밀농사에 비해 대규모협력이 필요한 노동이 많았고 관개사업을 할 때도 혼자할 수 없었음....불과 90년대만 해도 이웃끼리 서로 인사하고 친하게 소통하는 문화였고 일제 독립운동할 때에는 국가와 민족을 중요시했지 개인의 영달을 말하지 않았음....최근 이기주의 물질만능주의는 고도의 산업화에 의한 단기적 역사임..

    • @userganada
      @userganada Před 29 dny

      winwin = 호혜~

  • @park00life
    @park00life Před měsícem +356

    안녕하세요.
    저는 서울에서 자취하는 4학년 대학생입니다😀. 상대평가인 학점제도, 적은 합격자를 가지고 경쟁하는 취업시장을 몸소 겪고있다보니 위 영상 무척 공감하며 봤습니다. 매일 항상 열심히 사는데에도, 원하는것을 얻기에는 힘이 부치네요😂. 아마 직장인이 되어도, 육아를 하는 어른이 되어도 이런 구조에서는 힘들수 밖에 없을것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함께 협력하며 공유가치를 찾고 파이 자체를 크게만들수 있는 기업과 사회구조가 생겨나길 바랍니다🍀.
    그래야 우리사회와 국민들이 행복하고 지속가능하며, 이것이 또 국가적인 경쟁력으로 이어질 테니까요💛.

    • @user-sl8il6my9u
      @user-sl8il6my9u Před měsícem +22

      님이 생각하는 기업과 사회구조는,
      최소한 대한민국에서는 불가능합니다.
      그 근본적인 문제는 서양인은 개인주의이기 때문에 win-win이 가능합니다만
      한국인은 집단주의이기 때문에 항상 그 집단에서 자기위치를 생각하므로써 win-win이 불가능합니다.
      한국사회가 더불어살자는 말에 유혹을 받는 것도 경쟁사회에서 너무나 피곤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더불어 살면 더불어 살 수록 더 피곤해집니다.
      굳이 조언을 하자면 자신의 길을 찾으십시오.
      개인주의가가 되어서 집단의식을 버리세요.
      구체적으로 말하면 남의 눈치를 보지 말고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하세요.
      편안한 사회를 아무리 갈구하더라도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습니다.
      어쩌면 그런 일이 일어난 북한인민들이 더 편안할지도 모릅니다.
      비록, 춥고 배가 고파도.
      눈을 제대로 뜨고 보면 자유롭게 자신만의 길이 많이 있습니다.
      나도 젊은시절 이 문제로 고민을 많이 했던 사람입니다.
      결국, 사우디에서 귀국행 비행기에서 행복이라는 단어를 비행기창밖으러 던져버렸습니다.
      절대로 오늘보다 내일 더 행복하기를 바라지 않겠다고,. 그리고
      굶어죽는 한이 있더라도 내가 하고싶은 일을 하겠다고.
      희망이라는 말도 버렸지요.
      알고보니 희망은 당의를 입은 욕망이었습니다.
      70이 넘은 많은 내 친구들은 아직도 일을 하고 있습니다.
      나는 54에 직업을 버렸습니다.
      그들은 자유를 향유할 있는 능력이 보족해서 일에 자신을 매달아서 살고 있습니다.
      문제는 국가와 사회에 있지 않습니다.
      내 자신에게 있습니다.
      그래서 범아일여입니다.

    • @sunsky9023
      @sunsky9023 Před měsícem

      @@user-sl8il6my9u 고생하셨습니다.

    • @area3957
      @area3957 Před měsícem +2

      그래요 중소기업은 인력난에 시달린다고하니 그런곳에가서 서로협력해 파이를 키우도록 노력하세요.

    • @user-sm1sv2cg9u
      @user-sm1sv2cg9u Před měsícem +2

      @@user-sl8il6my9u 근데 타서구선진국들은 복지국가라서 그렇다치는데 저 타일러씨 모국인
      미국은 자유방임주의 국가라서 winwin이 불가능해 보이네요 ㄷㄷ

    • @user-op6ql1jl9l
      @user-op6ql1jl9l Před měsícem +5

      공감합니다. 고등학생을 둔 학부모인데요. 아이들 반을 보면 너무 살벌합니다. 협력, 협업, 소통, 배려 이런게 거의 없네요.. 아이들은 그저 각자도생하며 개인의 성적 올리기에만 급급합니다. 옆에서지켜보는 부모도 너무 힘드네요..

  • @sankara771
    @sankara771 Před měsícem +52

    직장에서 제일 필요한 부분임을 항상 느낌니다.
    각자 갖고있는 장점을 서로 알아주고, 그 장점을 서로 협력해서 에너지를 최소화 해서 더 나은 결과물을 이끌어낼 수 있고 있고, 그로 인해 나온 성과에 대한 만족도를 각자 충족 할 수 있는 직장 문화. 내가 바라는 이상적인 직장환경입니다.
    이게 진정한 차별없는 존중문화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안타깝께도 이런 나은 방법을 사용 하지 못 하는 현 직장문화에 일하고 있습니다. 항상 쟁에서 오는 비합리적, 부당함, 일의 능률 하락, 비효율적인 업무량, 이로 인해 생기는 마찰 등 참으로 힘듦니다.
    오늘 타일러 얘길 들으며 작게나마 나와 같은 생각을 하고 있는 사람이 있어 이렇게 공개적으로 얘기해주니 기분이 한결 가벼워집니다.
    타닐러❤

  • @hl675
    @hl675 Před měsícem +28

    유럽에서 10여년 지내면서 비슷한 내용에 대한 고민 중이죠. 타일러 씨의 말을 한국 정치인이나 소위 영향력있는 유명인들은 함구하고 있는 아이러니. 대중문화에 스며든 "나만 아니면 돼". "각자도생". "나 혼자산다". 등등 혼자 무엇인가를 하는 것이 쿨하고, 믿을 사람은 자기자신 이외에는 아무도 없다라는 식의 나래티브 스며든지 오랩니다.

    • @user-df4gw5xw8n
      @user-df4gw5xw8n Před 10 dny

      선생님 요즘 유럽은 어떤가요? 과학기술이 괜찮나요?

  • @joeykim6331
    @joeykim6331 Před měsícem +240

    empowerment
    win win
    확실히 대한민국 혼자는 세계최고가 많은데...사촌이 땅사는데 도와주지 못하고? 배아파 하고.. 서로 서로 협력하지 못하게 하는 학교 경쟁 문화가 우리 발목을 잡고있는걸 느끼게해주네요. 정말 감사♥

    • @ferrari4avocado923
      @ferrari4avocado923 Před měsícem +1

      괜히 이 땅에 조(censorship)선이 있었겠음?
      진짜 유튜브 검열때문에 댓글 못다는게 천추의 한이다.

    • @asidan
      @asidan Před měsícem

      일제 잔재에 식민사관만 있는게 아니었군요 우리의 정신세계를 오염시켜 현존 검사들을 잉태한 뻐꾸기알이 있었네요

    • @sohnson439
      @sohnson439 Před měsícem +5

      파이분배가 아닌 시너지 플러스 알파 개념. 윈윈 개념은 대부분 한국 사람도 이해하는 개념이라 생각하는데 모르는 사람도 많나봐요

    • @ferrari4avocado923
      @ferrari4avocado923 Před měsícem +26

      @@eolight43 그놈의 일제시대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천년지나도 일제시대 탓할듯 😂😂😂😂

    • @jieunko665
      @jieunko665 Před měsícem

      그런데 자본주의사회에서 협력이 필요할까여..

  • @MYSON-oh4rb
    @MYSON-oh4rb Před měsícem +126

    한국사회의 방향성에 대해서 말씀해주시는것 같아서 너무 공감되고 좋았어요
    지금 우리가 진지하게 고민하고 생각해야할 주제라고 생각해요
    고마워요 타일러님 ^^

  • @user-zm7yw2zj9d
    @user-zm7yw2zj9d Před měsícem +75

    다 맞는 말이에요.
    진짜 이 지긋지긋한 경쟁사회 애들한테 물러주고싶지 않아요.😢

  • @luckyblue2758
    @luckyblue2758 Před měsícem +290

    우리나라는 교육부터 뜯어 고쳐야 함.
    테일러 같은 선생님들 100명만 있어도 변화를 가져올수 있을듯. 원래 타일러가 말하던 나라였지만 식민지 잔재로 일본의 군대식 줄세우기 문화와 교육 방식과 자본주의,물질 만능주의와 맞물려서 점점 우울한 나라로 변해가고 있음. 정부나 기업등 기득권들도 권위주의만 만연해서 낙수효과도 없고 중산층이 점점 줄어드는 위험한 상태.권위주의가 만연하면 민주주의는 위협받는다고 했는데 지금 한국을 보면 딱 그런 모습. 기업가들도 직원을 자신들의 노예로 생각하면 안되고 서로 상생해야 하는데 진짜 심각합니다.

    • @Kharute
      @Kharute Před měsícem +30

      동의함. 한국의 경쟁형 사고의 원인은 경쟁형 교육에서 출발하는 거라 생각함.
      협력보다 경쟁을 먼저 배우고, 공부를 하는 것은 혼자하도록 설계가 되어있음.
      앞으로의 교육은 혼자서는 해결하기 힘든 것을 던져주고 협력하는 법을 터득하게 해주어야한다 봄.
      다만 한국이 이걸 바꿀 수 있냐하면... 글쎄? 라 봄.

    • @y00n_skjn
      @y00n_skjn Před měsícem +8

      낙수효과...이것만한 가스라이팅이 없습니다... 누군가가 잘되면 그 호의를 베풀것이라는 건데 우리나라는 호의가 권리인줄 알고 되려 호의도 베풀지 않으면서 자기 이권을 남김없이 챙기려는 모습이 팽배합니다...간단하게 이동통신사들 보십쇼. 국가에서 허가해줘서 사용하는 광역망을 오로지 자기들 이권 챙기기의 수단으로 보고있지 국민들이 호의를 베풀었지만 결국 돌아오는건 통수질 밖에 없는 이 신뢰성이 사라져가는 사회는 꼭 올바른 방향으로 되돌려놔야합니다.

    • @Dani-ng8bk
      @Dani-ng8bk Před měsícem +29

      그놈의 일본 탓 ㅋㅋㅋ 일본 아니였으면 여전히 인구 40%의 노비 세습제도에서 못 벗어나 망했을 것

    • @kk-qi7kz
      @kk-qi7kz Před měsícem +16

      일본 핑계는 좀 아닌듯. 조선인 자체에 그런 특성이 이미 내재되어 있는게 발현되는거임.

    • @HAPPYLOVEFREE
      @HAPPYLOVEFREE Před měsícem +17

      딱~~좌파인증 댓글,,,
      전교조 잘못이란 말은 없네요?
      그냥,,,부자잘못?
      기득권 잘못?
      기업인들 잘못?
      부자는 악이고?
      빈자는 선이고?
      기업인은 악이고?
      노동자는 선임?
      강성노조들 뻑~~하면
      집단시위 하는 것들 어떻게 생각하심?

  • @sungsookkim74
    @sungsookkim74 Před měsícem +125

    미국에서 20년 넘게 살고 있는데, 타일러씨 한국어 하는 거 보니 자괴감 드네요. Empowerment 은 맞아요. 처음에 그 단어를 접했을 때 이걸 어떻게 해야해야 하나 어려웠어요.
    However, win win은 딱맞는 말 있어요. 누이좋고 매부좋고. 라는.표현이죠. 너도 나도 아무도 잃거나 지는 사람 없이 모두 승자라는 표현이에요

    • @user-sm1sv2cg9u
      @user-sm1sv2cg9u Před měsícem +4

      근데 미국은 서유럽.북유럽.캐나다.호주같은 복지국가도 아니고 자유방임주의 승자독식사회 아닌가요??
      물론 양질의 일자리가 많고 임금수준이 높은 장점이 있지만요.....

    • @lIIl127
      @lIIl127 Před měsícem +3

      @@user-sm1sv2cg9u 뭐 한국은 복지 국가도 아니고 자유도 아니고 승자도 없네요 ㅋㅋ 양질의 일자리도 없고 임금 수준도 아니네

    • @tridish7383
      @tridish7383 Před měsícem +8

      한국어의 '좋다'라는 표현에는 도덕판단이 없습니다. 막말로 개살구도 빛깔만 나면 좋다고 합디다. 누이좋고 매부좋아도 단순 공동체의 욕망실현이지, win-win같은 발전과 선순환의 개념은 없습니다.

    • @sungsookkim74
      @sungsookkim74 Před měsícem

      영어의 윈윈도 뭐 그렇게 대단한 이유로만 사용되는 단어는 아닙니다. ​@@tridish7383

    • @user-cnksi223
      @user-cnksi223 Před měsícem +7

      임금 높아도 집 값, 병원비 등등 미국에서 돈 많이 벌어도 먹고 살기 힘든게 현실입니다. 그리고 금융권 미국 회사는 극한으로 일 시킴.. 잠 못자요.. 헬조선 거리는 사람들 제발 외국 한 번만 살다오시길..

  • @peacemaker4776
    @peacemaker4776 Před měsícem +248

    Win -win.. 필리핀에서 동업계 사람과 얘기 하면서, 이 표현을 썼을때 ,
    "너도 좋고 나도 좋고 " 표현으로 썼어요~

    • @vaiv595
      @vaiv595 Před měsícem +9

      애브리바디 해피!

    • @jaylim3750
      @jaylim3750 Před měsícem +20

      옳은 지적입니다!
      ‘사춘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라는 속담이 있지요
      남이 잘되는거 잘 용납 못하다는 심성을 표현하는 것이죠~~
      한국사회 전반Empowerment 운동이 필요하겠네요

    • @user-fp8ns4pw9e
      @user-fp8ns4pw9e Před měsícem

      @@jaylim3750꼭 필요한 운동 같습니다. 우리 사회가 지금까지 너무 열심히 달려왔지만 이제는 돌아볼 때가 온거죠 !
      초저출산율로 나라 없어지기전에 변화를 불러와야합니다

    • @VirtuousDog
      @VirtuousDog Před měsícem +4

      '서로 등 긁어주기'라는 말은 어떨까요? 그런데 이 표현이 우리말에서 기원한 것인지, 아니면 영어 표현을 번역한 것인지는 잘 모르겠네요 ~

    • @bookreadingshark128
      @bookreadingshark128 Před měsícem +7

      같이 잘 되자…

  • @HumaninWM
    @HumaninWM Před měsícem +31

    '상상할 수 있는 능력, 건설적인 방향으로 발전, 이타적인 마음' 저는 이 세 가지가 한국인들이 갖고 있는 강점이라고 생각해요.
    다만 사회가 너무 각박해지면서 특히 이 세가지가 한국사회가 빠르게 잃고 있는 부분이고, 타일러가 그걸 잘 짚어준 것 같아요.
    우리가 이 휘몰아치는 세상에서 좋은 자질을 잘 지켜나갈 수 있을지가 관건인 것 같습니다.

    • @LoveConquersAll777
      @LoveConquersAll777 Před měsícem +4

      한국인의 강점은 이기려는 마음같아요 ㅎㅎㅎ; 이타적인 마음 글쎄요?

    • @theview5045
      @theview5045 Před 22 dny

      한국식 향촌 집단주의가 강요한 이타주의죠. 개인적으로, 이기적으로 행동하면 집단이 동네 망신, 가족들 망신 다 시킨다 같은 평판공격을 들어가서 개인의 체면을 깎고, 자유를 제한하고, 불이익을 주니 이타적인 것처럼 행동할 수 밖에요. 오히려 집단주의가 약화되면서 한국인의 이기적인 본성이 드러나는거라고 봅니다.

  • @HoHo-ei2ok
    @HoHo-ei2ok Před měsícem +76

    와 진짜 우리가 나아가야할 방향인거 같아요 단순히 질투심을 억누르라는 얘기가 아니고, 사회 구조적으로 그런 변화가 필요하고 물론 그러기 위해서는 개인의 변화도 필요한거 같아요
    좋은 생각 감사합니다

    • @user-gi2vc5xg5f
      @user-gi2vc5xg5f Před měsícem

      이런 사고방식을 가진 사람들을 국회와 행정부로 보내고 대법원장도 선출직으로 뽑으면 사회제도화 시킬 수 있어서 사회분위기 멱살잡고 바꿀 수 있는데,
      저걸 외치던 정의당은 원외정당되었고 누구보다도 경쟁과 약육강식 외쳐왔던 국민의 힘은 100석이 넘고 180석에 대동령까지 얹어줘도 커다란 권력으로 뭘했는지도 모르겠고 선거제를 좋은 방향으로 바꾸기보다 오히례 비례의석 더 줄여버렸는데 또 더불어민주당에게 180석 줬고 ...
      바꾸고 싶으면 제발 행동을 하라고...
      사회그물망 구멈 슝슝인데, 정권심판만 박정희, 김대중때부터 외치면서 갈등 일으켜서 권력잡아왔던 이 거대 두 정당이 아직도 여전히 힘이 있고 자신들이 만든 법까지 어기면서 위성정당 만들면서 이겨야한다는 선거치르고 있으면 욕을 해야지 지지해주고 있잖아! 지지하는 것도 협력인가? 솔직히 선거도 이기는 것보다 문제해결을 주장해야 하는 것 아닌가? 이긴다는 것은 정당에게 이익이 돌아가는 것이고 문제해결은 사회전체에게 돌아간다는 것인데 언제나 정당이 이겨야 한다, 승리해야 한다 외치는 거 보면 이상한 사람들 나는 분명하다고 생각함. 말과 행동이 달라도 사이비종교신자처럼 헌 대동령 경제 잘하고 있다고 대답하는 것만 봐도 이상한 국민과 이상한 국민들이 지지하는 이상한 정치인들의 협력으로 이상한 사회분위기가 형성되고 있음이 분명함. 이상한 거 알면서 왜 항상 이상한 거 바꿀 수있는 기회가 4년이나 5년마다 주어지는데 계속 이상한 사회분위기 냅두거나 거꾸로 가는 사람들만 선출하고 있느냐는 거지... 승자 독식 소선거구제 문제인건 아주 옛날부터 공론화됐던건데 안 바꾸잖아?^^ 근데도 안 바꾸는 이상한 사람들 계속 지지하면서 사회가 이상하다 그러면 다들 바보라는 결론 밖에?
      선출직은 전국민에게 마스크 착용 강제시킬 정도로 사회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강력한 법을 만들 수 있는 권한이 있음. 법치국가에서 가장 빠르게 사회를 바꿀 수 있는 방법은 선거인데 결과를 보라고... 다들 바보지...

  • @nahbikim6423
    @nahbikim6423 Před měsícem +39

    직장에서 유니콘같은 프로젝트를 맡게 되어 수많은 내적갈등에 괴로워하고, 커져가는 스케일에 두려움과 걱정도 같이 커져가고 있었는데, 정말 큰 인사이트를 얻어갑니다. 저한테는 꼭 필요했던 보석같은 내용이에요. 의무감과 책임감으로 버티다가 번아웃이 왔었는데, 그 한걸음 한걸음이 의미있었음에 위로받고 나아갈 힘도 얻었습니다. 언어가 곧 그 문화의 거울임을, 또 인식과 마음가짐에 큰 변화를 줄 수 있음을 통감합니다. 좋은 영상 너무 감사해요!

  • @sijuseo227
    @sijuseo227 Před měsícem +44

    정말 너무 공감하면서 봤어요.
    한국 사회 정말 취약하죠... 공동체 문화가 없는 건 아니었는데, 지금은 각자도생이 되어 있네요...

  • @psyche0416
    @psyche0416 Před měsícem +16

    empowerment는 한국 대기업에게 필요한 개념이네요. 무한경쟁이라는 핑계로 개인이나 중소기업의 주도권을 빼앗는 일이 빈번하게 일어나니, 결국 한국이 더이상 발전하지 못하고 한계에 부딪친거라는 생각도 드네요. 대기업이라는 일부 집단에서만 가치를 창출하니, 그 가치가 풍부하지 못하고 편협할 것이라는 생각도 들구요. 어떻게 더 발전할 수 있는지 많은 생각이 듭니다.

  • @user-fp8ns4pw9e
    @user-fp8ns4pw9e Před měsícem +22

    두 번 봤습니다! 타일러씨 우리나라를 진심 아끼는 분이시네요. 🙏 이 나라는 전쟁이후 정말 달려만 왔고 성찰할 틈은 없었던듯합니다. 온 국민이 다 봤으면하는 영상입니다

  • @user-zd2zc3kj2u
    @user-zd2zc3kj2u Před měsícem +111

    대학교 팀플 전에 모든 대학생들이 봐야하는 영상.. 유익하네요

    • @user-vp9ns5tk3l
      @user-vp9ns5tk3l Před měsícem +17

      그런 방향으로 이끌어주는? 이런 개념을 주입해주실? 교수님도 너무너무 필요할 거 같아요

    • @user-lk3fj6ew5p
      @user-lk3fj6ew5p Před měsícem +2

      이 영상은 교육 자료로 활용되어야 합니다.

  • @user-ds8vc2rb8k
    @user-ds8vc2rb8k Před měsícem +184

    한국인은 노력이 능사가 아니라는 거
    법(규제)이 만능이 아니라는 거 부터 인지해야함

    • @user-lm4dr2yh9k
      @user-lm4dr2yh9k Před měsícem +2

      😮오 진짜 다

    • @noohij
      @noohij Před měsícem +6

      당연히 만능일 리가 없죠. 인간이 불완전한데 인간이 만든 법이 만능일 리가 있겠나...

    • @koguma_fries
      @koguma_fries Před měsícem +2

      @@noohij 툭하면 규제 타령하는 걸 지적하는거지

    • @HAPPYLOVEFREE
      @HAPPYLOVEFREE Před měsícem

      😎👍👍👍👏👏👏

    • @HAPPYLOVEFREE
      @HAPPYLOVEFREE Před měsícem

      타일러도 한국의 문제점을 잘~ 지적을 했고,
      글 쓰신 분도,,,문제점을 잘~파악 하셨네요
      타일러가 win win의 개념에서 '협력'이란 게 필요하다는 지적은
      우리가 앞으로 지향점으로 삼아야 할 것입니다

  • @user-sb2cq1nl4s
    @user-sb2cq1nl4s Před měsícem +27

    와.. 진짜 대단합니다 통찰이요 와.. 경직되어있는 한국사회에 던지는 강력한 화두인것같아요 왜 미국에 창업이 활발한지 유니콘기업이 많은지도 알거같고요
    정말정말 대단합니다 대단하다는 말이 부족할만큼. 이 모든것을 알아듣기쉽게 풀어냈다는것도요

  • @judes9342
    @judes9342 Před měsícem +10

    미국인의 입장으로 한국사회에서 느낀 부조리를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인생의 반을 한국에서 살다가 미국으로 유학와서 정착한지도 벌써 16년인데요. 저도 처음에 유학와서 남보다 내가 더 잘해야 좋은 거라는 마인드가 강했어요. 성적 경쟁을 넘어서 별것도 아닌건데 내 친구는 잘하고 나는 못한다? 분해서 잠이 안 올때도 있었고 나이가 들다보니깐 와 나 왜 이렇게 후지지? 왜 친구의 기쁨을 같이 즐거워 해주지 못하고 기분이 나쁘지? 많은 생각을 했고 자기 반성도 많이 했어요. 이제는 좋은 사람/어른이 되는걸 목표로 살고 있어요.
    개인적으로 저는 한국인들의 긍지, 노력, 정신력, 스마트함은 세계에서 탑이라고 생각해요. 저도 한국인인 것이 자랑스럽습니다.
    다만 우리 부모세대에서 세뇌당한 이상한 경쟁심/질투심(옆집애, 엄친아, 사촌들 보다 잘해야돼! 같은…)은 접어두고 건강한 경쟁을 하면서 발전하고 또 나보다 성과가 좋은 친구 또는 동료는 진심으로 축하해줄수 있는 그리고 그를 통해 또 배울수 있는 그런 사람 또는 더 나아가 사회가 되면 좋겠습니다.

    • @user-si6iu2om2v
      @user-si6iu2om2v Před měsícem +1

      공감합니다. 제 남동생이 미국에 사는데 비슷한 말 하더군요. 미국에서도 한국사람은 머리는 세계제일인데 뭉치질 못한다고.

  • @user-bh9kx8si7u
    @user-bh9kx8si7u Před měsícem +29

    나이는 많지만 타일러의 생각을 듣고 공감하며 부끄러움도 동시에 느껴요
    좋은 향기를 내주어서 감사해요~😂

  • @VanlifeKorea
    @VanlifeKorea Před měsícem +6

    타일러가 정말 중요한 개념을 설명해주셨어요. 좋은 사람을 만나 함께 일이든 무언가를 협업 해본 사람들은 느낄 거에요. 혼자서 하는 것보다 그 시너지가 얼마나 큰지, 저도 항상 좋은 개인을 만나서 좋은 팀을 꾸릴 것을 꿈꿔요. 그리고 실제로 empowering 할 수 있는 사업모델에 대해 꼭 빼놓지 않고 생각하게 돼요. 그 개념을 정확하게 설명해줘서 고마워요. 협력하기 좋은 사람에 대한 조건들도 최고입니다!

  • @gnare8300
    @gnare8300 Před měsícem +61

    타일러님 말에서 현재 한국의 저출생률, 자살율의 원인과 해답을 같이 들은 거 같았어요. 항상 우리가 볼 수 없는 시각을 제시해 주네요.

    • @donlee4105
      @donlee4105 Před měsícem +3

      그죠 출산률 자살률은 사회문화와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잇다고 생각합니다. 어른을 공경하는 문화 빼고는 다 엎어버려야한다고 생각합니다

    • @RedFda
      @RedFda Před měsícem

      출생률(X) 출산율(O)

    • @unknown-tw1fn
      @unknown-tw1fn Před 26 dny

      출생률은 무슨 페미용어 전파할려고 난리네 나는 서울출생입니다 나는 부산출생입니다 ㅋㅋㅋㅋ 출산율이 맞다 괜히 남녀구분하기 싫음 군대부터 가고 가슴떼고 ㄱㅊ 쳐달던가

  • @user-yl1xb1gi4o
    @user-yl1xb1gi4o Před měsícem +9

    우리나라에 대한 애정이 느껴져서 너무 마음이 따뜻해지고
    한편으로는 너무나 유용한 영상입니다. 감사해요 타일러!!!
    우리나라가 너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ㅜㅜ
    저는 정말 우리나라가 좋고 자랑스럽고 세계 어디에도 없는 특별한 나라라고 생각하는데...
    이제껏 많은 어려움을 이겨왔듯 우리나라가 잘 되면 좋겠어요 ㅠㅠ
    영상 너무 감사하게 보고 갑니다!

  • @user-xg9hv3zu6k
    @user-xg9hv3zu6k Před měsícem +79

    한국에서 평생을 산 저보다도 한국어를 잘 하는 언어 천재 타일러님, 'empower'와 'win'이 그렇게 번역하기 어렵다는 거, 무척 흥미로운 이야기예욧! 방금 챗GPT3.5한테 ㅋㅋㅋ empower를 제대로 표현(번역)할 만한 새 단어를 맹그러보라고 하니까 '자립화하다'는 어떻겠냐고 구러네용... ㅋ 제 생각에는 '자력화(自力化)하다'가 낫겠다 싶었는데. 아무래도 순한글로 만드는 게 낫다 싶어서, GPT랑 얘기를 주고받다가 나온 단어가 '자리우다'입니다. 오... 순간 쫌, 초꿈.... 개안쿠나.. 싶네요. '자리'는 순한글이기 때문에 '自利'가 당연히 아니지만, 느낌적인 느낌으로다가 그런 뜻이 조금 담겨 있다고 착각(ㅋㅋ)돼도 나쁘지 않을 것 같네요. 알다시피 '자리'는 "사물 또는 사람이 놓여 있을 수 있는 공간"을 뜻하잖아요. '-우다'는 '드리우다', '지우다(얹게 하다)' 와 동일한 어원을 가진다고 ㅋㅋ 우겨도 될 것 같고요. (드리우다=cast? -.-) empower는 "주체적인 힘을 갖도록 돕다"는 뜻을 가졌다고 일러 님께서 설명하셨으니, '자리우다' 그러니까 "자리가 생기도록 돕다"는 뉘앙스를 지닌 새로운 단어와 잘 어울릴 것 같은데요. '힘(power)'은 일반적으로 '자리'에서 나오는 거니까요. 영상 후반에서 일러 님이 언급한 커뮤니티, 협력의 가능성... 이런 함의를 '자리'라는 한글이 제법 잘 담아내는 것도 같고. ㅋㅋㅋ 쓰다 보니, 제가 왜 갑툭튀 이런 댓을 쓰고 있는지... ㅋㅋㅋ
    타일러 설명을 듣다 보니, empowerment는 실리콘 밸리의 신화를 가능케 만든 독보적인 '미국 정신'의 전형처럼 느껴지네요. 민주주의 발전에도 주요한 힘으로 작용했을 것 같아요. 한국은 전통적으로 '두레', '품앗이'라는 협력문화(내지는 커뮤니티)가 있었는데요, 아시죠. ^^ 농번기 때 떼로 가서 돕고, 집집마다 교환적으로 돕고... 그것 말고도 검색해 보니, '갬굿', '마을놀이', '길쌈' 같은 것도 있었네요. 갬굿은 주민들이 모여 공동체의 풍요와 안녕을 기원하는 제사 행사였나 봐요. 마을놀이는 말 그대로 마을 사람들이 한 데 모여서 노는 문화인데, 저도 어렴풋이 기억나네요. 결혼, 환갑 같은 '큰일'이 생기면 마을 사람들이 다 모여서 윷놀이, 씨름, 강강술래, 쥐불놀이.... 같은 걸 하면서 즐겼었죠. (아.. 아득한 옛날얘기처럼 느껴지네요. ㅋㅋ) '길쌈'은 널리 알려져 있듯 여성들이 모여서 "옷을 만드는 모임"이었고요. ("옷감을 짜는") ......... 그리고 전라도 사투리로 '노나매기'라는 낱말이 있는데, '노나'는 "너와 나"를 의미하고 '매기'는 '몫'이나 'bagain'을 의미한다고 하네요. (통일운동가인 고 백기완 선생은 노나매기를 "너도 일하고 나도 일하고, 너도 잘 살고 나도 잘 살되, 올바로 잘 사는 세상"이라고 말씀하셨다더군요.) 하여튼 '노나'는 '나누다(share)', '매기'는 '밭을 매다(weed)'는 어원적 의미를 포괄하고 있는 것 같은데요, (← 근거 전혀 없음 ㅋㅋㅋ)
    농업사회를 빠르게 지나오면서 구래의 '공동체 문화'가 붕괴해 버렸어요. 그럼에도 '어울리며 살던 시절'에 대한 그리움이 가득한지 별의별 커뮤니티가 있긴 있더군요. 주로 '동호회 모임(취미)'이나 '비슷한 직업들끼리의 모임'이 많은 것 같은데요, 그런 모임이 2030에는 별로 없는 것(?)도 같구.... 있어도 '얼굴 없는 관계', '얼굴을 모르는 관계', '얼굴을 속일 수 있는 관계'가 대세가 된 것 같습니다. 세상이 극히 파편화 되고 추상화 된 것 같아요. 한국인의 '집중력'(!)은 남다르고, '정'도 많고 그런데... 그런 능력과 에너지가 서로 융통되지 못하고 있는 것도 같고요. 1 더하기 1이 = 2가 되는 산술적 이유 때문에 '협업'을 강조하지는 않는 것 같은데요. 1 더하기 1이 최소 = 2.1 이상은 되기 때문에 협력이 좋은 거겠죠. 재능 낭비 시간 낭비 덜하고 훨씬 생산적이고 건설적인 방법으로, "윈윈할 수 있는" 어떤.... 뾰족한 수가 있을 듯한데. 아무튼,
    일러님, 영상 재미있어요. 잘 봤어요! 이거 꿀팁인 듯해요. 던지고 태도 보기 ^-^ → 17:01 그리고 "내가 빠져도 된다!",... 그렇네요. 목표만 이룰 수 있다면 뭐, 그 주인공이 꼭 '나'일 필요는 없죠! → 19:59

    • @minsooseo3102
      @minsooseo3102 Před měsícem +8

      자립심정도로 생각했는데 자리우다.!

    • @ellenlee4983
      @ellenlee4983 Před měsícem

      정말 동의하는 글입니다! 타일러가 제기한 문제는 동의하나 결론은 동의가 안되네요. 이 글이 훨씬 동의가 됩니다!

    • @croton21
      @croton21 Před měsícem

      댓글 꼼꼼히 읽었어요.
      자리우다라는 말 좋긴한데 임파워먼트와 등치되기 어려운 부분이 '더' 임파워링해야 할때요. '더' 자리우게 한다고 말하는 게 안 맞는 것 같아요. 이미 자리우게 됐는데 뭘 더 자리우게 하냐. 저는 이게 자리잡다라는 말로 들려서ㅎㅎ 좀 다르게 의미해석하면 되려나요. 저도 우리말에 관심이 많다보니 깊이 생각하게 되네요😊

    • @user-xg9hv3zu6k
      @user-xg9hv3zu6k Před měsícem

      @@croton21 그러네요. ㅋ 자리우게 하다... 아무 생각 없이 쓴 댓인데, 아무튼 좋네요.

  • @arklight11
    @arklight11 Před měsícem +36

    감사합니다 함께 협력하며 주체적인 삶을 살아가겠습니다

  • @user-jo2sh1ze5d
    @user-jo2sh1ze5d Před měsícem +8

    너무 좋은 내용 감사해요. 한국 사회에서 놓치고 있는 ‘이타심’이라는 개념을 언어로 쉽게 풀어낼 수 있는 타일러의 능력에 크게 감탄하게 되는 영상이었습니다. 사실 이타심이라는 게 자기 효능감에 굉장히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데, 가치창출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관점이 굉장히 흥미로워요 ㅎㅎ 영단어 공부할 때 자주 챙겨봐야겠어요 :)

  • @Eric-Kang
    @Eric-Kang Před měsícem +16

    미국의 교육과 문화에 익숙한 타일러님은 한국의 문제가 아주 잘 보이실 것 같아요.
    타일러님이 미국은 어떠하며, 그에 반해 한국의 문제를 아주 신랄하게 지적해주셨으면 좋겠어요.

  • @suchulpark8522
    @suchulpark8522 Před měsícem +167

    김씨 아저씨가 바베큐집 차리고 옆에 박씨, 이씨 아저씨도 바베큐집 차리고 힘들다고 죽겠다고.... 그거 말고 김씨 아저씨 바베큐집 옆에 박씨 아저씨가 빵집을 차리고 그 옆에 이씨 아저씨가 야채가게를 차리고 셋이서 코리안 클랜 바베큐 샌드위치라는 상품을 만든다던지.....

    • @user-sl8il6my9u
      @user-sl8il6my9u Před měsícem +7

      해외동포들은 이것이 안됩니다.

    • @user-sb2cq1nl4s
      @user-sb2cq1nl4s Před měsícem +9

      이게 타일러가 말하는 핵심이죠. 작은 사람들끼리 모여 하나의 종합복합상가가되는거지요

    • @user-rg9tz4re6i
      @user-rg9tz4re6i Před měsícem +5

      맞아요
      미술학원 잘되면 그건물어 또 미술학원 들어옴
      돈까스집 잘되면 바로 옆에 돈까스집 만듦
      즉 같이 죽자는 이야기임

  • @co-pe6ou
    @co-pe6ou Před měsícem +26

    생각해 볼만한 이야기 건네주셔서 감사합니다! 함께 커뮤니티를 구성하고 싶은 요소 중 세번째 이타적인 마음이라는게 꼭 필요하면서도 요즘 찾아보기 가장 힘든 부분인거 같다고 느껴져요. 사회에서 내 몫을 찾고 지키는게 중요하다고 배우고, 자기 몫의 피자를 지키지 못하는 사람을 미련하게 보는 시선도 많은거 같구요. 좀 더 재미난 일, 데이터가 없는 일, 번뜩이는 일에 도전하기 쉬운 분위기가 형성되면 좋겠네요. 그런 의미에서 저는 씨앗 뿌리는 폭죽을 만들고 싶어용

  • @whdghksqkr4288
    @whdghksqkr4288 Před měsícem +98

    그래서 윈윈은 그냥 한국어가 되버렸어 ㅋㅋㅋㅋㅋ

    • @fastbreak33
      @fastbreak33 Před měsícem +2

      서로 잘되는,모두 잘되는 상생하는

    • @noname-kl4ri
      @noname-kl4ri Před měsícem

      중국식 영어인 롱타임 노씨 같은거지요

  • @sunsung922
    @sunsung922 Před měsícem +4

    언어 천재 타일러
    Empowerment, Win-win 설명 감사해요
    그리고 School House Rock Shirt 넘 잘어울려요 😊 참 좋은 선생님 타일러에게 딱 맞다고 생각했네요.

  • @user-oq3kk7qy9b
    @user-oq3kk7qy9b Před měsícem +27

    요즘 영상 자주 올라와서 너무 좋아요! 감사합니다 타일러
    한글 과자라니 너무 재밌을거 같아요!!😆기회 된다면 꼭 한번 먹어보고 싶네요!

  • @UnbreakableHeartTV
    @UnbreakableHeartTV Před měsícem +25

    제가 미국에서 살면서 경험한 미국인의 공동체 의식과 개인 자율성의 적절한 조화라는 미국의 장점을 한국과 비교해서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대한민국과 한국인을 위해 좋은 영향력을 발휘해주시길 희망합니다! :)

    • @user-sm1sv2cg9u
      @user-sm1sv2cg9u Před měsícem

      근데 미국은 서유럽.북유럽.캐나다.호주 같은 복지국가도 아니고 공동체의식이 있을것같진 않은데요?
      한국보다 더하면 더한 각자도생 사회지........ 결코 덜한 나라는 절대 아니라고 생각됩니다만

    • @UnbreakableHeartTV
      @UnbreakableHeartTV Před měsícem +3

      @@user-sm1sv2cg9u 아마도 댓글을 다신 분은 미국에서 살아보지는 않으신 것 같습니다... 미국 대중매체(캡틴 아메리카나 어벤져스 같은 영화, 가족의 사랑을 소재로 한 영화와 드라마)나 미국 일상 문화(가족 중심의 생활, 군인에 대한 우대, 국가와 헌법에 대한 믿음, 기독교적 박애주의)자체가 공동체 의식을 끊임없이 고취시킵니다. 미국인들은 누구나 미국인임을 자랑스럽게 생각하고 미국이 세계 최고의 지위를 유지하기 위해서 개개인들이 노력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거리에 나가도 (뉴욕같은 대도시가 아닌 이상) 낮선 사람들과 인사를 하거나 간단한 말을 건네면서 연대감을 끊임없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북유렵은 사회보장제도가 잘 되어있지 연대감이 큰 것으로 보이지는 않습니다. (북유럽에는 제가 살아보지 못해서 확실하게 이렇다는 말은 하지 못하겠네요...)
      미국 문화에 대해 더 궁금한 점이 있으면 제 체널에서 저의 첫 영상과 둘째 영상을 확인해주셔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

    • @lovelikecarlover9757
      @lovelikecarlover9757 Před měsícem

      안가봣으면서 카더라 😂😂😊​@@user-sm1sv2cg9u

  • @Hyuyoga
    @Hyuyoga Před měsícem +7

    제가 하고 있는 생각을 너무 잘 표현해주셔서 댓글 남깁니다🥹 이런 사회를 지향하며 회사생활을 10년 가까이 했는데 보수적인 한국 대기업에는 잘 맞지 않더라고요. 지나친 이상주의가 되버리기도 하고 저런 태도로 일할 경우 실질적으로 우위에 있는 위치에 있지 않은 이상 개인적 손해를 보는 경우가 훨씬 많았어요 ㅠㅠ 그렇다보니 사람들은 서로 점점 이기적이고 경쟁적으로 변하는거 같아요. 그렇게 살고 싶지 않은데 저런 사회와 커뮤니티 꼭 함께하고싶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greengold7437
    @greengold7437 Před měsícem +5

    와 일요일 아침부터 영상 잘 봤어요! 선물 받은 기분!!! 영상보고 많이 느끼고 배우고 갑니다 타일러 최고!! 감사합니다 해피썬데이 보내세요 🌞

  • @cglee22433
    @cglee22433 Před měsícem +12

    역시 제3자의 눈으로 봐야 우리모습이 잘보이는듯. 해외에서 살아보면서 한국사람의 장점도 많지만 우리의 한계점도 많이 느낍니다. 타일러의 말에 많은 부분 공감을 합니다.

  • @mongdali79
    @mongdali79 Před měsícem +11

    어려운 주제인데 쉽고 공감될 수 있게 내용을 잘 풀어서 설명해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 @haePjittok
    @haePjittok Před měsícem +9

    정말... 머리를 한대 맞은듯하네요 진짜... 말이안나오네요 대단하다는 말밖에 ㅠㅠㅠㅠ

  • @user-qz3fi9qq5u
    @user-qz3fi9qq5u Před měsícem +4

    감탄이 나옵니다
    우리에게 잘 없는 생각들을 지적해주고 설명해줘서 너무 유익합니다~~~❤

  • @liiyoo477
    @liiyoo477 Před měsícem +26

    진짜 너~~~무 공감해요. 타일러 예전부터 팬이었는데 한국사회, 한국 사람들에게 꼭 필요한 얘기를 찝어서 얘기해주는게 너무 좋습니다.
    협력 파트너들을 만날수 있는 장 그리고 프로젝트같은 것들을 타일러가 만들어주셔도 좋을것 같아요~!!

  • @jayjhlee8725
    @jayjhlee8725 Před měsícem +20

    타일러는 Integrity가 한국어로 뭐라고 생각하십니까? 요즘 한국이 선진국에 거의 다가가면서 점점 부족함이 드러나는 단어같습니다. 제가 알기로 미국과 우럽, 일본에서 가장 핵심가치로 생각하는 개념증의 하나인데, 한때 한국에서도 부각되다가 요즘은 오히려 점점 잊혀지는 가치 같습니다.

    • @user-xe3vr7jl5j
      @user-xe3vr7jl5j Před 27 dny +1

      고결성

    • @jayjhlee8725
      @jayjhlee8725 Před 27 dny

      @@user-xe3vr7jl5j 좋은 말 입니다. 제가 Integrity에서 주목하는 개념은 한 사회에서 최고수준으로 지켜내야 하는 가치들, 예를 들면 법조인, 관리, 학자, 기업인, 의료인, 정치인 등 사회의 최고 지식인들이 자신들이 반드시 지켜내야 하는 그 분야의 중심가치들을, 한국에서는 어느정도 형식은 만들었지만 결정적인 돈과 상호이익에 부딪치면 이런 가치들을 저버리고 전관예우와 코리아 디스카운트 같이 개인들의 이익을 탈취하는 수준에 머무른다는 것이지요. 이것이 현재 한국의 수준이고, 한국사회가 진정한 선진국이 되기 위해 남은 정말 어려운 과제들입니다.

  • @lia2573
    @lia2573 Před měsícem +4

    win-win와 비슷한 표현으로는
    1. 누이 좋고 매부 좋고
    2. 너 좋고 나 좋고
    3. 상생
    4. 상부상조
    등으로 일상에서 흔히 사용합니다.
    1, 2는 구어로 3, 4는 문어로 자주 씁니다.
    또한 한국은 오랜 역사 동안
    ‘두레’, ‘품앗이’ 문화가 있었고
    이것이 타일러님께서 말씀하시는
    ‘Empowerment’ 개념과 비슷한 부분이 있습니다. 다만 방식이 좀 다르기에 ‘Empowerment’의 한국 사회 버전이라고 생각하시면 이해가 쉬울 것 같습니다.
    그러나 일제강점기와 함께 서양의 개인주의, 자본주의가 들어오면서 이러한 문화가 많이 사라졌습니다.
    한국의 두레, 품앗이 문화가 현대 사회에서도 다시 주류로 자리잡길 소망합니다.
    타일러님의 분석과 의견 정말 흥미롭게 잘 봤습니다! 다음 편도 기대하겠습니다.

  • @jaysjoy7283
    @jaysjoy7283 Před měsícem +2

    귀에 쏙쏙 들어오는 명강의 입니다! 감사합니다❤

  • @Serena-hq4iw
    @Serena-hq4iw Před měsícem +16

    인식하지 못했던 부분인 것 같아요!! 윈윈 꼭 활용하겠습니다ㅎㅎ

  • @dd.i.
    @dd.i. Před měsícem +7

    와 정말 여기에 관련해서 고민을 많이 하고 영상 제작하신게 보여요! 좋아요 누르고 두고두고 찾아보는 영상이 될 것 같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당😊😊

  • @ottmanpark
    @ottmanpark Před měsícem +4

    영상에서 기승전결이 뚜렷하고 비문학 지문이 눈앞에 펼쳐지는 기분입니다. 번역하기 까다롭다는 걸로 흥미를 돋우고, 생각을 풀어가고 논지를 완성하는게 진짜 책에서 보던 글쓰기와 연설의 방법인데 이게 완전히 잘 드러나는 영상입니다.

  • @user-xn1vz3hs5w
    @user-xn1vz3hs5w Před měsícem +1

    정말 감사합니다. 타일러님 영상을 보면서 그동안 제가 깨달았다고 생각했던 생각들의 모든 것들이 얼마나 편향적이었는지 알게 되었어요.
    한국인의 전형적인 모습을 얘기하시는데 절 사찰하신줄 알았습니다.. 그동안 협업보단 개인의 성장에 중점을 두었었고, 대학을 가서도 단체생활, 협업, 프로젝트에서 나의 역할은 그저 톱니바퀴중 하나, 피해만 끼치지 말고 원만한 합의(?)로 무난히 마무리짓고 끝내면 그만인 부분이었어요.. 고유한 '나의 것'에 집중했고 나의 아이덴티티가 무엇일까 를 찾기에 급급했습니다. 협업과 협력의 과정에선 진정한 나를 찾거나 원하는 바를 이룰 수 없다고 무심결에 생각해왔던 것 같아요.. empowerment 효과를 내기까지 내가 그 안에서 들여야하는 많은 노력과 그에 대한 압박감, 협력해서 해냈을때의 성취감 같은 것을 살면서 그리 느껴보지 못했다는 점이 이렇게 개인주의가 된 이유이기도 할 것 같네요ㅜㅜ. 혼자 모든 걸 이뤄내려는 것도 어찌보면 오만 또는 비현실적이었던 것 같구요. 저 혼자라면 생각하기 어려웠을 부분인데 타일러님의 유투브 덕에 많은 걸 생각하게 되고 또 배워갑니다. 사실 인간적인(감정적인) 면모로선 꽤나 이타적이고 배려하며 살아왔다고 생각했는데 empowerment는 그저 이타적인 것과는 또 다른 느낌인 것 같네요.. 고민과 생각이 많아지는 밤입니다.ㅎㅎ 타일러님께수 유투브를 하시는 이유도 상생의 마인드 중 하나이신 듯 하네요 ㅎㅎ 앞으로의 영상도 항상 응원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hu3bi4wh7o
    @user-hu3bi4wh7o Před měsícem +629

    Win win응 한국말로 "상생" 과 가장 가깝습니다

    • @user-lu3yz7uy8n
      @user-lu3yz7uy8n Před měsícem +49

      저도 바로 상생 생각났네요 ㅋㅋㅋ 적당한 번역인거같은데

    • @user-rf4mh8sx4s
      @user-rf4mh8sx4s Před měsícem +85

      상생은 상호이익을 얻는 관계는 아니죠. 상생은 단순히 서로 해를 끼치지않는 정도를 유지하고 산다는것 정도의 의미라서....

    • @Jesusnameonhigh
      @Jesusnameonhigh Před měsícem +17

      1.민속 음양오행설에서, 금(金)은 수(水)와, 수는 목(木)과, 목은 화(火)와, 화는 토(土)와, 토는 금과 조화를 이룸을 이르는 말
      2둘 이상이 서로 북돋우며 다 같이 잘 살아감.
      정확한 뜻은 이렇습니다.

    • @TraderX888
      @TraderX888 Před měsícem +20

      으와 상생하는순간 온갖 폐혜가;; 가족같은 회사 라는 단어랑 같은 의미로 쓰이는데 상생은..ㅋㅋ 위하는척 하면서 뒤로 몰래 이긴다 라는 뜻 ㅋㅋ

    • @SuperBae11
      @SuperBae11 Před měsícem +23

      ​@@TraderX888시야가 좁으신데 어찌 누가 그대를 설득할까요

  • @summeryou3816
    @summeryou3816 Před měsícem +3

    타일러님 정말 중요한 이야기를 해주셔서 감사해요! 말씀해주신 포인트가 결국 한국인들이 많은 정신적인 어려움을 겪게 되는 이유이며, 한국 사회가 건강한 발전을 이뤄내기 어렵게 하는 요소라고 생각해요. 중요한 가치를 다시 기억하게 되어 기뻐요❤

  • @jane_sy_k
    @jane_sy_k Před měsícem +3

    요즘에 생각하던 걸 딱 정리해주시니까 참 시원하네요!
    경쟁을 남보다 잘 되는 것으로, 협력을 타인을 이용하는 것으로 인식하게 된 복합적인 계기가 있을 것 같아요.
    내가 가진 역량이 무엇인지 보다는 내가 잘 할 수 있을만한 전공 분야를 먼저 고민하는 학생들을 보면, 어떻게 보면 옷에 사람을 맞추는 것 같기도 해요.
    타일러 님이 말한 사회 분위기는 자기 이해를 수반한 목표 설정이 전제되어야 할 것 같고,
    이를 위해서 사회적으로 어떻게 분위기를 형성할지도 중요한 쟁점인 것 같아요.
    자유로운 협력을 도모하는 커뮤니티 저도 참 희망하는데 접근성이 좋지는 못한 것 같네요 ㅠㅠ
    대학의 캡스톤 같은 프로젝트 활동에서 이런 분위기가 잘 났던 것 같아서, 기업에서 일반인과 함께 이런 프로젝트를 만드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Empowerment는 뭔가 교육학 쪽의 '강화', '장려' 같은 단어가 많이 떠오르는데, 그쪽으로 쓰자니 관계의 수평성이 표현이 잘 안 되는듯해요.
    '조력'이나 '고무'는 어떨까 싶기도 한데, 지금의 그 단어를 사용하는 뉘앙스가 딱 들어맞지는 않는 것 같기도 하고요.
    win-win은 상부상조가 딱 떠오르긴 하는데 이 단어는 어떨까요?

  • @user-cy9np4su9p
    @user-cy9np4su9p Před měsícem +8

    Topic선정이 진짜 탁월한듯..생각하며 언어를 배우게 되는..역시 타일러 👍

  • @thx2all123
    @thx2all123 Před měsícem +5

    저도 이 부분에 대해서 굉장히 깊이 그리고 오래 생각해봤어요.
    제 주변에 늘 얘기하던게, 우리나라는 앞으로 프리랜서 또는 1인 사업자, 소상공인끼리 협력을 통해 나아가는 방향만이 살길이다였어요.
    개인적으로는 이런 사회적 병폐때문에 우리나라 대기업들은 수명이 얼마 안남았다고 생각해요.
    사람들은 뭐때문에 일하는지도 모르면서 직장을 나가고요.
    그러면서 동시에 노비짓도 대감집 노비가 낫다고 대기업들을 가려고 줄을 서요.
    대기업에 가면 꿈과 환상이 다 깨지죠. 그럼 결국 이직을 하거나 자기걸 차리게 돼요.
    자기걸 차리는건 또 다른 차원의 이야기입니다.
    최근 민희진 어도어 대표와 하이브 모회사의 사태가 굉장히 큰 이슈인데요.
    이것도 저는 한국 사회의 병폐라고 느낍니다.
    돈을 좇는 회사와 그저 일 열심히 하는 직장인 사이의 노사갈등..
    어렵죠.. 직장인때랑 내꺼 차릴때랑 또 다른 차원의 고민이 생겨요.
    그래서 협력이 중요하고 소통이 중요해요.
    한국사람들보다 한국을 더 잘아는 타일러님 정말 존경합니다!

  • @user-uf5rw1vl3x
    @user-uf5rw1vl3x Před měsícem +4

    넓고 크게보는 관점에 공감하고
    끌어내는 엄청난 메시지입니다
    자국민보다 더 적절한 단어선택
    어쩜그렇게 말을 잘해요♡
    놀라워요
    발음까지 정확하니 ㅠㅠ

  • @youn5235
    @youn5235 Před měsícem +4

    서로좋게
    참 좋은 얘기 하시네요
    요즘 특히 더 돌아보아야할 이야기네요
    혼자가 아닌데,
    감사합니다^^

  • @user-lz9ed3cr1h
    @user-lz9ed3cr1h Před měsícem +1

    많이 배웁니다,, 몇번씩 돌려보면서 제 경쟁에 치우친 사고방식을 win-win과 empowerment쪽으로 바꿔보고 싶네요,, 좋은 생각 나눠주셔서 감사해용

  • @user-vt9hs6qx2h
    @user-vt9hs6qx2h Před měsícem +7

    이러한 좋은 방향성에 대한 이야기를 한국에 대한 애정으로 해주시다니..대단한분이에요 감사합니다. 진정한 리더다..

  • @handcreamcake
    @handcreamcake Před měsícem +7

    요즘 출산률 0.6이라는 숫자를 보고 지금까지 한국이 겪었던 위기중 가장 큰 위기라고 생각이 들었던 터라... 이런 사회 전반에 대한 주제에 관심을 가지게 되네요 오늘 저녁 자기 전에 보려고 저장했어요 좋은 컨텐츠 감사해요

  • @jsk7791
    @jsk7791 Před měsícem +2

    좋은 아이디어를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완전 공감합니다.

  • @miyoungkim5518
    @miyoungkim5518 Před měsícem +7

    아주 객관적이고 날카로운 지적이네요. 앞으로 모든 사람들이 지향해야 할 사고방식 같아요.

  • @user-ku9xj7cv8t
    @user-ku9xj7cv8t Před měsícem +5

    유튜브의 발명 감사하네요
    타일러님과 같은 대단한 사고를 가진분의 생각을 공유할 수 있는 도구가 있으니

  • @angelayeonjungnoh4912
    @angelayeonjungnoh4912 Před měsícem +3

    한국사회에 비교적 결여되어있는 이렇게 중요한 가치를 설명해주는 타일러님! 정말 완소완소에요! 우리가 나아가야할 방향이네요! 타일러님의 앞으로의 행보를 응원합니다!!👏👏👏

  • @esJ-hh7un
    @esJ-hh7un Před měsícem +2

    타일러. 전부터 호감이 있어서 한번 봤는데 큰 깨달음을 주네요. 요즘 일도 잘풀리고 나쁠게없는데 우울함에 땅꿀파고 있는 상황인데, 그 원인을 알게 해 주었습니다. 주변인들이 상생을 앞세우고 자신만이 정답인듯 이기주의를 보여준 일들이 있었는데 몇번 그런일을 겪고나니 사람들 만나기가 싫어지더라고요. 돌아가신 엄마생각만 나고. 혼자 제일만 하고 있는데, 그 이유를 몰랐거든요. 갑작스럽게 해답을 찾은것같아서 기분이 많이 나아졌습니다. 우리 사회가 언제쯤 저런 마인드를 가진 사람들이 많아질까요. 저도 타일러처럼 멘탈 강해지고 싶습니다.

  • @logic7153
    @logic7153 Před měsícem +1

    좋은 말씀이시네요. 영상 보고 제가 부족했던 점을 고쳐서 건강한 사회가 되도록 노력해보겠습니다.

  • @dho219
    @dho219 Před měsícem +11

    진짜 좋은 영상이네요. 자본주의가 급격하게 발전한 대한민국에 꼭 필요한 생각들을 보여주시는 거 같아요. 과도한 경쟁과 돈이 최고인 한국의 수많은 문제들이 해결 할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드는 시점인데, 이런 이야기들이 널리 퍼지고 사람들이 인식이 바뀌면서 좋은 방향으로 흘러갔으면 좋겠네요.

  • @agent_choi
    @agent_choi Před měsícem +4

    너무좋아요 요즘 혼자가 아닌 커뮤니티가 중요하다는 생각을 하고있었어요 !!

  • @ghulamhussainbadruddinshah1325

    정말 멋있고 똑똑한 타일러 님. 저는 노력의 방향을 정확하게 정하는 것도 노력의 가장 큰 부분이라 생각해요. 건설적으로 올바른 방향을 정하기 위해서는 여러 좋은 정보를 접해야겠죠. 타일러 님이 이걸 위해 인사이트 듬뿍 담은 영상들을 많이 만들어 주셔서 정말 좋아요!

  • @user-no3lm3wu4i
    @user-no3lm3wu4i Před měsícem +1

    너무나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정말 정말 생각해볼 필요가 있는 내용입니다.
    경험까지 얘기해주셔서 큰도움이 됩니다.
    진심 감사드립니다~^^

  • @Emma-qi6dx
    @Emma-qi6dx Před měsícem +5

    타일러에게 오늘도 많은걸 배우고 갑니다. 저도 같이 협력이 필요한 사람을 찾을때 처음부터 부정적인 말을 하는 사람이 아니라 내 생각을 응원해주고 나와 함께! 고쳐가고 의견을 나눌 수 있는 사람을 찾게되더라구요. 가끔 본인이 더 잘낫거나 똑똑함을 드러내고 싶은 사람이 자주 비판적인 말을 많이 하는 것 같았어요.

    • @user-uq6sb9zh6q
      @user-uq6sb9zh6q Před měsícem +1

      반성하고 갑니다! 앞으론 협력적인 사람이 되어야 겠어요

  • @slshin7
    @slshin7 Před měsícem +33

    '믿고 맡기다'라는 한국말이 Empowerment에 가장 가까운 것 같습니다.

    • @croton21
      @croton21 Před měsícem +1

      단어로는 '신임'이 되는 걸까요?

    • @cronbach7854
      @cronbach7854 Před měsícem +4

      저는 임파워링은 믿고 맡기다로 충분하지 않다고 생각해요 “힘”이 없는 사람에게 agency를 준다는 말이 포함되어야 하는데 믿음과는 좀 느낌이 달라보임... ㅠㅠ

    • @user-sweetierinarinarinarina
      @user-sweetierinarinarinarina Před měsícem

      전혀 아니네요

  • @jmlee467
    @jmlee467 Před měsícem +1

    정말 공감가는 내용입니다. 훌륭한 insight이에요. 이런 주장들이 모여 한국 사회를 조금씩 더 좋은 방향으로 바꿔가리라 생각합니다. 타일러 고마워요 :)

  • @2HI-xg3np
    @2HI-xg3np Před měsícem +1

    한국 사회에 정말 필요했던 관점이었어요.
    최근 사회문제를 풀어내는 실마리가 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유익하고 진심어린 영상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ub1fk6um4k
    @user-ub1fk6um4k Před měsícem +3

    우리나라 문화에 꼭 필요한 마인드네요. 감사합니다!

  • @hzkk827
    @hzkk827 Před měsícem +3

    헬조선에서 저 기준으로 사람 고르면 내 주변에 아무도 없음 ㅋㅋ
    "우리 열기구 만들어보자~"
    친구1 : 뭔 열기구야 하면서 꼽주기
    친구2 : 대충 참여하는 시늉만 내고 나중에 잘 될 것 같으면 얼굴 싹 바뀌면서 숟가락 얹으려고 달려들기
    친구3 : 응 ~ 때문에 안돼~ 이거말고 딴거만들자~
    직장상사 : 김대리 다 좋은데 회사 업무랑 행사는 열심히 참여하면서 말하는거지?
    당장 지금 나 자신 부터도 안되는거 위주로 생각하고 있으니 ㅋㅋ

  • @user-ci1oc9xk1e
    @user-ci1oc9xk1e Před 6 dny

    뭔가 희망적이고 긍정적이게 되는 영상이네요
    자주 다시 볼래요ㅎㅎ

  • @HigherSelfKorea
    @HigherSelfKorea Před měsícem +2

    Good stuff~ 부정적/긍정적으로 생각하지 말고 '건설적으로' 생각하라는 표현이 너무 마음에 들어요!

  • @jhey.m9204
    @jhey.m9204 Před měsícem +45

    Empowerment는 진짜 딱 설명할 수 있는 단어가 생각나지 않네요, winwin은 상부상조같은 느낌인 것 같네용. 그리고 이타적인 마음..음..이타적인 마음..으음...이 타인을 적이라고 생각하는 마음은 있는데용...으음..이타적이 되어야한다..으음..어렵다...으음.....으으음..근데 사실 경쟁 별로 안 좋아함.. 롤도 옵치도 경쟁전 안 돌림.. 으음......경쟁하긴 싫지만 플래티넘은 달고싶다..으음.......진짜 내 마음은 뭘까.....

    • @taehokoo82
      @taehokoo82 Před měsícem +2

      winwin이랑 상부상조는 너무 다른데..

    • @philosophy_and_law
      @philosophy_and_law Před měsícem +1

      empowerment를 “주체성”으로 받아들이면 어떨까 합니다! 음.. 물론 empowerment는 타인에 의해 주체화된,,,? 그런 느낌이네요

    • @user-ue8jw4cw9j
      @user-ue8jw4cw9j Před měsícem +1

      밀어주기로 이해했는데

    • @unkmi-6.6-
      @unkmi-6.6- Před měsícem

      ㅋㅋ 귀여우세용. 인류애를 키워 레벨업 시켜보아요. 그럼 생길라나.. 저도 어렵습니다.ㅎㅎ

    • @david-ji8tw
      @david-ji8tw Před měsícem

      @@taehokoo82 맞음 윈윈과 상부상조는 해석을 너무 잘못함. 윈윈은 서로 필요로인한 존재 그러한 가정이 없이 이게 잘된다면 서로 상호간의 이득이다. 결과의 포커싱을 한거고 상부상조는 서로가 서로를 돕는 과정을 나타내는거임. 결과의 관점과 과정의 관점을 둘다 나열해놓고 같다고 보면 안되지.

  • @user-mz2fs7eu3d
    @user-mz2fs7eu3d Před měsícem +4

    타일러 대단!!

  • @enfp9334
    @enfp9334 Před měsícem +1

    Win-win.. 타일러님께서 이미 잘 번역하셨네요..상생하다.. 감사합니다.^^

  • @kday8556
    @kday8556 Před 25 dny

    오오 Empowerment 너무 공감됩니다! 저는 이걸 굳이 번역하면 '권한 부여'라고 했었는데, 항상 마음에 안들었어요!ㅎㅎㅎ
    혹시 Engagement는 어떻게 생각하시나 궁금합니다. 저는 이걸 '몰입'이라고 하긴 하는데, 이 느낌이 아니기도 하고 맥락에 따라서 뉘앙스도 조금씩 달라지는 것 같아서요!

  • @mestorylife
    @mestorylife Před měsícem +5

    말 진짜 잘하신다 ,,, 여기는 안타깝게도 약자멸시 사회입니다

  • @yongtaelee5579
    @yongtaelee5579 Před měsícem +3

    Great insight.
    감사해요 타일러님.
    This is pastor Ted Lee living in Seoul.

  • @better_life_LWK
    @better_life_LWK Před měsícem

    공감해요~ 타일러선생님 영상감사합니다

  • @HK-xb6ps
    @HK-xb6ps Před 21 dnem

    덕분에 유튜브 댓글 처음 써봐요!!
    타일러님 예전부터 팬이었는데
    이런 좋은 비디오 계속 업로드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이런 의견을 내주시고, 나눠주셔서 감사할 따름이에요!
    더더욱 팬이되었습니다
    앞으로도 화이팅하세요 👍💕💕

  • @elizabethseol7089
    @elizabethseol7089 Před měsícem +11

    너무나 감사합니다
    총명하고 착한 분
    보물입니다

  • @user-kf3lw9ne2f
    @user-kf3lw9ne2f Před měsícem +4

    아하 그럼 win-win은 mentor, mentee 같은 관계를 말하는건가요?
    멘토는 멘티한테 알려주면서 개념을 더 확실하게 정리하고, 멘티는 멘토에게 가르침을 받으면서 성장할 수 있는 그런 관계요:)

  • @Loi-wu8di
    @Loi-wu8di Před měsícem

    타일러 이런 주제를 다루어 주어서 너무 감사합니다!

  • @mi.ni.d3173
    @mi.ni.d3173 Před měsícem +2

    내용 공감도 하면서 win 은 재미있게 봤네요 ㅎ 최근 서빙 일하면서 정치, 정치인, 당 이야기를 하는 손님들 이야기를 들으며 들었던 생각은 ... 이야기 하는 사람들이 아는 정보가 해봤자 얼마나 될까?... 정치인 한 사람이 어떠한 사람인지 밖에서 보기고 건너 건너 들었던 이야기로 알면 얼마나 알까? 라는 생각도 들었고, 국내 대학 학벌 이야기가 들리면... 저렇게 열띤 토론을 하는 게 의미 있나? 대학의 경우 결국은 해외에 가면 같은 한국인 아닌가? 올림픽 하게 되면 결국 우리나라 응원하는 거 아닌가? 라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또한 한국 사회가 예전에 비해 업무 적인 부분에서 협력을 하는 곳이 늘고 있기도 하고 그 결과로 윈윈 하면 좋지만... 한국 사회에서 협력을 하다가 저작권, 디자인 표절, 경영, 기술 유출 등으로 인해 다툼 혹은 분쟁으로 이어지는 사례가 많은 반면 보호하는 장치 혹은 처벌의 과정이 아직은 해외에 비해 부족한 점도 있어서 지금보다 더 보완이 되어... 다음 세대에는 '협력'이라는 단어가 좀 더 와 닿는 한국이 되길 희망하게 되네요// 타일러 너무 잘 봤습니다🥰

  • @roodae3239
    @roodae3239 Před měsícem +5

    win-win 하니까 상생(相生)이 잘 어울릴거같아요
    요즘에 생각하고 있던건데 어떻게 접근할지 몰랐던 부분을 정리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영상 너무 잘 봤어요

  • @user-ss4hf6pr4r
    @user-ss4hf6pr4r Před měsícem +7

    최고!

  • @user-yp9wd3ry9p
    @user-yp9wd3ry9p Před měsícem +1

    너무 좋은 영상이네요. 타일러 영상 중 정말 가히 베스트

  • @dennysun9051
    @dennysun9051 Před 21 dnem

    우와...진짜 언어천재 타일러😂...개인적으로 땡땡 "힘 실어주기"란 대안 표현이 와 닿네요. 그리고 설명이 너무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