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춘기 자녀를 현명하게 대하는 자세!!(feat.김붕년 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정신과 교수)

Sdílet
Vložit
  • čas přidán 23. 06. 2021
  • 10대 자녀를 둔 부모님이라면 누구나 고민하실 게임 문제!!! 그로인한 갈등을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게임에 빠진 아이로 인해 걱정하실 학부모님을 위해 김붕년 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정신과 교수님께 현실조언을 들어봤습니다.
    ***교육대기자TV가 여러분의 학습고민을 해결해드립니다. 각종 고민을 메일(daegiza@naver.com)로 보내주세요. 성심껏 답변해드리겠습니다.
    섭외 제보 및 문의 leo0521@naver.com
    #게임중독 #사춘기 #중2병

Komentáře • 300

  • @daegizatv
    @daegizatv  Před 3 lety +123

    게임에 빠진 아이로 걱정하실 학부님을 위해 현실조언을 해주신 김붕년 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정신과 교수님께 감사드리오몀, 관련 궁금증 남겨주세요. 구독과 좋아요는 큰 힘이 됩니다^^

  • @user-fc5zj3tp2q
    @user-fc5zj3tp2q Před 6 měsíci +9

    게임은 할수록 빠져들어요. 중요한 시기 다 놓쳐 버려 부모속이 타들어갑니다. 스스로 통제할 수 있도록 현실적인 방법이 필요해요.ㅠㅠ

  • @ddalgi121
    @ddalgi121 Před 3 lety +30

    문제는 새로운 게임이 계속 나온다는게 문제죠 그래서 더 몰입하게 되는겁니다~ 아이들이 스스로 조절이 안되는 거죠 부모가 적절한 게임시간을 정해주는게 제일 좋다고 생각합니다~

  • @user-ht7mq9zh6r
    @user-ht7mq9zh6r Před 3 lety +54

    정서가안정되면 게임중독에 빠질가능성이 낮다는말씀이신듯해요. 부모와의 유대감이중요^^

  • @hassam_mom
    @hassam_mom Před 3 lety +134

    " 게임은 문화다" 교수님 말씀에 깊이 공감합니다. 저희 둘째 아이도 중학시절에 게임에 몰두했었는데요. 잔소리 많이 안하고 기다려주니 돌아와서 공부합니다. 아이가 사춘기로 힘들어할때 잔소리를 참은것이 참 잘했다는 생각이 드네요. "게임은 문화다" 사춘기 아이를 둔 부모님들이 이 영상을 많이 보셨으면 좋겠습니다^^

    • @daegizatv
      @daegizatv  Před 3 lety +5

      소중한 경험담 나눠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il8wz2ns2x
      @user-il8wz2ns2x Před 2 lety +19

      성향이 그런아이도 있지만...안그런 아이가 더 많습니다😭

    • @user-zw6us9nf7j
      @user-zw6us9nf7j Před 2 lety +16

      잔소리의 기준이 어디까지일까요? 하교하자마자 폰들고 각종 유투브, 웹툰, 노트북으로 게임 4~5시간씩 잠도 안자고 겜을 해대는 자기가 정한 게임시간도 안지키는 아이에게 어떻게 해야할까요?

    • @TV-yd8wp
      @TV-yd8wp Před 2 lety +6

      밤잠안자고 밥안먹고 학교안가고 이런경우 얼마나 어떻게 기다려줘야할까요?

    • @Pneo01
      @Pneo01 Před rokem +2

      @@user-zw6us9nf7j 게임을 적극적으로 시키고 공부 닥달하듯이 게임을 닥달해보세요. 원래 '자기가 원해서 한다'라는 환상이 있을때 그게 재미있는 것인데 자녀분이 하는 게임에 대해서 공부하시고 그걸 적극적으로 참견해보세요. 하기 싫어질 겁니다. 이건 실제로 솔루션 중 하나입니다.
      저는 아이들 게임 교육에 대하여서 이렇게 합니다.
      1. 좋은 게임을 찾아서 추천해준다.
      -모바일 게임은 높은 확률로 돈을 내면 이기는 게임일 때가 많고 광고도 저질입니다. 차라리 닌텐도에 나오는 건전한 게임을 추천해줍니다.
      2. 자녀와 게임을 같이 한다.
      -게임 역시 자녀와 소통의 장이 될 수 있습니다. 자녀가 게임을 왜 하는지 이해하고 게임을 통하여서 유대감을 증진할 수 있습니다.
      3. 해야할 일을 다 했다면 정해진 테두리 안에서 게임을 자유롭게 하게 한다.
      -정해진 테두리라면 식사시간과 숙제, 자는 시간입니다. 이것에 침해되지 않는다면 게임하는 것을 차라리 적극 권장합니다. 이때 부모도 아이들이 하는 게임에 참여해봅니다. 아이들에게 이 캐릭터 키우는 거 어려운데 도와줄 수 있냐고 물어보면 또 좋아할 겁니다.
      상당히 급진적인 방법입니다만, 게임에 휘둘리는 것보다는 나아 보입니다.

  • @yuki-rp9sh
    @yuki-rp9sh Před 3 lety +18

    게임,핸드폰에 집착하는 초등아이때문에 고민이었는데 교수님 강의듣고 많은도움이됬네요^^

  • @user-hm5xg6nv9g
    @user-hm5xg6nv9g Před 3 lety +10

    아이들의 발달을 이해하니 한결 마음이 편해집니다. 11세때 정말 또래 아이들과 게임에 빠지더니 (이 과정도 몰입이었겠네요.) 12세인 지금은 게임 안합니다. 작년엔 코로나로도 그렇고 학교가 집에서 멀어 지각하거나 하는 일로 패배감이 좀 있던 거 같아요. 레벨이나 기타 보상을 받는 성취감이 있던 게 게임을 하게 되는 요인이었네요. 교수님 말씀 들으니 예전에 정서가 바탕이 되어야 공부를 잘 할 수 있다는 어느 책을 본 기억이 납니다. 15년전 그때도 공부에 정서라니... 힘든 가정 환경에도 꿋꿋이 공부로 성공하는 이야기를 아는 옛날 사람이어서 그런지 나중에서야 알았습니다. 이후 정서에 신선한 충격이었는데 교수님 강의들으니 부모로서 아이들에게 안전기지로 안정된 가정환경에서 수용하고 격려해주고 품어줄 수 있어야겠습니다. 사춘기가 되니 사소한 일에도 날이 서는 아이가 힘들었는데 이젠 이해하고 따뜻하게 대해야겠어요. 동생이 어려서 동생에게만 애착형성해준게 미안해지네요ㅜ
    얼마나 질투했을지... 첫째가 안쓰럽고 그래서 힘들었겠다 싶네요. 감정을 잘 받아줄 수 있기를 노력해야겠어요.

  • @user-nf8ik1mt8x
    @user-nf8ik1mt8x Před 3 lety +3

    마음이 편안해지는 말씀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cbl7240
    @cbl7240 Před 3 lety +40

    정서적 애착이 제일 중요한거였군요.
    감사합니다 교수님

  • @user-ze6dg6mp1k
    @user-ze6dg6mp1k Před 3 lety +5

    이분 영상은 정보의 퀄리티가 상당하네요. 감사합니다~

  • @lynnnlael9307
    @lynnnlael9307 Před 2 lety +2

    실질적으로 많은 도움이 되는 좋은 말씀입니다. 감사합니다

  • @choice7524
    @choice7524 Před 3 lety +23

    말씀자체가 귀에 쏙 들어갈 만한 표현으로 쉽게 표현해주셔서 좋아요.

  • @mumu2984
    @mumu2984 Před 3 lety +9

    듣고싶은 주제들을 콕 집어 주시네요!

  • @toondra81
    @toondra81 Před 3 lety +2

    궁금한질문을 질문해주셔서 속이 시원하네요 진행너무 잘하시네요^^

  • @jyh9419
    @jyh9419 Před 3 lety +4

    걱정보다는 호기심과기대!! 제 책상에 적어두었어요! 꼬옥 기억하고 아이를 이해할수있도록 돕는 부모가되겠습니다
    감사해요♡♡

  • @user-zq8qj6lv3o
    @user-zq8qj6lv3o Před 3 lety +46

    2부 드디어 나왔군요!
    대기자티비 첫회부터 거의 다 봤던 독자로서, 갠적으로 오늘 방송이 제일 좋았네요.
    편집장님 시원하게 맥을 짚어주는 질문에, 디테일하게 상담해주시는 선생님의 강연 너무 좋았습니다.
    틈틈히 다시 보고싶은 내용이었어요

  • @user-et9bo7tj3s
    @user-et9bo7tj3s Před 3 lety +2

    교수님의 선구적인 말씀 잘 듣고 기억하며, 실천에 옮기겠습니다. 편집장님 질의하신 내용들 특히나 너무 좋았습니다.^^

  • @hyerimlee8079
    @hyerimlee8079 Před 3 lety +20

    교수님 정말 정말 감사합니다!!대단히 도움되었구요 막혀서 답답한 부분이 어느정도 해소되었어요. 고리타분한 이야기가 아님 요즘 세대를 관통하면서도 기본을 깨우쳐주시는 주옥같은 말씀 감사해요.걱정은 좀 내려놓고 호기심과 기대로 아이를 대하겠습니다!!

  • @user-rh9hx6kp8h
    @user-rh9hx6kp8h Před 3 lety +6

    요즘 아이 게임 때문에 미칠 것 같았는데 영상보니 낫네요. 감사합니다.👍

  • @user-kl5il3rh4w
    @user-kl5il3rh4w Před 3 lety +1

    정말 좋은 영상을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1부 보고 기다리는 2부는 선댓글 먼저 남겨요~~~^^

  • @silver6268
    @silver6268 Před 2 lety

    너무 잘들었어요~
    알고 싶은것만 쏙쏙~
    감사합니다~
    교수님~편집장님~♡

  • @juliaahn2783
    @juliaahn2783 Před 2 lety +1

    좋은 영상 정말 감사합니다 ~~ 오늘도 건강하세요

  • @user-oo8zd4ph7h
    @user-oo8zd4ph7h Před 3 lety +9

    게임 관련 가장 현실적이고 명쾌한 조언을 해주시네요 늘 큰 숙제였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대기자tv님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 @daegizatv
      @daegizatv  Před 3 lety +1

      도움되셨다니 기쁘네요. 감사합니다^^

  • @user-qb7uk5zw8z
    @user-qb7uk5zw8z Před 9 měsíci +5

    게임에 빠지는 계기가 중요한듯 합니다
    제 아이는 중1인데 몇달전까지 공부도 잘하고 엄마의 공부열성에도 잘따라와 줬는데 사춘기 들어서면서 틀어지게 되어서 지금심리상당 받을정도로 안좋아졌습니다 그러다 보니 게임에 빠지더라구요 지금은 안정시키고 마음 컨트롤 하는 힘을 길러줄려고 애쓰고 있습니다 학교도 안갈려고 하던게 이젠 학교는 잘 다닙니다. 좋아하던 영재원도 가기싫다고 하다가 다행이 잘다니고 있고요 이제 스스로 게임 줄이는 방법과 검정조절하는 방법 가르치고 있어요 지금 하루 6시간정도 휴대폰 들고 있어요 갈길이 먼거 같아요

  • @kimgaboll
    @kimgaboll Před 3 lety +1

    귀에 쏙쏙 들어오네요~~
    감사합니다

  • @mijeonglee7191
    @mijeonglee7191 Před 3 lety +4

    긍정적이게 바라보는 교수님의 따뜻함이 말씀하시는거에 느껴집니다. 멋있으세요!

  • @user-fo7tb5wg3g
    @user-fo7tb5wg3g Před 3 lety +25

    "저거 중독 기미가 있는거 아니야? " 교수님 은근 귀여우신듯요 ㅋㅋㅋㅋㅋ

  • @younaoh3802
    @younaoh3802 Před 3 lety +5

    너무 감사합니다!!
    교육대기자TV, 우리 편집장님, 그리고 우리 교수님 💕
    늘 큰 도움 받고 있습니다.

    • @daegizatv
      @daegizatv  Před 3 lety

      감사합니다. 더 노력할게요^^

  • @festinalente7632
    @festinalente7632 Před 3 lety +4

    교수님 감사합니다. 목적의식을 잃고 자존감도 떨어진 중2랑 상담다니고 있어요. 뜨끔한 부분이 많습니다..

  • @평범한초딩
    @평범한초딩 Před 3 lety +10

    6세 8세 아이들이 아빠할아버지덕에 게임에 빠져서 한동안 매일 통제하고 집안이 난리였는데 이불속에 숨어서 하는거 보고 엄마가 정신차렸음.이러다 아이들과 사이 멀어질거같아서 시간 조절, 콘텐츠검열 정도 규칙만 놓고 풀어줌요. 하루종일 하면 눈 나빠진다 폭풍잔소리하고 틈틈히 전신운동 시키고 겜에 같이 공감해주면서 편하게 몰입하게해줬는데 정말 애들이 긍정적으로 변했음요. 추리 수감각 논리 언어 자신감이나 자존감 등이 많이 올라가는거보면서 이거 뭐지 했음. 때때로 겜 못하면 포효를 하는데 중독이 아니라 각고의노력으로 이루어논것들이 못하는 사이 날아가버릴수있어서라는걸 이해하는데에 많은 시간이 걸렸음. 내가 너무 방임형인가 나만 거꾸로 가는가 싶었는데 이 선생님의말씀에 안도함요.

  • @user-vv8zo7eq6w
    @user-vv8zo7eq6w Před 3 lety +5

    정말 좋은 시간이였습니다 ~~^^
    이런 조은 영상 준비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daegizatv
      @daegizatv  Před 3 lety +1

      도움되셨다니 기쁘네요. 감사합니다^^

  • @user-lv3ki5sn6z
    @user-lv3ki5sn6z Před 3 lety +12

    게임을 하기위해 공부를 한다라는것과 내가 해야할일 다 끝내고 남은시간에 게임을 한다는건 큰차이인데 요즘 아이보면 전자 느낌이 들어서 고민이 많이 들더라고요 하지 말아야할 행동을 반복적으로 하면 일시적으로 게임중지를 시키는데 맞는지 모르겠어요

  • @user-dh6fq9fo3i
    @user-dh6fq9fo3i Před 3 lety +6

    교수님~말씀 한마디 한마디가 다 명언이시네요! 너무 잘들었습니다.
    기자님 역시 핵심을 집는 내용들로 대화를 이끌어 가시는 점에 늘 많은 도움을 받습니다! 고맙습니다~^^

  • @user-im2jx1qz9n
    @user-im2jx1qz9n Před rokem +3

    볼때마다 감탄한다 대기자님의 질문수준은 정말 엄마들의 궁금증을 나노수준으로 파악하심ㅋ

  • @user-su6uz4xz7x
    @user-su6uz4xz7x Před 7 měsíci

    귀한 말씀 감사합니다
    많은도움이 되었습니다

  • @cyrooka
    @cyrooka Před 3 lety +7

    부모들을 위한 현실적인 조언, 게임은 새로운 문화로 바라봐야 한다는 말씀이 강렬하게 남네요. 너무 좋은 컨텐츠 늘 감사합니다.

  • @user-tn9yl9ed7o
    @user-tn9yl9ed7o Před 3 lety +26

    초등학생 된 아들이 게임에 빠져서 어떻게 해야할지 답답했는데 뇌 전문가이신 교수님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알려주시니 정말 명쾌합니다
    그리고 아이를 걱정보다는 호기심과 기대를 가지고 바라보라는 말씀도 마음에 남네요 좋은 인터뷰 영상 정말 감사합니다!!!

  • @user-iz7ng8zj9u
    @user-iz7ng8zj9u Před 3 lety +11

    이런 영상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대기자tv로 뵙기 힘든 분들 좋은 말씀 들으니 정말 좋네요. 김붕년교수님 뵙고 싶네요~

    • @daegizatv
      @daegizatv  Před 3 lety +1

      도움되셨다니 기쁘네요. 감사합니다^^

  • @user-fq2uk4gf5t
    @user-fq2uk4gf5t Před 3 lety +36

    중2.아들..학교다녀오면 게임만..학습에는 관심도없고 집에있으면 게임만해서 속이 터집니다

    • @user-id9yg2lw2p
      @user-id9yg2lw2p Před 3 lety +9

      완전 공감요 .. 자기주도가 길러진다는 확신만 있다면 맘편히 놔두겠는데 불안해서 제마음만 지옥이네요

    • @Khy8653
      @Khy8653 Před 2 lety +5

      똑같네요 울집 아이랑

  • @jyhan5632
    @jyhan5632 Před 3 lety +3

    큰 도움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vv7hu6zm4m
    @user-vv7hu6zm4m Před 3 lety +15

    "너 그동안 게임 많이 했지? 이제 공부해랴~~~" 제 얘기인줄 ㅋㅋㅋ 잘들었습니다

  • @user-xx3tb3fi6r
    @user-xx3tb3fi6r Před 3 lety +2

    감사히 잘 보겠습니다.

  • @user-gi6cb2uq5j
    @user-gi6cb2uq5j Před 3 lety +3

    큰아이 게임때문에 생각이 많았는데 생각이 정리가 된 좋은 말씀이었어요~
    감사합니다~^^

  • @user-sk8yr2wk2h
    @user-sk8yr2wk2h Před 3 lety +3

    소장하고 두고두고 봐야할 영상인것 같네요.1편과 2편 보는 내내 많이 찔리고 반성됐습니다. 진심으로 고맙습니다

    • @daegizatv
      @daegizatv  Před 3 lety

      도움되셨다니 기쁘네요. 감사합니다^^

  • @kjy985
    @kjy985 Před 3 lety +18

    편집장님 진행 및 질문 능력은 뛰어나셔요
    최고최고!!^^오늘도 좋은 강의 듣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daegizatv
      @daegizatv  Před 3 lety

      과찬이세요. 더 노력하겠습니다^^

  • @user-rv7iw5bw8z
    @user-rv7iw5bw8z Před rokem +4

    맘에 확 와닿는 영상이었어요...감사드립니다~ 근데 저희 아이는 인스타그램과 유투브 카톡 등 또래의 일상을 서로 공유하고 수시로 대화하느라 그거 보고 놓치기싫어서 공부할때나, 심지어 밥 먹을 때는 물론 화장실 갈 때, 양치 세수, 샤워할때, 옷 갈아입을때조차 핸펀을 손에 뜨끈뜨끈해질때까지 가지고 있지 않으면 불안해하고 분노하고 저는 그거 중독될까봐 통제하며 싸우고 소리지르고 저랑 매일 매일 지옥같은 생활을 하고 있는데요... 공부할 때, 숙제할 때도 핸펀을 빼앗기거나 통제당하면 불안감과 분노로 아무것도 못 해서 그냥 어쩔수없이 손에 쥐여주고 있습니다만 이미 심각한 중독상태인 듯 하여 너무 불안하고 힘듭니다. 게다가 원래 지능도 높던애가 이제 수학 문제 문장을 이해를 못 해서 아예 손도 못 댈만큼 난독증 내지는 지능저하를 보이고 있고 빠른 스마트폰 영상에 빠져서 책보는것을 싫어하고 뭐든 생각하기를 싫어하는 지경에 이르렀네요...아이는 올해 중1이 되면서 이런 증상이 더 심해졌고 5학년 때 스마트폰 접하고 매일매일 유투브와 카톡 하다 이지경 까지 온 것 같아요...다음 번 영상에는 이런 주제로 고민과 조언 다루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user-jw5kg6te2x
    @user-jw5kg6te2x Před 3 lety +3

    우와 정말 감사합니다 ^^

  • @Challenge2025
    @Challenge2025 Před 3 lety +3

    정말 많은 도움이 되는 영상입니다. 게임에 대해 부정적인 생각이 많아서 통제하려고만 했는데 많이 깨닫는 시간이 되었네요. 항상 응원합니다.

    • @daegizatv
      @daegizatv  Před 3 lety +1

      도움되셨다니 기쁘네요. 감사합니다^^

  • @user-nq1uy5jh2r
    @user-nq1uy5jh2r Před 3 lety +4

    영상 정말 많이 도움되었습니다.제 자신 다시 돌아보고 한번더참고 생각하는 엄마가 되야겠네요.감사합니다.

    • @daegizatv
      @daegizatv  Před 3 lety

      도움되셨다니 기쁘네요. 감사합니다~^^

  • @user-xg1rx2tf4j
    @user-xg1rx2tf4j Před 3 lety +14

    어려운 과학적 내용을 쉽게 이해하도록
    설명해주시는 교수님 감사해요.^^♡
    정서ㆍ동기ㆍ애착형성ㆍ상호작용을 어떻게 지혜롭게 접근할지가 우리가 고민할 다음 스텝일거 같네요. 🙇‍♀️👍💖💖💖🙏

  • @user-hj2zs4nx8r
    @user-hj2zs4nx8r Před 2 lety +8

    강의 너무나 도움이 많이 됩니다.
    질문) 소수 신경발달에 문제가 있다는것은 어떤 증상과 행동으로 나타날수 있는걸까요?
    검사가 필요한건가요?

  • @20130111
    @20130111 Před 3 lety +9

    자기주도성 잃어버리면 다시 찾아주기 진심 힘들어요ㅠㅠ 아이가 도전을 해서 성취 할 수 있게 도와주세요. 한자 8급 급수 시험 진짜 쉬워요~

  • @user-ut9me4zb7t
    @user-ut9me4zb7t Před 2 lety +2

    1:1상담을 한 것 처럼 마음이 시원해지네요 특히 희망의 메세지가 힘을 주어요
    좋은 컨텐츠를 만들어주신 교육대기자tv와 교수님 감사드립니다.

    • @daegizatv
      @daegizatv  Před 2 lety

      감사합니다^^앞으로도 함께 해주세요

  • @user-lj3pu5rv8g
    @user-lj3pu5rv8g Před 3 lety +15

    지금껏 봤던 전문가들 중 게임에 관하여 가장 현실적이고 정확한 말씀 해주신 것 같습니다.

  • @user-od4et2nd5v
    @user-od4et2nd5v Před 3 lety +2

    감사합니다
    도움이 많이 됐습니다.

  • @user-sv8uv9he5q
    @user-sv8uv9he5q Před 3 lety +3

    교수님 강의나 말씀들은 유투브통해서 많이 듣고 도움을 받았었는데 대기자티비 통해서 듣게되니 더 좋았습니다.
    부모시선에서 궁금한 것들을 질문해주셔서 많은도움 받고갑니다..

    • @daegizatv
      @daegizatv  Před 3 lety

      도움되셨다니 기쁘네요. 더 노력하겠습니다^^

  • @sung2022.3
    @sung2022.3 Před 3 lety +3

    엄마인 제가 좀더 유연해져야겠습니다
    말씀 감사합니다

  • @lilyholy1360
    @lilyholy1360 Před 3 lety +11

    평소에 늘 시청했는데 이번편은 정말 도움 많이 되었고 너무나 감사드려 댓글 남깁니다. 교수님말씀에 뭔가 아이들에 대한 깊은 애정이 느껴져 큰 울림이 되는 것 같아요. 큰 힘이 되었습니다. 두세번 곱씹어야 될 좋은 내용같습니다~~♡

    • @daegizatv
      @daegizatv  Před 3 lety +1

      도움되셨다니 기쁘네요. 감사합니다^^

  • @jjaggoong
    @jjaggoong Před 3 lety +6

    1,2편 모두 도움되는 말씀 새겨 듣겠습니다~뭣보다 김 교수님의 나긋나긋한 목소리에 힘든 시기 겪고 있는 사춘기 자녀를 둔 부모 입장에서 안정감이 느껴지며 마음이 차분해집니다^^

  • @haeyeonlee2248
    @haeyeonlee2248 Před 3 lety +19

    불안보다은 호기심이라는 말 정말 와닿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uf2qg2hs6i
    @user-uf2qg2hs6i Před 3 lety +5

    게임 조절이라..쉽지않은 주제네요 ㅎ 조언 참고하겠습니다

  • @user-jr3wb5zp1g
    @user-jr3wb5zp1g Před 3 lety +2

    너무나 도움이 되는 영상이였어요♡ 감사합니다.

    • @daegizatv
      @daegizatv  Před 3 lety

      도움되셨다니 기쁘네요. 감사합니다^^

  • @user-mh8dn5xo2m
    @user-mh8dn5xo2m Před 3 lety +23

    1부에 이어서 희망적인 메시지를 주셔서 감사합니다. 게임을 좀더 편히 보라는 말씀 새길게요~!!! 영상 보고 교수님 팬됐어요 ㅋㅋㅋㅋㅋㅋ

  • @user-gi8lu2sc6z
    @user-gi8lu2sc6z Před 3 lety +32

    이런 교육은 매일 10분씩이라도 듷어야 할 것 같아요. 부모들도 시간이 지나면 ...잊어버려요.^^;;;;

  • @sweetallier
    @sweetallier Před 3 lety +1

    정말 요즘 올라오는 영상들 모두 금쪽같이 소중한 영상들이네요~~~!!!
    질문과 대답이 모두 너무너무 도움되는 내용이라서 모든 사람들이 다 봤음 좋겠어요~~ㅎㅎ

    • @daegizatv
      @daegizatv  Před 3 lety

      고맙습니다. 주변 학부모님께 많은 공유 부탁드려요~^^

  • @aileenribbon
    @aileenribbon Před 7 měsíci +1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 아들이 이제 사춘기니 내용이 쏙쏙 들어오네요 ~

  • @user-nc4fb2hb9f
    @user-nc4fb2hb9f Před 3 lety +2

    선생님. 석사 과정 때 세브란스에서 연구원 할 때 회의에서 뵈었던 기억에 반갑게 찾아 왔습니다.

  • @user-yb6wn7dk6k
    @user-yb6wn7dk6k Před 5 měsíci +1

    정말 좋은 강의입니다.
    무었이 정상인지 알게 되었습니다.
    제가 아이에 대해서, 욕심내고 조급해하는 점을 해결수 있었습니다.

  • @user-xf4jy3nt7l
    @user-xf4jy3nt7l Před 3 lety +5

    2부 기다렸습니다. 선댓글 후시청할게요~^^

  • @user-zh7uu5yy2b
    @user-zh7uu5yy2b Před 3 lety +6

    교수님 말씀 한마디한마디가 믿음이 갑니다~ 역쉬 서울대병원 교수님이라 다르신듯요

  • @user-ri8es6mu8o
    @user-ri8es6mu8o Před 3 lety +3

    코로나 때문에 스트레스를 풀려고 게임을 한다고 하는데 게임하는걸 걱정하는게 아니라 아이들이 통제, 절제,가 안되니까 갈등이 있네요 교수님 말씀처럼 편하게 생각하고 정서가 중요한만큼 믿어줘야겠어요 조금은 영상이 짧아 매번 아쉽지만 도움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daegizatv
      @daegizatv  Před 3 lety

      도움되셨다니 기쁘네요. 감사합니다^^

  • @sookhyoungim9405
    @sookhyoungim9405 Před 3 lety +30

    90%정도는 중독에 빠지지 않는다니 위로가 됩니다.. 💕

    • @user-hn1nx9ek8x
      @user-hn1nx9ek8x Před 3 lety +7

      그 나머지 10%가 내 아이일것만 같아요 ㅠ

    • @kksyou33
      @kksyou33 Před rokem +1

      @@user-hn1nx9ek8x 제아이도 10프로 ㅠㅠ 이네요.

  • @user-xl1vi2hq3r
    @user-xl1vi2hq3r Před 3 lety +21

    초등5학년때 피씨방을 가고싶어해서 같이 가서 게임했습니다. 한달에 한두번 아빠랑 가기도 하고 엄마랑 가기도 하고.. 중1되면서 온라인수업 때문에 데스크탑PC를 샀습니다 어느정도 정해진 게임시간 지키며 잘하다 롤 이라는 게임을 하면서부터 분노조절을 못하고 있습니다.
    알람시계를 던져 방창문도 깨졌고 벽도 금가고
    폰 액정도 깨지고... 심해서 일주일 PC를 못하게 했을땐 잘따라주고 다시 하게 되면서 스스로 조절한다고 하더라구요
    근데 잠깐이였네요.. 정해진 게임시간 이후에는 안하지만
    하는동안 이런 폭력성은 어찌해야 하나요.
    방밖에서 들리는 소리에 가슴이 두근거립니다. 어긋날까 심하게 혼내지도 못하겠고..

    • @heejoungjoung803
      @heejoungjoung803 Před měsícem

      부모가 같이 게임하는게 좋지않다고 봤네요..ㅜㅜ

  • @user-mw4yo5tr8s
    @user-mw4yo5tr8s Před 2 lety +1

    교수님 감사합니다

  • @jhk5441
    @jhk5441 Před rokem +4

    그래서 스스로 통제시켰더니..ㅠㅠ 하루에 주말 열시간하네요

  • @user-uh1uv5hp6k
    @user-uh1uv5hp6k Před 3 lety +30

    게임에 빠지지 않게 하려면, 실패 경험을 좀 덜하게 해야겠네요. 게임을 통해 보상이나 성취감을 느끼니까요.. 청소년시기에 거기서 보상을 느낀다는 현실이 좀 씁쓸하네요.

  • @sjj4081
    @sjj4081 Před 3 lety +175

    이 방법 저 방법 다 해봤지만 아이는 8시간을 해도 스스로 그만두고 일어나진 않더라구요 ㅜ

    • @alec7790
      @alec7790 Před 3 lety +17

      8시간으론 부족했나봅니다 ㅠㅠ 한번쯤 실컷 48시간? 하고 나면 좀 나아질까요? 힘내세용 🤗

    • @ksm7224
      @ksm7224 Před 3 lety +21

      긍정적으로 보면 엉덩이 힘이 대단한 친구에요~ 공부는 결국 엉덩이 힘이 필요하죠^^ 자녀분 몰입도가 굉장합니다👍
      불안한 마음 크시겠지만 믿고 기다려주세요~
      교수님 말씀"우리 아이가 어떻게 달라질까!?" 기대하며 믿어준 만큼 성장합니다~~~

    • @maria-mx7er
      @maria-mx7er Před 2 lety +15

      처음 습관 드릴때 칼같이 통제하는 방법을 가르쳐야 스스로 일어나게됩니다

    • @seekfaith35
      @seekfaith35 Před 2 lety +2

      ㅜㅜ

    • @user-zr9vl7sz1j
      @user-zr9vl7sz1j Před rokem +7

      저는 학년별로 거의 1년가까이 암시를 줬습니다. 지금은 코로나니까 게임하고 내년부턴 5학년이니까 코로나라도 주중에는 게임.미디어 안돼. 5학년 되니 주중에는 게임.미디어 안하고 주말에 실컷하고 지금은 6학년땐 공부를 폭발적으로 해야하니 주말에도 게임을 마음대로 못해 오전 오후 시간 정해서 해야해 하고 1년째 다짐받고 있고 본인도 6학년때부터는 공부해야한다고 생각하더라고요 사촌형들이 고등학생들인데 모두 게임하다가도 공부를 열심히 하는 모습을 보고 긍정적으로 생각하더라고요~~

  • @Khy8653
    @Khy8653 Před 2 lety +12

    게임 만 하면 신경이 날카로와지고 애가 딴 사람같아요 중2 인데 내자식이 맞나 할 정도로 싸가지가없어요 게임 끝나면 언제그랬냐는듯 또 친절해지고요 이젠 포기하고 지가알아서 한다 하니 별 얘기안하는데 너무 열받고 욕도나오고 때리기도해보고 소용이없네요 모니터 를 제가벌써 3개나 부셨네요 뭔 짓인지 ,, 그러다 또 사주고 미친 막내다 보니 해 달라는거 다 해줬더니 싸가지가 없어진건지 내가 잘못 키운거고 큰애랑 너무 틀려요 걱정입니다 보통 문제가 아닙니다

    • @An-bsb
      @An-bsb Před 7 měsíci +3

      우리 아들도 그럽니다.전 부신적은 없는데 신랑이 부심.그래서 아빠랑 말을 안합니다.저한테도 막말 하길래 선넘는 말은 하는거 아니라고 하고 말은 필요한 말만해요.막말할땐 내 자식인데도 꼴도보기 싫습니다.첨엔 충격 받아서 눈물이 막 났네요.첫째 딸은 그냥 틱틱 거리는 정도인데 아들은 진짜 반항이 ㅠ 너무 힘드네요.

  • @user-tr1ps7eh4l
    @user-tr1ps7eh4l Před 3 lety +5

    휴대폰을 시간개념없이 마냥 해서 휴대폰을 압수하기도 하고 던지기도 했었는데 지금 생각해보면 다 부질없는 행동이었더라구요ㆍ반성합니다

  • @jessica020bb5
    @jessica020bb5 Před 3 lety +7

    남자아이 키우면 게임이 중요한 문제인데 이런 인터뷰는 정말 도움 됩니다 세브란스 천근아 교수님 인터뷰도 보고 싶어요.

    • @daegizatv
      @daegizatv  Před 3 lety +3

      소중한 의견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eu8pg4vp4c
    @user-eu8pg4vp4c Před 2 měsíci +1

    너무 마음이 편해져요

  • @user-di6dt7jj6h
    @user-di6dt7jj6h Před 3 lety +25

    유명한 분을 이리 뵐 수 있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세상이네요

  • @user-ll9qs8fj5v
    @user-ll9qs8fj5v Před 3 lety +13

    게임자체보다 콘텐츠 성격이 문제인데 대부분 찔러 죽이고 쏴 죽이는 폭력적인 것은 정신건강에 안 좋겠죠? 실제로 게임 하다가 게임 상대방과 현피 떠서 살해한 사건도 있었죠

  • @user-oz1jc7tx5r
    @user-oz1jc7tx5r Před 3 lety +5

    매일 몇시간씩 하는게 중독 아닐까요 게임하기위해 공부하고 코로나로 집에있는시간이 길어지니 여유시간이 너무많아요ㅜ

  • @user-ph9nj5tc8d
    @user-ph9nj5tc8d Před 3 lety +6

    정말 교수님말씀 공감합니다~
    아들이랑 대화하려고 신랑이랑 같이 게임깔아서 했더니 너무 좋아하더라구요
    게임할땐 말도 될수있음 걸지 않았구요...
    지금 애들의 게임이 저희어릴때 밖에나가 뛰어노는거랑 같다는 어느전문가 말씀듣고 너무 통제하지 않고 시간약속만 지키게 했습니다 몇달지나니 아이가 수다쟁이가 되었어요 밥먹을땐 시끄러울 정도랍니다
    진작 교수님을 알았다면 좀 덜 힘들었을텐데
    이젠 딸아이가 신경쓰일 나이라 영상보며 다시 공부해야겠어요 좋은영상감사합니다

  • @user-we9zf3hu4r
    @user-we9zf3hu4r Před rokem +2

    우리집에 씨씨티비 보고 연구하신줄… 선생님 인간으로 만드는 과정이 험난하네요

  • @soon4617
    @soon4617 Před 2 lety +6

    중1부터 게임을 시작해서 지금까지도 게임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어요 ㅠㅠ
    지금은 고1입니다 집에만 있으려 하고 학교와 학원 이외의 곳은 안가려합니다 오로지 집에서 게임만 하려고 하는데 정말 속상합니다
    오랜기간 게임에 빠져 있으니 어휘력도 떨어지고 생각하는것도 너무 떨어져서 초등학생과 대화하는 기분을 자주느낌니다. 언제까지 기다려야 할까요 …

  • @leah-di3gp
    @leah-di3gp Před 3 lety +2

    게임은 문화다 걱정보다는 이해가 도움이 됩니다

  • @user-fk2fq2dq1x
    @user-fk2fq2dq1x Před 3 lety +9

    역시 질문이 시원시원합니다. 대기자티비 응원할게요~ㅎㅎㅎ

    • @daegizatv
      @daegizatv  Před 3 lety +1

      감사합니다. 더 노력하겠습니다^^

  • @jonsnowchannel89
    @jonsnowchannel89 Před 3 lety +5

    아이 입장에서 보면 부모가 자신의 행동을 제한하는 것을, 예를 들면 게임을 제한하는 것 등, 자신이 하고 싶은 것을 방해한다고 인지하게 됩니다. 그래서 더욱 방어적이게 되죠.
    사실 부모 입장에서는 아이가 좀 더 나은 행동을 많이 해서 아이가 더 발전하기를 바라는 마음이었을 뿐인데 말이죠. 이런 갈등이 반복되면 "자녀를 위한 본질적 의도"는 희석되고 오로지 자녀 입장에서 "내가 하고 싶은 걸 쟁취"하기 위한 투쟁으로 변질되게 됩니다.
    그래서 이렇게 하면 효과가 있는 것 같습니다.
    부모가 자녀의 행동을 간섭하기 이전에 자녀를 향한 부모의 행동의 목적을 말해 주는 거죠.
    예를 들면 "지금 내가 하는 말은 너에게 도움이 되는 것이 무엇인지를 찾아보려는 의도야"라고 전제조건을 깔아둔 다음에 게임을 너무 많이 하는 것은 아닌지 혹은 스스로 게임 하는 시간을 조절하고 다른 활동을 찾아볼 생각은 없는지 등등에 대하여 오픈 마인드로 이야기 하면 자녀들도 부모의 마음을 이해하고 나름대로 노력하려고 할 것입니다.
    우선 부모가 자녀가 하는 행동에 관심을 가지고 자녀의 행동도 나름 의미 있다는 것을 인정해 주어야 합니다. 사람은 누구나 인정을 받으면 마음이 열리게 되지요.
    물론 처음부터 자녀가 부모의 마음에 들도록 행동하지는 않죠.
    그래도 꾸준히 오픈 마인드로 자녀를 대하게 되면, 자녀도 이해하고 스스로 자신의 행동에 대하여 생각하기 시작할 것입니다.

  • @user-dz4ob2ps1i
    @user-dz4ob2ps1i Před 3 lety +22

    게임을 계속 하는 우리 아이가 대다수가 아닌 10% 부류에 속하면 어쩌지요? 관찰하다가 상담을 받아야 하는건가요? ㅠㅠ 그렇지 않기를 바래봅니다.

  • @user-ws1hz3go3b
    @user-ws1hz3go3b Před 3 lety +16

    질문이 늘 너무 좋습니다. 따로 대본이 있나요? 교수님 말씀 실천할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잊지 않으려 노력하겠습니다~

    • @daegizatv
      @daegizatv  Před 3 lety +5

      대본은 전혀 없고요. 질문지도 거의 만들지않고 즉석에서 질문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bluedelphinium4368
      @bluedelphinium4368 Před 3 lety +2

      @@daegizatv 그런 거면 정말 놀라운 능력이십니다!

  • @closure06
    @closure06 Před 3 lety +3

    풀버전 영상 간절히 부탁드려요.
    좋은 내용 많은데 넘 짧아요

  • @user-jv4dm3ml4c
    @user-jv4dm3ml4c Před 3 lety +2

    저도 유트브중 질문의 질이 너무 좋아서 놀랐습니다.
    구독 누르고 갑니다~~좋은정보 감사합니다

  • @user-xo5ef3pj2c
    @user-xo5ef3pj2c Před 3 lety +2

    정서와동기.부모의역할을 못하고있네요ㅠ
    애착과 적절한자기통제.여려워요ㅠ
    수용.경청.공감.ㅠ사춘기아이와 거의 매일싸우느라 바빠서 이 세가지를ㅠ
    밸런스맞추기! 게임은 기본적으로 문화!
    강한통제자제! 게임콘텐츠관리!
    호기심과기대를갖자!
    중요한말씀들 적으면서 잘 봤습니다!^^ 교수님의 완전 좋은말씀 감사드리고! 좋은질문들 진짜 감사감사합니다!^^

    • @daegizatv
      @daegizatv  Před 3 lety +1

      도움되셨다니 기쁘네요. 감사합니다^^

  • @nnshin786
    @nnshin786 Před 3 lety +2

    공감합니다

  • @user-qz8pt4yi7u
    @user-qz8pt4yi7u Před 3 lety +2

    아이가 신경발달적 어려움이 있는지, 또는 좌절과 실패경험이 많은 편인지...알아보는 지혜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저는 제가 게임회사를 다녔던 사람이고 나중에 아이가 아빠랑 같이 자연스럽게 게임을 시작해서 같이 즐기기를 바라고 있었어요. 하지만 아이를 키우면서 얘는 그러면 안 될 것같다는 느낌을 받았어요. 말하고 노는 것 보면 멀쩡해보여서 주변에서도 애 똑똑한데 무슨 걱정이냐고 했었죠.
    하지만 기관에서 선생님과 트러블이 잦고 일상생활의 루틴을 만들기 어렵고 지시를 따르지 않고 줄 하나 그어놓고도 자기 스스로 잘못한 거라고 말하고 그네나 자전거를 타지 못하고 읽기와 쓰기가 느렸던 제 아이는, 지금은 감각통합훈련을 받고 있습니다. 주의력과 신체 협응의 어려움 때문에 아이의 여러 능력 간의 편차가 커서 자기 스스로 가지는 성취하고 싶은 기대와 현실의 간극도 넓답니다. 사소한 일에서부터 실패와 지적받기 경험이 많았기에 힘든 마음 달래주려 놀이치료도 병행하고 있고요.
    이제라도 티비는 가족이 함께 일주일에 한 두번 가장 좋아하는 프로그램만 보고 있고, 게임은 주 1회 1시간 반 할 수 있게 했지만 한 주간의 루틴을 잘 수행한 후라면 1시간 늘려서 할 수 있도록 허용해주고 있어요. 조금씩 매일 하는 것이 중독되기 더 쉽다고 해서요.
    언젠가 아이가 조금 하기 싫은 일과 복잡한 생각도 해보려하고 또 그럴 능력이 생겼을 때, 게임에 흠뻑 빠지게 해줘보고도 싶지만...그럴 수 있을지 언제가 될 지 잘 모르겠습니다.
    저의 경우엔 이런 아이에게 스스로 게임을 주도성을 갖고 해보도록 바톤터치 해줄 때가 언제냐 하는 것이 걱정 반 기대 반으로 기다리는 일인 듯 합니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user-qb2ww9cr1x
    @user-qb2ww9cr1x Před 3 lety +29

    게임을 가까이 하면 책과 멀어져요~

  • @user-nb4ro2ow8c
    @user-nb4ro2ow8c Před 3 lety +10

    1부에 이어 2부
    좋은 콘텐츠 감사합니다
    초등부터 고등까지 12년 동안
    게임으로 고민하는 부모님이
    많을 겁니다
    이런 유혹들을 잘 버티고
    넘겨야 황금기를 맞을 수
    있다고 생각되네요
    초5 초1 아들둘 지금도
    힘들게 키우고 있는데
    오늘 말씀 새기고 실천하도록
    하겠습니다

    • @daegizatv
      @daegizatv  Před 3 lety +1

      도움되셨다니 기쁘네요. 감사합니다^^

  • @user-wq8dc3ek1q
    @user-wq8dc3ek1q Před 3 lety +7

    게임말고 다른건 재미 없어서 게임에 열중하는거 같아요.. 게임을 조금조금씩 할때는 같은 공통사 대화하려고 같이 게임얘기도 하고 그랬었는데.. 점점 게임시간이 길어지는거 같아서, 게임얘기는 일체 안들어주고,대신 주말마다 놀러다니고 같이 영화보고 친구랑 어떻게 노는지 .. 요즘 뭐가 유행이니 이런거 대화하다보니, 저절로 엄마와 놀고 싶어서 게임은 안하더라구요.. 그리고 게임 계속하면 재밌긴한데 끝나고나면 피곤하고 지루하대요... 교수님 말씀이 다 맞으시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