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 앞에 짓는게 맞아요?"..난리난 구청 게시판 [뉴스.zip/MBC뉴스]

Sdílet
Vložit
  • čas přidán 16. 06. 2024
  • 00:00 [바로간다] 내 집 앞에 GTX 변전소가? 주민 반발에‥국토부 "수혜지에 건설" (2024.05.22/뉴스데스크/MBC)
    03:01 [집중취재M] GTX가 뭐길래‥가족공원 특고압 변전소에 '주민 반발' (2024.01.16/뉴스데스크/MBC)
    #GTX #변전소 #국토부
    ⓒ MBC & 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금지

Komentáře • 3,2K

  • @user-ho8wc4ve9n
    @user-ho8wc4ve9n Před 22 dny +2556

    GTX는 집 앞으로 다녀야되지만...
    변전소는 내 집 앞에는 안된다.. 참으로 웃긴다...

    • @user-ie6yr5ge3h
      @user-ie6yr5ge3h Před 22 dny +144

      ​@@user-ti8mc1we6p 그럼GTX 노선을 바꾸면 되겠네. 한 세불럭 떨어진데로 옮기면 될듯. 집값은 반값으로 떨어질걸.. ㅋㅋㅋ

    • @user-ie6yr5ge3h
      @user-ie6yr5ge3h Před 22 dny +81

      ​@@user-ti8mc1we6p 아님 GTX 노선 취소하던가.

    • @user-ti8mc1we6p
      @user-ti8mc1we6p Před 22 dny +8

      @@user-ie6yr5ge3h ㅋㅋㅋㅋ 떨어지건 말건 뭔 상관 내가 사는 곳도 아닌데 ㅋㅋㅋㅋ

    • @user-qp2ef4zf9q
      @user-qp2ef4zf9q Před 22 dny

      ​@@user-ti8mc1we6p 댓글마다 시비 처 걸고다니네 정치병 걸린애가 ㅋㅋ

    • @user-om8pp4py2e
      @user-om8pp4py2e Před 22 dny +1

      @@user-ti8mc1we6p 니의견 신경쓰는게 내알빠임? 조용하 ㅋㅋㅋ

  • @ryanlee7261
    @ryanlee7261 Před 22 dny +572

    변전소 위험하니까 철회하고 GTX도 다 취소시켜라. 그럼 공평하지? 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vy8zy7to6x
      @user-vy8zy7to6x Před 21 dnem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서는 최소 3mG 이상의 전자기장에 24시간 노출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의 발병 확률이 최소 2배 이상 높아질 수 있습니다. 성인은 면역체계가 발달해 있지만, 어린 아이들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154,000V 고압변전소가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 건설된 사례가 없으며, 환경영향평가에서도 이에 대한 시뮬레이션이나 고압 송전선로에 대한 내용이 부족합니다. 또한 주민들에게 충분한 공청회나 설명회도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일반적으로 핸드폰이나 가정용 전기기기는 220V를 사용하지만, 154,000V 고압변전소는 이의 700배에 달하는 전압을 다룹니다. 최근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에 관한 역학조사 논문들이 계속 발표되고 있어 주민들이 반대하는 이유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GTX 청량리역의 고압변전소 설치를 막을 수 없다면 청량리역 GTX 정차는 취소되는 것이 맞습니다.

    • @foliinorderbfs11
      @foliinorderbfs11 Před 21 dnem +3

      사실 청량리보다 상봉이 더 지리적 요지.

    • @cm-rp2ot
      @cm-rp2ot Před 21 dnem

      그건죽어도 반대ㅋㅋㅋㅋㅋ역겨운이중성

    • @user-lm5bw8gf6c
      @user-lm5bw8gf6c Před 21 dnem +4

      노선 변경 추천!

    • @deokwonyang3976
      @deokwonyang3976 Před 20 dny +3

      이게맞지

  • @Now_WeAre
    @Now_WeAre Před 21 dnem +145

    변전소를 지을 수 없어 GTX-B는 전면 취소합니다.
    추가로 전자파로 부터 주민을 보호하기 위하여 아파트 단지에 전력 공급을 제한 합니다.

    • @user-xu8sk2nt9m
      @user-xu8sk2nt9m Před 21 dnem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서는 최소 3mG 이상의 전자기장에 24시간 노출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의 발병 확률이 최소 2배 이상 높아질 수 있습니다. 성인은 면역체계가 발달해 있지만, 어린 아이들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154,000V 고압변전소가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 건설된 사례가 없으며, 환경영향평가에서도 이에 대한 시뮬레이션이나 고압 송전선로에 대한 내용이 부족합니다. 또한 주민들에게 충분한 공청회나 설명회도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일반적으로 핸드폰이나 가정용 전기기기는 220V를 사용하지만, 154,000V 고압변전소는 이의 700배에 달하는 전압을 다룹니다. 최근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에 관한 역학조사 논문들이 계속 발표되고 있어 주민들이 반대하는 이유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GTX 청량리역의 고압변전소 설치를 막을 수 없다면 청량리역 GTX 정차는 취소되는 것이 맞습니다.
      추가적으로, 154kV 고압변전소를 지하에 설치해도 극저주파의 차폐효과는 미미합니다. 지하 설치는 전자기장의 영향을 완전히 차단할 수 없기 때문에, 어린이들의 건강에 대한 위험은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고압변전소의 설치는 더욱 신중하게 검토되어야 하며,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대안이 마련되지 않는 한, 설치를 강행하는 것은 부적절합니다.
      --------------------------------ChatGPT 답변 내용----------------------------------------
      ChatGPT보다 무식한대 아는 척 좀 하지 말자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sc3fu5wy5z
    @user-sc3fu5wy5z Před 22 dny +174

    GTX로 집값 올랐으면
    거기에 따른 변전소도 니덜이
    떠 앉아야지..사탕은 니덜이 처묵었으면
    거기에 따른 쓰레기는 니덜이 떠 안아야지..
    그쟈?

    • @KkF-yk4qz
      @KkF-yk4qz Před 21 dnem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서는 최소 3mG 이상의 전자기장에 24시간 노출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의 발병 확률이 최소 2배 이상 높아질 수 있습니다. 성인은 면역체계가 발달해 있지만, 어린 아이들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154,000V 고압변전소가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 건설된 사례가 없으며, 환경영향평가에서도 이에 대한 시뮬레이션이나 고압 송전선로에 대한 내용이 부족합니다. 또한 주민들에게 충분한 공청회나 설명회도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일반적으로 핸드폰이나 가정용 전기기기는 220V를 사용하지만, 154,000V 고압변전소는 이의 700배에 달하는 전압을 다룹니다. 최근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에 관한 역학조사 논문들이 계속 발표되고 있어 주민들이 반대하는 이유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GTX 청량리역의 고압변전소 설치를 막을 수 없다면 청량리역 GTX 정차는 취소되는 것이 맞습니다.

    • @musicstart6977
      @musicstart6977 Před 20 dny +1

      ㄹㅇ gtx 없애는게 안전할듯 ㅋㅋ

  • @Zzz-mi8kk
    @Zzz-mi8kk Před 22 dny +1409

    그럼 변전소 사무실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뭐가 되냐?

    • @mirimiz0_o
      @mirimiz0_o Před 22 dny +38

      내말이

    • @user-fz7hq2kv4t
      @user-fz7hq2kv4t Před 22 dny +25

      한강에 원자력발전소 지으면 인정..

    • @jhero7264
      @jhero7264 Před 22 dny +21

      일하는 사람이 있으면 해롭지 않다는 기준인거냐? 모지린가? 화생방훈련 하면 독가스가 해롭지 않다는건가? 화학공장에서 일하는 사람이 있으니 화학가스가 해롭지 않다는거냐? 개그지같은 논리를 다보네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wj7mi3ee9x
      @user-wj7mi3ee9x Před 22 dny +11

      일하는 거랑 집이랑 어떻게 비교하냐? 니 애기가 전자파 받는다고 생각해봐

    • @investorkorea
      @investorkorea Před 22 dny +1

      @@user-fz7hq2kv4t 한강에 원자력 발전소가 필요하냐?
      장소 자체가 바닷가도 아니고 모지리인증하네

  • @yenu_iz2789
    @yenu_iz2789 Před 22 dny +782

    전력공학 전공자인데.. 참 어질어질하네요. 지하에 묻는건데 뭔 전자파 같은 이상한 소리를 주워듣고 와서 우기는지... 반대를 하려면 정확하게 알고 하세요..

    • @got_man
      @got_man Před 22 dny +46

      ㄹㅇ 전기공급하는건데 참ㅋㅋㅋㅋㅋ어이가 없어서 웃음밖에 안나오넼ㅋㅋㅋ

    • @user-mv8ph3xs8v
      @user-mv8ph3xs8v Před 22 dny +79

      ㅋㅋㅋ핸드폰은 어케 들고 다니시는지 궁금하네 ㅋㅋㅋ 전자파 때문에 ㅋㅋ

    • @user-tg1tz4hb6f
      @user-tg1tz4hb6f Před 22 dny +37

      억지핑계대면서 돈달라는거임 어휴 ㅋㅋ

    • @mj-tm2bi
      @mj-tm2bi Před 22 dny +47

      인터뷰 하는 것만 봐도 뭘 알아보려는 의지조차 없잖음 ㅋㅋㅋ 그냥 이름만 보고 아묻따 반대하는거 ㅋㅋㅋ

    • @khackers
      @khackers Před 22 dny

      ​@@got_man 전자파 차단실 붙이고 티비에는 동전 올린다고ㅋㅋㅋ

  • @parcequekr
    @parcequekr Před 21 dnem +77

    철도운행으로 아파트값 오르는 건 좋지만 변전소는 싫다고?

  • @user-qb7ld7xs5u
    @user-qb7ld7xs5u Před 21 dnem +62

    오로지 지들집값떨어질까 불안
    편한건 다누리고싶고 보기싫은건 무작정반대만 하고 쌍판때기 확날려버리고싶다

    • @user-xu8sk2nt9m
      @user-xu8sk2nt9m Před 21 dnem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서는 최소 3mG 이상의 전자기장에 24시간 노출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의 발병 확률이 최소 2배 이상 높아질 수 있습니다. 성인은 면역체계가 발달해 있지만, 어린 아이들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154,000V 고압변전소가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 건설된 사례가 없으며, 환경영향평가에서도 이에 대한 시뮬레이션이나 고압 송전선로에 대한 내용이 부족합니다. 또한 주민들에게 충분한 공청회나 설명회도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일반적으로 핸드폰이나 가정용 전기기기는 220V를 사용하지만, 154,000V 고압변전소는 이의 700배에 달하는 전압을 다룹니다. 최근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에 관한 역학조사 논문들이 계속 발표되고 있어 주민들이 반대하는 이유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GTX 청량리역의 고압변전소 설치를 막을 수 없다면 청량리역 GTX 정차는 취소되는 것이 맞습니다.
      추가적으로, 154kV 고압변전소를 지하에 설치해도 극저주파의 차폐효과는 미미합니다. 지하 설치는 전자기장의 영향을 완전히 차단할 수 없기 때문에, 어린이들의 건강에 대한 위험은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고압변전소의 설치는 더욱 신중하게 검토되어야 하며,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대안이 마련되지 않는 한, 설치를 강행하는 것은 부적절합니다.
      ----------------------------------ChatGPT 답변 내용------------------------------------------
      ChatGPT보다 무식한대 아는 척 좀 하지 말자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id9kz5gr9s
      @user-id9kz5gr9s Před 21 dnem +2

      @@user-xu8sk2nt9m 그럼 어디에 설치 ??? 다른곳은 이사단 안날까요?? 해택 많은곳에 설치 원칙이라 이잖아요

    • @user-xu8sk2nt9m
      @user-xu8sk2nt9m Před 21 dnem

      @@user-id9kz5gr9s 최소 80미터는 떨어진 곳이어야지 아니면 저 위치에서 어린이집 80M는 보장해 주던가 애들 가지고 생체 실험 하냐 임상 실험하고 메타 분석 데이터가 다 있는데

  • @user-hj9mt2pd2l
    @user-hj9mt2pd2l Před 22 dny +948

    ㅋㅋㅋ변전소 근무 중인대 ㅋㅋㅋ 장난하냐 왜 아파트값 떨어진다고???니네들 전기 다 끈어라 촛불키고 살아라

    • @jhero7264
      @jhero7264 Před 22 dny +1

      그럼 전자제품 출시할때 전자파 제한 검사는 왜 하냐? 아무 피해가 없는데 왜 하냐? 응???? 응??? 응???

    • @tedk6524
      @tedk6524 Před 22 dny +1

      여기 바보 또있네? 당신이 책임질껴?

    • @Saruman0099
      @Saruman0099 Před 22 dny

      @@jhero7264 그럼 변전소 한전 발전소 근무하는 사람은 정년 못채우고 다 뒤짐?? 말이 되는 소리를 해라 목 위로 장식으로 쳐 달고 다니지 말고

    • @user-pk6ir5xh8l
      @user-pk6ir5xh8l Před 22 dny +15

      ​@@jhero7264 전자파 차단 스티커 붙이면 되잖슴~~~

    • @FenPolice
      @FenPolice Před 22 dny

      ​@@jhero7264 혹시 너 낳으실 때 검사... 아니다 그렇게 평생 살아라

  • @user-wt9bl3gd1j
    @user-wt9bl3gd1j Před 22 dny +204

    그냥 깔끔하게 변전소 지어도 된다는 지역으로 노선변경하면됨. 거절하는곳은 혜택도 누리면 안되지

  • @user-cl2ic6yr3d
    @user-cl2ic6yr3d Před 21 dnem +41

    어이가 없네...
    그럼 변전소바로 옆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은 뭐야?
    하여간 개인이기주의와 님비현상쩐다

  • @Vggjjfg
    @Vggjjfg Před 21 dnem +32

    그럼..GTX다 취소 합시다
    예산 많이 들고 기반시설도 거부하는데 어쩌겠어요

  • @user-yb8kd4pe9m
    @user-yb8kd4pe9m Před 22 dny +1348

    그럼 저기 바로위에서 일하는 직원은 안위험하냐?

    • @allenlogan7306
      @allenlogan7306 Před 22 dny +11

      콘크리트로 막혀있다면 문제 없을것같은데

    • @user-sp9pc6dm6k
      @user-sp9pc6dm6k Před 22 dny +53

      집값 떨어진다고 ㅈㄹ들이지 나라가 망하면 집은 자동 내려간단다

    • @mnbvcx1115
      @mnbvcx1115 Před 22 dny +39

      무식과 선동이 이렇게 무섭습니다. 여러분!

    • @user-zf6my2zr4w
      @user-zf6my2zr4w Před 22 dny +21

      이건 광우뻥 그 이상급인듯
      민원 담당 공무원들은 무슨 죄임?

    • @Myung98
      @Myung98 Před 22 dny +7

      굴러들어온 짱돌이 박힌 금덩이를?
      추억의 청량리 역 ,.588,맘모스?대왕코너? 이름도 기억이 안 나네..ㅉㅉ
      무서우면 이사가라...

  • @livingstar1741
    @livingstar1741 Před 22 dny +425

    역세권으로 땅값 오르는건 당연하고 기차에 쓰는 변전소는 안되고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vy8zy7to6x
      @user-vy8zy7to6x Před 22 dny +5

      난 중립기어 박는다 35M는 좀 이상한게 사실이지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서는 최소 3mG 이상의 전자기장에 24시간 노출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의 발병 확률이 최소 2배 이상 높아질 수 있습니다. 성인은 면역체계가 발달해 있지만, 어린 아이들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154,000V 고압변전소가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 건설된 사례가 없으며, 환경영향평가에서도 이에 대한 시뮬레이션이나 고압 송전선로에 대한 내용이 부족합니다. 또한 주민들에게 충분한 공청회나 설명회도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일반적으로 핸드폰이나 가정용 전기기기는 220V를 사용하지만, 154,000V 고압변전소는 이의 700배에 달하는 전압을 다룹니다. 최근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에 관한 역학조사 논문들이 계속 발표되고 있어 주민들이 반대하는 이유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GTX 청량리역의 고압변전소 설치를 막을 수 없다면 청량리역 GTX 정차는 취소되는 것이 맞습니다.

    • @KkF-yk4qz
      @KkF-yk4qz Před 22 dny

      이상해서 나도 찾아보는데 진짜 이상한대?
      고압전선의 인체유해성편집
      1979년 미국의 위스하이머 박사는 송변전소 주변에 거주하는 어린이들의 소아백혈병이 2.29배, 뇌종양이 2.4배 등 소아암 전체로 2.25배 증가했다는 분석을 내놓았다.
      1992년 스웨덴의 노벨상 심사기관인 카롤린스카 연구소는 페이칭 보고서를 통해 송전선 인근의 17세 이하 어린이의 백혈병의 발병률이 2mG (0.2µT) 이상에서는 2.7배, 3mG (0.3µT) 이상에서는 3.8배 높다고 발표했다. 스웨덴 정부는 이 보고서를 근거로 주택단지 등지의 송전탑과 고압 송전선로를 대대적으로 철거했다.[1][2]
      1994년 테리올리트 보고서에 따르면 캐나다 전력업체 종업원에 대한 역학조사 결과 변전소 종업원의 경우 폐암 발생률이 17배에 달했다.[3]
      1995년 미국 국립방사선방호위원회(NCRP)는 전자기파가 심장병, 소아백혈병 등을 유발할 수 있다고 밝히고 전자기파 자기장 노출이 2mG (0.2µT)를 넘지 않도록 권고했다.[4][5]
      1998년 미국 국립암연구소 자문위원회는 송전선 주변지역 전자기장이 인간에게 암을 일으킬 수 있는 요인으로 간주해야 한다고 판단했다.
      2001년 세계보건기구 산하 국제암연구센터(IARC)는 프랑스 리옹에서 각국 전문가로 구성된 특별위원회를 개최하여 '4mG (0.4µT)의 송전선 전자기파를 2B등급의 발암물질로 규정'했다. 살충제로 쓰이는 DDT와 유해중금속인 납(Pb)도 같은 등급에 속해 있다.[6]
      2006년 한양대 의대 김윤신 교수팀은 2002년부터 수행한 ‘송전선로 주변 학교 학생에 대한 극저주파 노출평가 연구’에서 송전선 근처의 어린이가 성장호르몬이 적고, 암발생을 억제하는 멜라토닌이 적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6]
      2007년 6월 세계보건기구(WHO)는 10년간의 분석결과를 발표했다. 전자기파에 장기노출된 어린이들의 소아백혈병 발병률이 2배로 높아진다는 일본과 미국 연구진의 연구결과를 처음으로 인정했다.[7]
      실험쥐를 대상으로 한 국내 연구진의 보고서는 강한 전자기파에 장기 노출되면 종양이 유발될 가능성이 있다고 발표했다.

    • @gogocho
      @gogocho Před 22 dny

      전자파가 그리 강할까??

    • @skfrofks
      @skfrofks Před 22 dny +7

      @@user-vy8zy7to6x 뭔 별 허접한내용을 여기저기 복붙하고잇냐.

    • @user-xu8sk2nt9m
      @user-xu8sk2nt9m Před 21 dnem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서는 최소 3mG 이상의 전자기장에 24시간 노출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의 발병 확률이 최소 2배 이상 높아질 수 있습니다. 성인은 면역체계가 발달해 있지만, 어린 아이들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154,000V 고압변전소가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 건설된 사례가 없으며, 환경영향평가에서도 이에 대한 시뮬레이션이나 고압 송전선로에 대한 내용이 부족합니다. 또한 주민들에게 충분한 공청회나 설명회도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일반적으로 핸드폰이나 가정용 전기기기는 220V를 사용하지만, 154,000V 고압변전소는 이의 700배에 달하는 전압을 다룹니다. 최근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에 관한 역학조사 논문들이 계속 발표되고 있어 주민들이 반대하는 이유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GTX 청량리역의 고압변전소 설치를 막을 수 없다면 청량리역 GTX 정차는 취소되는 것이 맞습니다.

  • @FAKOR_
    @FAKOR_ Před 21 dnem +20

    참 빚내서 아파트 들어온 티 확난다...

  • @kimjj9
    @kimjj9 Před 21 dnem +17

    ㅋㅋㅋ 그럼 어디다 지으려고 농촌언저리에 지으려고? GTX도 취소를 해라

  • @WooHeyHey
    @WooHeyHey Před 22 dny +433

    전기는 쓰고싶어 지하철도 앞에 와야해 근데 발전소는 안돼 변전소도 안돼.. 어쩌라는거야 앞에 경찰서랑 소방서는 필요한데 긴급출동나가는 소리나 공무수행 차는 싫음 뭐 이런거야?

    • @user-vr5io2yr4r
      @user-vr5io2yr4r Před 22 dny

      예전에 금천구놈들이 소방서 들온다고 염병 했었지

    • @KkF-yk4qz
      @KkF-yk4qz Před 22 dny +4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서는 최소 3mG 이상의 전자기장에 24시간 노출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의 발병 확률이 최소 2배 이상 높아질 수 있습니다. 성인은 면역체계가 발달해 있지만, 어린 아이들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154,000V 고압변전소가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 건설된 사례가 없으며, 환경영향평가에서도 이에 대한 시뮬레이션이나 고압 송전선로에 대한 내용이 부족합니다. 또한 주민들에게 충분한 공청회나 설명회도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일반적으로 핸드폰이나 가정용 전기기기는 220V를 사용하지만, 154,000V 고압변전소는 이의 700배에 달하는 전압을 다룹니다. 최근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에 관한 역학조사 논문들이 계속 발표되고 있어 주민들이 반대하는 이유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GTX 청량리역의 고압변전소 설치를 막을 수 없다면 청량리역 GTX 정차는 취소되는 것이 맞습니다.

    • @MrGLaDOG
      @MrGLaDOG Před 22 dny +7

      @@KkF-yk4qz전형적인 할루시네이션 현상

    • @jayha.1140
      @jayha.1140 Před 21 dnem +4

      ​@@KkF-yk4qz 애들이 어린이집에24시간 머무냐? 이미 전제부터 틀렸잖냐.

    • @user-bm4rz6ij9m
      @user-bm4rz6ij9m Před 21 dnem

      2찍교회쟁이?​@@KkF-yk4qz

  • @bokkwonsu
    @bokkwonsu Před 22 dny +211

    GTX 운행에 필요한 변전소 설치가 싫다면 GTX 노선 자체를 다른 곳으로 옮겨달라고 해야지.

  • @user-fw7ut9kh1n
    @user-fw7ut9kh1n Před 21 dnem +12

    역사 근처에 왜 집을 짓냐 역세권 이라고 좋아라 들어갔잖아 역세권이라 강조 해서 좋아히더니 변전소는 안되나보네 집값 오르는건 좋아하면서

  • @user-ym1br4sv3o
    @user-ym1br4sv3o Před 21 dnem +13

    GTX 사업 철회 발표해봐라 볼만하겠다

  • @minjae11
    @minjae11 Před 22 dny +610

    길거리에 있는 전봇대에는 2만3천볼트 흐르는데 왜 그건 뭐라안하고 땅에 묻는 변전소에만 선택적으로 지랄하냐ㅋㅋㅋㅋㅋㅋ

    • @user-vy8zy7to6x
      @user-vy8zy7to6x Před 22 dny +9

      난 중립기어 박는다 35M는 좀 이상한게 사실이지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서는 최소 3mG 이상의 전자기장에 24시간 노출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의 발병 확률이 최소 2배 이상 높아질 수 있습니다. 성인은 면역체계가 발달해 있지만, 어린 아이들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154,000V 고압변전소가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 건설된 사례가 없으며, 환경영향평가에서도 이에 대한 시뮬레이션이나 고압 송전선로에 대한 내용이 부족합니다. 또한 주민들에게 충분한 공청회나 설명회도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일반적으로 핸드폰이나 가정용 전기기기는 220V를 사용하지만, 154,000V 고압변전소는 이의 700배에 달하는 전압을 다룹니다. 최근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에 관한 역학조사 논문들이 계속 발표되고 있어 주민들이 반대하는 이유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GTX 청량리역의 고압변전소 설치를 막을 수 없다면 청량리역 GTX 정차는 취소되는 것이 맞습니다.

    • @leedolshi
      @leedolshi Před 22 dny +16

      @@user-vy8zy7to6x 소아 백혈병은 어디서 나온근거인가요? 공유기나 휴대폰보다 미미할텐데 무선파는 괜찮고요?

    • @slowkim2548
      @slowkim2548 Před 21 dnem

      @@user-vy8zy7to6x 국제 및 국내 규정에서는 전자기장 노출에 대한 특정 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준은 일반적으로 공공의 안전을 확보하기에 충분한 수준입니다. 전자기장에 대한 건강 영향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진행 중이지만, 현재로서는 변압기 주변 30미터 지점에서의 전자기장이 건강에 해로운 수준으로 높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 내 유료 chatgpt는 이렇게 답함.

    • @user-fb4tp3rk6k
      @user-fb4tp3rk6k Před 21 dnem

      요새 길거리에 전봇대가 있어요? 우리동네에는 전봇대가 한개도없는데;;

    • @JINSHOME111
      @JINSHOME111 Před 21 dnem

      ​@@user-fb4tp3rk6k좀 밖에 나가... 히키코모리야...

  • @2023MooHyeon
    @2023MooHyeon Před 22 dny +484

    변전소 위에 있는 직원들은 그냥 전기 구이 되는거냐? 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

    • @user-uu9no8ku9u
      @user-uu9no8ku9u Před 22 dny +2

      그럴거면 저런곳은 벌써 다들 암걸려서 호스피스 병동에 있겠죠ㅋㅋㅋ

    • @kk-gq2qp
      @kk-gq2qp Před 22 dny

      직원들은 별말안하는데 유난 겁나떠네 gtx역주지말아라

    • @KkF-yk4qz
      @KkF-yk4qz Před 22 dny

      고압전선의 인체유해성편집
      1979년 미국의 위스하이머 박사는 송변전소 주변에 거주하는 어린이들의 소아백혈병이 2.29배, 뇌종양이 2.4배 등 소아암 전체로 2.25배 증가했다는 분석을 내놓았다.
      1992년 스웨덴의 노벨상 심사기관인 카롤린스카 연구소는 페이칭 보고서를 통해 송전선 인근의 17세 이하 어린이의 백혈병의 발병률이 2mG (0.2µT) 이상에서는 2.7배, 3mG (0.3µT) 이상에서는 3.8배 높다고 발표했다. 스웨덴 정부는 이 보고서를 근거로 주택단지 등지의 송전탑과 고압 송전선로를 대대적으로 철거했다.[1][2]
      1994년 테리올리트 보고서에 따르면 캐나다 전력업체 종업원에 대한 역학조사 결과 변전소 종업원의 경우 폐암 발생률이 17배에 달했다.[3]
      1995년 미국 국립방사선방호위원회(NCRP)는 전자기파가 심장병, 소아백혈병 등을 유발할 수 있다고 밝히고 전자기파 자기장 노출이 2mG (0.2µT)를 넘지 않도록 권고했다.[4][5]
      1998년 미국 국립암연구소 자문위원회는 송전선 주변지역 전자기장이 인간에게 암을 일으킬 수 있는 요인으로 간주해야 한다고 판단했다.
      2001년 세계보건기구 산하 국제암연구센터(IARC)는 프랑스 리옹에서 각국 전문가로 구성된 특별위원회를 개최하여 '4mG (0.4µT)의 송전선 전자기파를 2B등급의 발암물질로 규정'했다. 살충제로 쓰이는 DDT와 유해중금속인 납(Pb)도 같은 등급에 속해 있다.[6]
      2006년 한양대 의대 김윤신 교수팀은 2002년부터 수행한 ‘송전선로 주변 학교 학생에 대한 극저주파 노출평가 연구’에서 송전선 근처의 어린이가 성장호르몬이 적고, 암발생을 억제하는 멜라토닌이 적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6]
      2007년 6월 세계보건기구(WHO)는 10년간의 분석결과를 발표했다. 전자기파에 장기노출된 어린이들의 소아백혈병 발병률이 2배로 높아진다는 일본과 미국 연구진의 연구결과를 처음으로 인정했다.[7]
      실험쥐를 대상으로 한 국내 연구진의 보고서는 강한 전자기파에 장기 노출되면 종양이 유발될 가능성이 있다고 발표했다.

    • @user-xu8sk2nt9m
      @user-xu8sk2nt9m Před 21 dnem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서는 최소 3mG 이상의 전자기장에 24시간 노출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의 발병 확률이 최소 2배 이상 높아질 수 있습니다. 성인은 면역체계가 발달해 있지만, 어린 아이들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154,000V 고압변전소가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 건설된 사례가 없으며, 환경영향평가에서도 이에 대한 시뮬레이션이나 고압 송전선로에 대한 내용이 부족합니다. 또한 주민들에게 충분한 공청회나 설명회도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일반적으로 핸드폰이나 가정용 전기기기는 220V를 사용하지만, 154,000V 고압변전소는 이의 700배에 달하는 전압을 다룹니다. 최근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에 관한 역학조사 논문들이 계속 발표되고 있어 주민들이 반대하는 이유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GTX 청량리역의 고압변전소 설치를 막을 수 없다면 청량리역 GTX 정차는 취소되는 것이 맞습니다.

    • @user-xu8sk2nt9m
      @user-xu8sk2nt9m Před 21 dnem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서는 최소 3mG 이상의 전자기장에 24시간 노출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의 발병 확률이 최소 2배 이상 높아질 수 있습니다. 성인은 면역체계가 발달해 있지만, 어린 아이들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154,000V 고압변전소가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 건설된 사례가 없으며, 환경영향평가에서도 이에 대한 시뮬레이션이나 고압 송전선로에 대한 내용이 부족합니다. 또한 주민들에게 충분한 공청회나 설명회도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일반적으로 핸드폰이나 가정용 전기기기는 220V를 사용하지만, 154,000V 고압변전소는 이의 700배에 달하는 전압을 다룹니다. 최근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에 관한 역학조사 논문들이 계속 발표되고 있어 주민들이 반대하는 이유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GTX 청량리역의 고압변전소 설치를 막을 수 없다면 청량리역 GTX 정차는 취소되는 것이 맞습니다.

  • @user-vj7ty4gk8s
    @user-vj7ty4gk8s Před 22 dny +10

    담신들 아파트 변전소 어케할낀데

    • @NewTech_AI
      @NewTech_AI Před 21 dnem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서는 최소 3mG 이상의 전자기장에 24시간 노출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의 발병 확률이 최소 2배 이상 높아질 수 있습니다. 성인은 면역체계가 발달해 있지만, 어린 아이들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154,000V 고압변전소가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 건설된 사례가 없으며, 환경영향평가에서도 이에 대한 시뮬레이션이나 고압 송전선로에 대한 내용이 부족합니다. 또한 주민들에게 충분한 공청회나 설명회도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일반적으로 핸드폰이나 가정용 전기기기는 220V를 사용하지만, 154,000V 고압변전소는 이의 700배에 달하는 전압을 다룹니다. 최근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에 관한 역학조사 논문들이 계속 발표되고 있어 주민들이 반대하는 이유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GTX 청량리역의 고압변전소 설치를 막을 수 없다면 청량리역 GTX 정차는 취소되는 것이 맞습니다.
      추가적으로, 154kV 고압변전소를 지하에 설치해도 극저주파의 차폐효과는 미미합니다. 지하 설치는 전자기장의 영향을 완전히 차단할 수 없기 때문에, 어린이들의 건강에 대한 위험은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고압변전소의 설치는 더욱 신중하게 검토되어야 하며,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대안이 마련되지 않는 한, 설치를 강행하는 것은 부적절합니다.
      ----------------------------------ChatGPT 답변 내용------------------------------------------
      ChatGPT보다 무식한대 아는 척 좀 하지 말자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sl3uh8jf7l
    @user-sl3uh8jf7l Před 21 dnem +13

    전자파 걱정되면 전기 쓰지말던가???
    기차역도 없애면 되겠다. 그 기차들은 전부 전기로 운행되는데 이제와서 전자파 타령?ㅋㅋㅋㅋㅋㅋ
    전자파 타령하는 놈들 중에 전기 안 쓰는놈들 있나??? 전자렌지, 스마트폰, TV, 정수기, 청소기, 인터넷, 컴퓨터 등등 전자파 무서워서 어떻게 쓰고 있냐???ㅋㅋㅋㅋ

  • @HJ-ri9fj
    @HJ-ri9fj Před 22 dny +281

    아파트 내 특고압 변전소가 있는데 저들 논리면 아파트 특고압 전자파는 안전하고?
    *"무식한 사람이 신념을 가지면 무섭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 할 말은 많지만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개그맨 코미디언들이냐곸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KkF-yk4qz
      @KkF-yk4qz Před 22 dny

      고압전선의 인체유해성편집
      1979년 미국의 위스하이머 박사는 송변전소 주변에 거주하는 어린이들의 소아백혈병이 2.29배, 뇌종양이 2.4배 등 소아암 전체로 2.25배 증가했다는 분석을 내놓았다.
      1992년 스웨덴의 노벨상 심사기관인 카롤린스카 연구소는 페이칭 보고서를 통해 송전선 인근의 17세 이하 어린이의 백혈병의 발병률이 2mG (0.2µT) 이상에서는 2.7배, 3mG (0.3µT) 이상에서는 3.8배 높다고 발표했다. 스웨덴 정부는 이 보고서를 근거로 주택단지 등지의 송전탑과 고압 송전선로를 대대적으로 철거했다.[1][2]
      1994년 테리올리트 보고서에 따르면 캐나다 전력업체 종업원에 대한 역학조사 결과 변전소 종업원의 경우 폐암 발생률이 17배에 달했다.[3]
      1995년 미국 국립방사선방호위원회(NCRP)는 전자기파가 심장병, 소아백혈병 등을 유발할 수 있다고 밝히고 전자기파 자기장 노출이 2mG (0.2µT)를 넘지 않도록 권고했다.[4][5]
      1998년 미국 국립암연구소 자문위원회는 송전선 주변지역 전자기장이 인간에게 암을 일으킬 수 있는 요인으로 간주해야 한다고 판단했다.
      2001년 세계보건기구 산하 국제암연구센터(IARC)는 프랑스 리옹에서 각국 전문가로 구성된 특별위원회를 개최하여 '4mG (0.4µT)의 송전선 전자기파를 2B등급의 발암물질로 규정'했다. 살충제로 쓰이는 DDT와 유해중금속인 납(Pb)도 같은 등급에 속해 있다.[6]
      2006년 한양대 의대 김윤신 교수팀은 2002년부터 수행한 ‘송전선로 주변 학교 학생에 대한 극저주파 노출평가 연구’에서 송전선 근처의 어린이가 성장호르몬이 적고, 암발생을 억제하는 멜라토닌이 적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6]
      2007년 6월 세계보건기구(WHO)는 10년간의 분석결과를 발표했다. 전자기파에 장기노출된 어린이들의 소아백혈병 발병률이 2배로 높아진다는 일본과 미국 연구진의 연구결과를 처음으로 인정했다.[7]
      실험쥐를 대상으로 한 국내 연구진의 보고서는 강한 전자기파에 장기 노출되면 종양이 유발될 가능성이 있다고 발표했다.

    • @KkF-yk4qz
      @KkF-yk4qz Před 22 dny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서는 최소 3mG 이상의 전자기장에 24시간 노출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의 발병 확률이 최소 2배 이상 높아질 수 있습니다. 성인은 면역체계가 발달해 있지만, 어린 아이들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154,000V 고압변전소가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 건설된 사례가 없으며, 환경영향평가에서도 이에 대한 시뮬레이션이나 고압 송전선로에 대한 내용이 부족합니다. 또한 주민들에게 충분한 공청회나 설명회도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일반적으로 핸드폰이나 가정용 전기기기는 220V를 사용하지만, 154,000V 고압변전소는 이의 700배에 달하는 전압을 다룹니다. 최근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에 관한 역학조사 논문들이 계속 발표되고 있어 주민들이 반대하는 이유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GTX 청량리역의 고압변전소 설치를 막을 수 없다면 청량리역 GTX 정차는 취소되는 것이 맞습니다.

    • @user-ro3wo2oy2y
      @user-ro3wo2oy2y Před 21 dnem +7

      ㄹㅇ;; 아파트안에 변전소는 안위험하나 ㅋㅋㅋ

    • @Lasz885
      @Lasz885 Před 21 dnem +9

      지들눈으로 안보여서 그럼 ㅋㅋㅋ 바로밑에 특고압으로 들어오는데 여태 어케살았냐 ㅋㅋㅋㅋ

    • @eugeniahan2384
      @eugeniahan2384 Před 21 dnem

      배운거 없는 개줌마 개저씨들이라 그럼 특히 개줌마 ㅋㅋㅋ

  • @oldboy8844
    @oldboy8844 Před 22 dny +500

    저런곳에 저런 아파트를 지은게 문제, 정말 흉물스럽네요 높은 아파트

    • @ahnduwhqid
      @ahnduwhqid Před 22 dny +33

      ㄹㅇ 진짜 공감됨. 아파트가 경관훼손 주범이네.

    • @user-jo5es3yw3l
      @user-jo5es3yw3l Před 22 dny +26

      진짜 최악입니다 청량리 고층아파트 일몰도 되기전에 전농동쪽은 그늘이 져요

    • @LeeWonWoo
      @LeeWonWoo Před 22 dny +27

      집값 올릴라고 지들이 역에 딱붙여 지어놓고 변전소 만든다니 집값떨어질까봐 전전긍긍, 건강은 무슨 얼어죽을 돈이 문제지

    • @user-hb5qo
      @user-hb5qo Před 22 dny +2

      @@LeeWonWoo캬

    • @user-bs5pk4yd1g
      @user-bs5pk4yd1g Před 22 dny +13

      지하로 변전소 짓는거보다 어 고충아파트가 더 혐오시설인거같은데요 주변에서 볼땐 ... 지하로 짓는거라서 건강에 별 영향이 없다는 ...

  • @user-bv1qe8kl4d
    @user-bv1qe8kl4d Před 21 dnem +9

    가지가지한다 아파트올라가는건좋고 변전소는 싫냐 정도껏 해라

    • @KkF-yk4qz
      @KkF-yk4qz Před 21 dnem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서는 최소 3mG 이상의 전자기장에 24시간 노출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의 발병 확률이 최소 2배 이상 높아질 수 있습니다. 성인은 면역체계가 발달해 있지만, 어린 아이들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154,000V 고압변전소가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 건설된 사례가 없으며, 환경영향평가에서도 이에 대한 시뮬레이션이나 고압 송전선로에 대한 내용이 부족합니다. 또한 주민들에게 충분한 공청회나 설명회도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일반적으로 핸드폰이나 가정용 전기기기는 220V를 사용하지만, 154,000V 고압변전소는 이의 700배에 달하는 전압을 다룹니다. 최근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에 관한 역학조사 논문들이 계속 발표되고 있어 주민들이 반대하는 이유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GTX 청량리역의 고압변전소 설치를 막을 수 없다면 청량리역 GTX 정차는 취소되는 것이 맞습니다.

  • @96inu96
    @96inu96 Před 19 dny +3

    답은 하나네, GTX 취소해라

  • @makne159
    @makne159 Před 22 dny +172

    역앞 혜택은 누리고싶고 뭔가 안좋아보이는건 싹다 배제하고싶고 도둑심보

    • @KkF-yk4qz
      @KkF-yk4qz Před 21 dnem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서는 최소 3mG 이상의 전자기장에 24시간 노출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의 발병 확률이 최소 2배 이상 높아질 수 있습니다. 성인은 면역체계가 발달해 있지만, 어린 아이들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154,000V 고압변전소가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 건설된 사례가 없으며, 환경영향평가에서도 이에 대한 시뮬레이션이나 고압 송전선로에 대한 내용이 부족합니다. 또한 주민들에게 충분한 공청회나 설명회도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일반적으로 핸드폰이나 가정용 전기기기는 220V를 사용하지만, 154,000V 고압변전소는 이의 700배에 달하는 전압을 다룹니다. 최근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에 관한 역학조사 논문들이 계속 발표되고 있어 주민들이 반대하는 이유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GTX 청량리역의 고압변전소 설치를 막을 수 없다면 청량리역 GTX 정차는 취소되는 것이 맞습니다.

    • @user-vg3vi2cz9u
      @user-vg3vi2cz9u Před 21 dnem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서는 최소 3mG 이상의 전자기장에 24시간 노출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의 발병 확률이 최소 2배 이상 높아질 수 있습니다. 성인은 면역체계가 발달해 있지만, 어린 아이들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154,000V 고압변전소가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 건설된 사례가 없으며, 환경영향평가에서도 이에 대한 시뮬레이션이나 고압 송전선로에 대한 내용이 부족합니다. 또한 주민들에게 충분한 공청회나 설명회도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일반적으로 핸드폰이나 가정용 전기기기는 220V를 사용하지만, 154,000V 고압변전소는 이의 700배에 달하는 전압을 다룹니다. 최근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에 관한 역학조사 논문들이 계속 발표되고 있어 주민들이 반대하는 이유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GTX 청량리역의 고압변전소 설치를 막을 수 없다면 청량리역 GTX 정차는 취소되는 것이 맞습니다.
      추가적으로, 154kV 고압변전소를 지하에 설치해도 극저주파의 차폐효과는 미미합니다. 지하 설치는 전자기장의 영향을 완전히 차단할 수 없기 때문에, 어린이들의 건강에 대한 위험은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고압변전소의 설치는 더욱 신중하게 검토되어야 하며,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대안이 마련되지 않는 한, 설치를 강행하는 것은 부적절합니다.
      ----------------------------------ChatGPT 답변 내용------------------------------------------
      ChatGPT보다 무식한대 아는 척 좀 하지 말자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xu8sk2nt9m
      @user-xu8sk2nt9m Před 21 dnem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서는 최소 3mG 이상의 전자기장에 24시간 노출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의 발병 확률이 최소 2배 이상 높아질 수 있습니다. 성인은 면역체계가 발달해 있지만, 어린 아이들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154,000V 고압변전소가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 건설된 사례가 없으며, 환경영향평가에서도 이에 대한 시뮬레이션이나 고압 송전선로에 대한 내용이 부족합니다. 또한 주민들에게 충분한 공청회나 설명회도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일반적으로 핸드폰이나 가정용 전기기기는 220V를 사용하지만, 154,000V 고압변전소는 이의 700배에 달하는 전압을 다룹니다. 최근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에 관한 역학조사 논문들이 계속 발표되고 있어 주민들이 반대하는 이유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GTX 청량리역의 고압변전소 설치를 막을 수 없다면 청량리역 GTX 정차는 취소되는 것이 맞습니다.
      추가적으로, 154kV 고압변전소를 지하에 설치해도 극저주파의 차폐효과는 미미합니다. 지하 설치는 전자기장의 영향을 완전히 차단할 수 없기 때문에, 어린이들의 건강에 대한 위험은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고압변전소의 설치는 더욱 신중하게 검토되어야 하며,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대안이 마련되지 않는 한, 설치를 강행하는 것은 부적절합니다.
      --------------------------------ChatGPT 답변 내용----------------------------------------
      ChatGPT보다 무식한대 아는 척 좀 하지 말자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NewTech_AI
    @NewTech_AI Před 22 dny +158

    GTX 청량리는 하루빨리 취소하는게 답이지 그냥 취소해라

    • @user-xu8sk2nt9m
      @user-xu8sk2nt9m Před 21 dnem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서는 최소 3mG 이상의 전자기장에 24시간 노출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의 발병 확률이 최소 2배 이상 높아질 수 있습니다. 성인은 면역체계가 발달해 있지만, 어린 아이들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154,000V 고압변전소가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 건설된 사례가 없으며, 환경영향평가에서도 이에 대한 시뮬레이션이나 고압 송전선로에 대한 내용이 부족합니다. 또한 주민들에게 충분한 공청회나 설명회도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일반적으로 핸드폰이나 가정용 전기기기는 220V를 사용하지만, 154,000V 고압변전소는 이의 700배에 달하는 전압을 다룹니다. 최근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에 관한 역학조사 논문들이 계속 발표되고 있어 주민들이 반대하는 이유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GTX 청량리역의 고압변전소 설치를 막을 수 없다면 청량리역 GTX 정차는 취소되는 것이 맞습니다.

    • @user-vy8zy7to6x
      @user-vy8zy7to6x Před 21 dnem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서는 최소 3mG 이상의 전자기장에 24시간 노출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의 발병 확률이 최소 2배 이상 높아질 수 있습니다. 성인은 면역체계가 발달해 있지만, 어린 아이들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154,000V 고압변전소가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 건설된 사례가 없으며, 환경영향평가에서도 이에 대한 시뮬레이션이나 고압 송전선로에 대한 내용이 부족합니다. 또한 주민들에게 충분한 공청회나 설명회도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일반적으로 핸드폰이나 가정용 전기기기는 220V를 사용하지만, 154,000V 고압변전소는 이의 700배에 달하는 전압을 다룹니다. 최근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에 관한 역학조사 논문들이 계속 발표되고 있어 주민들이 반대하는 이유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GTX 청량리역의 고압변전소 설치를 막을 수 없다면 청량리역 GTX 정차는 취소되는 것이 맞습니다.

    • @user-kt8jz2xs6q
      @user-kt8jz2xs6q Před 21 dnem +5

      저기정차안하면되겠네

  • @nonickhi7039
    @nonickhi7039 Před 21 dnem +6

    뭐야 GTX 설비잖아 장난치나? 다른데 두는게 코미디지. 지금 ㅈㄹ 중인 주민들 아파트 변전소는 어디다 두냐?
    GTX 취소시켜라. 그리고 현재 공사된거 복구비랑 이전비 변경비용 다 주민들이 물어내라

    • @user-xu8sk2nt9m
      @user-xu8sk2nt9m Před 21 dnem

      청량리 주민이 왜 물어내 ㅋㅋㅋㅋ 그냥 다른데다 변전소 짓고 GTX도 지어~~~ 왕십리에 변전소 설치하고 청량리는 취소하라~ ㅋ

  • @user-yu2ym7qf1p
    @user-yu2ym7qf1p Před 21 dnem +6

    하나가 좋아지면 하나는 나빠지는 것.
    과실만 먹을려고 하지 말아야 하는 것 아닌가요?

  • @user-tf6oh3vy7k
    @user-tf6oh3vy7k Před 22 dny +947

    있던 고속도로 옆에 집 짓고 살다 시끄럽다고 이전 하라고 ㅈㄹ하는거랑 뭐가 다름??

    • @HanJongHyun
      @HanJongHyun Před 22 dny +12

      그러게 비행기 지나가나 전투기 지나가나
      전투기는 이름만 들어도 위험해서 안돼!!

    • @user-fz7hq2kv4t
      @user-fz7hq2kv4t Před 22 dny +3

      한강에 원자력발전소 지으면 인정.. 그리고 니잡 앞마당에 지으면 된다.

    • @user-tg1tz4hb6f
      @user-tg1tz4hb6f Před 22 dny

      ​@@user-fz7hq2kv4t원전도 먼저 지어지고 그 뒤에 들어갔으면 할말 없지 수능국어 0점 나왔나 보네

    • @skyhigh490
      @skyhigh490 Před 22 dny +16

      ​@@user-fz7hq2kv4t 어 제발 지어줘 난 찬성하니깐

    • @Ktbs0175
      @Ktbs0175 Před 22 dny +8

      ​@@user-fz7hq2kv4t왜 집 앞에 있으면 안되는지 설명좀?

  • @user-nt3ug8sm2y
    @user-nt3ug8sm2y Před 22 dny +225

    남의 동네에 원전짓고 전기만 쓰는걸 다행으로 알아야지
    서울에 원전하나 지어주고싶네

    • @user-fh6mn6tu5h
      @user-fh6mn6tu5h Před 22 dny +13

      강남에 하나짓자

    • @matbill-yd8fj
      @matbill-yd8fj Před 22 dny +2

      전기 많이 쓰는 서울에 원전하나 만들ㅏ

    • @user-qo9pi3by9e
      @user-qo9pi3by9e Před 22 dny

      @user-jk9cu5mn3w실제 추진했다가 무산…

    • @user-xu8sk2nt9m
      @user-xu8sk2nt9m Před 21 dnem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서는 최소 3mG 이상의 전자기장에 24시간 노출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의 발병 확률이 최소 2배 이상 높아질 수 있습니다. 성인은 면역체계가 발달해 있지만, 어린 아이들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154,000V 고압변전소가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 건설된 사례가 없으며, 환경영향평가에서도 이에 대한 시뮬레이션이나 고압 송전선로에 대한 내용이 부족합니다. 또한 주민들에게 충분한 공청회나 설명회도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일반적으로 핸드폰이나 가정용 전기기기는 220V를 사용하지만, 154,000V 고압변전소는 이의 700배에 달하는 전압을 다룹니다. 최근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에 관한 역학조사 논문들이 계속 발표되고 있어 주민들이 반대하는 이유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GTX 청량리역의 고압변전소 설치를 막을 수 없다면 청량리역 GTX 정차는 취소되는 것이 맞습니다.

  • @Z9Z8Z6
    @Z9Z8Z6 Před 21 dnem +6

    GTX 들어온다고 할 때에는 어떤 반응이었나

    • @NewTech_AI
      @NewTech_AI Před 21 dnem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서는 최소 3mG 이상의 전자기장에 24시간 노출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의 발병 확률이 최소 2배 이상 높아질 수 있습니다. 성인은 면역체계가 발달해 있지만, 어린 아이들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154,000V 고압변전소가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 건설된 사례가 없으며, 환경영향평가에서도 이에 대한 시뮬레이션이나 고압 송전선로에 대한 내용이 부족합니다. 또한 주민들에게 충분한 공청회나 설명회도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일반적으로 핸드폰이나 가정용 전기기기는 220V를 사용하지만, 154,000V 고압변전소는 이의 700배에 달하는 전압을 다룹니다. 최근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에 관한 역학조사 논문들이 계속 발표되고 있어 주민들이 반대하는 이유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GTX 청량리역의 고압변전소 설치를 막을 수 없다면 청량리역 GTX 정차는 취소되는 것이 맞습니다.
      추가적으로, 154kV 고압변전소를 지하에 설치해도 극저주파의 차폐효과는 미미합니다. 지하 설치는 전자기장의 영향을 완전히 차단할 수 없기 때문에, 어린이들의 건강에 대한 위험은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고압변전소의 설치는 더욱 신중하게 검토되어야 하며,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대안이 마련되지 않는 한, 설치를 강행하는 것은 부적절합니다.
      ----------------------------------ChatGPT 답변 내용------------------------------------------
      ChatGPT보다 무식한대 아는 척 좀 하지 말자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tc5ze4eh5d
    @user-tc5ze4eh5d Před 21 dnem +5

    함께사는 거에 대한 관심이없는 사람들은 아파트엔 어떻게 사는가 몰라.. 누리는건 다 누리되 희생하는건 싫어요ㅠㅠ 이런인간들이 저질인간들

  • @haneuljang2328
    @haneuljang2328 Před 22 dny +290

    저 사람들 전자렌지, TV, 냉장고 압수

    • @Timeless.Melodies
      @Timeless.Melodies Před 22 dny +1

      그니까요 냉장고도 24시간 돌아가는데 어떻게들 쓰는 건지 참

    • @KkF-yk4qz
      @KkF-yk4qz Před 21 dnem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서는 최소 3mG 이상의 전자기장에 24시간 노출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의 발병 확률이 최소 2배 이상 높아질 수 있습니다. 성인은 면역체계가 발달해 있지만, 어린 아이들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154,000V 고압변전소가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 건설된 사례가 없으며, 환경영향평가에서도 이에 대한 시뮬레이션이나 고압 송전선로에 대한 내용이 부족합니다. 또한 주민들에게 충분한 공청회나 설명회도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일반적으로 핸드폰이나 가정용 전기기기는 220V를 사용하지만, 154,000V 고압변전소는 이의 700배에 달하는 전압을 다룹니다. 최근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에 관한 역학조사 논문들이 계속 발표되고 있어 주민들이 반대하는 이유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GTX 청량리역의 고압변전소 설치를 막을 수 없다면 청량리역 GTX 정차는 취소되는 것이 맞습니다.

  • @user-sw6yx1oc9m
    @user-sw6yx1oc9m Před 22 dny +400

    ㅋㅋ 인간이 제일 유해해

    • @user-uk6tj9se3s
      @user-uk6tj9se3s Před 22 dny +1

      ㄹㅇㅋㅋㅋㅋㅋㅋ

    • @user-qs7fl6wi1p
      @user-qs7fl6wi1p Před 22 dny +1

      ㅈ간이 젤 문제ㅋㅋ

    • @user-nf1yf1hy9r
      @user-nf1yf1hy9r Před 22 dny +1

      짝짝짝 짝짝짝

    • @KkF-yk4qz
      @KkF-yk4qz Před 22 dny

      고압전선의 인체유해성편집
      1979년 미국의 위스하이머 박사는 송변전소 주변에 거주하는 어린이들의 소아백혈병이 2.29배, 뇌종양이 2.4배 등 소아암 전체로 2.25배 증가했다는 분석을 내놓았다.
      1992년 스웨덴의 노벨상 심사기관인 카롤린스카 연구소는 페이칭 보고서를 통해 송전선 인근의 17세 이하 어린이의 백혈병의 발병률이 2mG (0.2µT) 이상에서는 2.7배, 3mG (0.3µT) 이상에서는 3.8배 높다고 발표했다. 스웨덴 정부는 이 보고서를 근거로 주택단지 등지의 송전탑과 고압 송전선로를 대대적으로 철거했다.[1][2]
      1994년 테리올리트 보고서에 따르면 캐나다 전력업체 종업원에 대한 역학조사 결과 변전소 종업원의 경우 폐암 발생률이 17배에 달했다.[3]
      1995년 미국 국립방사선방호위원회(NCRP)는 전자기파가 심장병, 소아백혈병 등을 유발할 수 있다고 밝히고 전자기파 자기장 노출이 2mG (0.2µT)를 넘지 않도록 권고했다.[4][5]
      1998년 미국 국립암연구소 자문위원회는 송전선 주변지역 전자기장이 인간에게 암을 일으킬 수 있는 요인으로 간주해야 한다고 판단했다.
      2001년 세계보건기구 산하 국제암연구센터(IARC)는 프랑스 리옹에서 각국 전문가로 구성된 특별위원회를 개최하여 '4mG (0.4µT)의 송전선 전자기파를 2B등급의 발암물질로 규정'했다. 살충제로 쓰이는 DDT와 유해중금속인 납(Pb)도 같은 등급에 속해 있다.[6]
      2006년 한양대 의대 김윤신 교수팀은 2002년부터 수행한 ‘송전선로 주변 학교 학생에 대한 극저주파 노출평가 연구’에서 송전선 근처의 어린이가 성장호르몬이 적고, 암발생을 억제하는 멜라토닌이 적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6]
      2007년 6월 세계보건기구(WHO)는 10년간의 분석결과를 발표했다. 전자기파에 장기노출된 어린이들의 소아백혈병 발병률이 2배로 높아진다는 일본과 미국 연구진의 연구결과를 처음으로 인정했다.[7]
      실험쥐를 대상으로 한 국내 연구진의 보고서는 강한 전자기파에 장기 노출되면 종양이 유발될 가능성이 있다고 발표했다.

    • @user-hc5pl4xp5w
      @user-hc5pl4xp5w Před 22 dny +1

      이거네 ㅋㅋㅋ

  • @user-ox1mi3xd7x
    @user-ox1mi3xd7x Před 2 dny +2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변전소가 뭔지도 모르고 반대하는거고 세상 변전소걱정하는거 첨보네 ㅋㅋㅋㅋ

  • @kkojang72
    @kkojang72 Před 21 dnem +5

    변전소 화재, 폭발 걱정을 하면 교통사고 날까 차는 어떻게 타냐

  • @user-zm5br9cf2s
    @user-zm5br9cf2s Před 22 dny +274

    아니 전철은 좋고 변전소는 안되고 너무 얍삽한데? 양심좀? 그게 있어야 한다니까 생각좀?

    • @user-xu8sk2nt9m
      @user-xu8sk2nt9m Před 21 dnem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서는 최소 3mG 이상의 전자기장에 24시간 노출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의 발병 확률이 최소 2배 이상 높아질 수 있습니다. 성인은 면역체계가 발달해 있지만, 어린 아이들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154,000V 고압변전소가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 건설된 사례가 없으며, 환경영향평가에서도 이에 대한 시뮬레이션이나 고압 송전선로에 대한 내용이 부족합니다. 또한 주민들에게 충분한 공청회나 설명회도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일반적으로 핸드폰이나 가정용 전기기기는 220V를 사용하지만, 154,000V 고압변전소는 이의 700배에 달하는 전압을 다룹니다. 최근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에 관한 역학조사 논문들이 계속 발표되고 있어 주민들이 반대하는 이유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GTX 청량리역의 고압변전소 설치를 막을 수 없다면 청량리역 GTX 정차는 취소되는 것이 맞습니다.

    • @user-zm5br9cf2s
      @user-zm5br9cf2s Před 21 dnem

      @@user-xu8sk2nt9m 154000V는 어디서 나오는건지 모르겠지만 ktx 운행하는 집전장치가25000v 인데 그런건 괜찮은가봐요? ㅋㅋㅋㅋ
      전철은 어떻게 타고 고속철은 어떻게 탄대? 그리고 V가 문제가 아니예요 정전기가 몇V인지 검색좀 해보세요 전기에 지식이 전무하신듯한 댓글이네요 감전이 되는것도 V가 중요한게 아니라 A가 중요한건 모르시나봐요?
      챗gpt가 만능인줄 아나보셔 콘크리트 뚫는 전자파도 있대요? X선인줄 아나봐 ㅋㅋㅋㅋㅋㅋㅋ
      글고 아니 고속철들어올때는 좋아하다가 그거 기반시설 들어와야한대니 발작하는 ........지식도 없이 챗gpt로 근거 들이미는 한심함에 무릎을 탁 칩니다

    • @user-zm5br9cf2s
      @user-zm5br9cf2s Před 21 dnem

      @@user-xu8sk2nt9m 정전기랑 비슷한 V란다 ktx는 넌 앞으로 어케 탈래? 25000V가 계속 흐르는데? 콘크리트뚫는 전자파도 있대? 벽하나 지나면 얼마나 주는지는 모르지?
      어린이집은 갑자기 왜나와? 자극적인 단어만 깔지말고 팩트만 말해

    • @user-xu8sk2nt9m
      @user-xu8sk2nt9m Před 21 dnem +1

      @@user-zm5br9cf2s 아니 그건 관심 없고 청량리 GTX좀 취소하자 ChatGPT글은 팩트야

    • @user-zm5br9cf2s
      @user-zm5br9cf2s Před 21 dnem

      @@user-xu8sk2nt9m 청원올려 이제와서 난리야 해택받는거 같다가 왜 저건 아닌거 같아? 챗gpt가 팩트라는 앤 첨보네 ㅋㅋㅋ 변전소가 154kV라는 근거 가져오라니까 저게 만능인줄아냐 저게 무서우면 ktx어케타냐고

  • @user-ct8fx6wg1v
    @user-ct8fx6wg1v Před 22 dny +81

    저기 청량리 GTX까지 들어온다고
    아파트 분양때 프리미엄 엄청
    노리고 좋다고 입주해 놓고선
    거기 필요한 변전소는 안된다?
    이기주의

    • @KkF-yk4qz
      @KkF-yk4qz Před 22 dny +1

      고압전선의 인체유해성편집
      1979년 미국의 위스하이머 박사는 송변전소 주변에 거주하는 어린이들의 소아백혈병이 2.29배, 뇌종양이 2.4배 등 소아암 전체로 2.25배 증가했다는 분석을 내놓았다.
      1992년 스웨덴의 노벨상 심사기관인 카롤린스카 연구소는 페이칭 보고서를 통해 송전선 인근의 17세 이하 어린이의 백혈병의 발병률이 2mG (0.2µT) 이상에서는 2.7배, 3mG (0.3µT) 이상에서는 3.8배 높다고 발표했다. 스웨덴 정부는 이 보고서를 근거로 주택단지 등지의 송전탑과 고압 송전선로를 대대적으로 철거했다.[1][2]
      1994년 테리올리트 보고서에 따르면 캐나다 전력업체 종업원에 대한 역학조사 결과 변전소 종업원의 경우 폐암 발생률이 17배에 달했다.[3]
      1995년 미국 국립방사선방호위원회(NCRP)는 전자기파가 심장병, 소아백혈병 등을 유발할 수 있다고 밝히고 전자기파 자기장 노출이 2mG (0.2µT)를 넘지 않도록 권고했다.[4][5]
      1998년 미국 국립암연구소 자문위원회는 송전선 주변지역 전자기장이 인간에게 암을 일으킬 수 있는 요인으로 간주해야 한다고 판단했다.
      2001년 세계보건기구 산하 국제암연구센터(IARC)는 프랑스 리옹에서 각국 전문가로 구성된 특별위원회를 개최하여 '4mG (0.4µT)의 송전선 전자기파를 2B등급의 발암물질로 규정'했다. 살충제로 쓰이는 DDT와 유해중금속인 납(Pb)도 같은 등급에 속해 있다.[6]
      2006년 한양대 의대 김윤신 교수팀은 2002년부터 수행한 ‘송전선로 주변 학교 학생에 대한 극저주파 노출평가 연구’에서 송전선 근처의 어린이가 성장호르몬이 적고, 암발생을 억제하는 멜라토닌이 적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6]
      2007년 6월 세계보건기구(WHO)는 10년간의 분석결과를 발표했다. 전자기파에 장기노출된 어린이들의 소아백혈병 발병률이 2배로 높아진다는 일본과 미국 연구진의 연구결과를 처음으로 인정했다.[7]
      실험쥐를 대상으로 한 국내 연구진의 보고서는 강한 전자기파에 장기 노출되면 종양이 유발될 가능성이 있다고 발표했다.

    • @KkF-yk4qz
      @KkF-yk4qz Před 21 dnem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서는 최소 3mG 이상의 전자기장에 24시간 노출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의 발병 확률이 최소 2배 이상 높아질 수 있습니다. 성인은 면역체계가 발달해 있지만, 어린 아이들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154,000V 고압변전소가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 건설된 사례가 없으며, 환경영향평가에서도 이에 대한 시뮬레이션이나 고압 송전선로에 대한 내용이 부족합니다. 또한 주민들에게 충분한 공청회나 설명회도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일반적으로 핸드폰이나 가정용 전기기기는 220V를 사용하지만, 154,000V 고압변전소는 이의 700배에 달하는 전압을 다룹니다. 최근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에 관한 역학조사 논문들이 계속 발표되고 있어 주민들이 반대하는 이유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GTX 청량리역의 고압변전소 설치를 막을 수 없다면 청량리역 GTX 정차는 취소되는 것이 맞습니다.

  • @user-wi5bh5lq3h
    @user-wi5bh5lq3h Před 19 dny +2

    발전소도 아니고 전압만 바꿔주는 변전소 짓는다는데 웬 ㅈㄹ?
    전자파 나온다고 그럼 길거리 곳곳에 만들어 놓은 변압기들은 어떻하라고?

  • @DJcopylee
    @DJcopylee Před 19 dny +1

    광케이블이 아파트를 휘감고, 가스충전소, 전기충전소, 주유소 주변에 다 어떻게 끼고 사냐

  • @GomujulDaemawang
    @GomujulDaemawang Před 22 dny +208

    솔직히 말하면 변전소 위험한거 보다
    저걸 반대하는 인간들이 더 위험하다.

    • @KkF-yk4qz
      @KkF-yk4qz Před 22 dny

      고압전선의 인체유해성편집
      1979년 미국의 위스하이머 박사는 송변전소 주변에 거주하는 어린이들의 소아백혈병이 2.29배, 뇌종양이 2.4배 등 소아암 전체로 2.25배 증가했다는 분석을 내놓았다.
      1992년 스웨덴의 노벨상 심사기관인 카롤린스카 연구소는 페이칭 보고서를 통해 송전선 인근의 17세 이하 어린이의 백혈병의 발병률이 2mG (0.2µT) 이상에서는 2.7배, 3mG (0.3µT) 이상에서는 3.8배 높다고 발표했다. 스웨덴 정부는 이 보고서를 근거로 주택단지 등지의 송전탑과 고압 송전선로를 대대적으로 철거했다.[1][2]
      1994년 테리올리트 보고서에 따르면 캐나다 전력업체 종업원에 대한 역학조사 결과 변전소 종업원의 경우 폐암 발생률이 17배에 달했다.[3]
      1995년 미국 국립방사선방호위원회(NCRP)는 전자기파가 심장병, 소아백혈병 등을 유발할 수 있다고 밝히고 전자기파 자기장 노출이 2mG (0.2µT)를 넘지 않도록 권고했다.[4][5]
      1998년 미국 국립암연구소 자문위원회는 송전선 주변지역 전자기장이 인간에게 암을 일으킬 수 있는 요인으로 간주해야 한다고 판단했다.
      2001년 세계보건기구 산하 국제암연구센터(IARC)는 프랑스 리옹에서 각국 전문가로 구성된 특별위원회를 개최하여 '4mG (0.4µT)의 송전선 전자기파를 2B등급의 발암물질로 규정'했다. 살충제로 쓰이는 DDT와 유해중금속인 납(Pb)도 같은 등급에 속해 있다.[6]
      2006년 한양대 의대 김윤신 교수팀은 2002년부터 수행한 ‘송전선로 주변 학교 학생에 대한 극저주파 노출평가 연구’에서 송전선 근처의 어린이가 성장호르몬이 적고, 암발생을 억제하는 멜라토닌이 적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6]
      2007년 6월 세계보건기구(WHO)는 10년간의 분석결과를 발표했다. 전자기파에 장기노출된 어린이들의 소아백혈병 발병률이 2배로 높아진다는 일본과 미국 연구진의 연구결과를 처음으로 인정했다.[7]
      실험쥐를 대상으로 한 국내 연구진의 보고서는 강한 전자기파에 장기 노출되면 종양이 유발될 가능성이 있다고 발표했다.

    • @kimjohnson933
      @kimjohnson933 Před 22 dny +1

      맞음 혐오시설 = 보상 이라는 프레임이 예전부터 씌워져서 조금이라도 해당된다 싶으면 거품물고 액션취하는거임. 근데 계속 이런식으로 보상해주기 시작하면 대부분의 기반시설물 설치에 비용이 발생하는데 사기업은 절대 손해보는 장사 안함. 따라서 그 비용은 전부 세금으로 채워짐 ㅋㅋ 따라서 과세비율 상승 or 국가개발 정지 둘 중 하나로 갈거임.

    • @hyuntaikim5503
      @hyuntaikim5503 Před 22 dny

      솔직하군

    • @user-vy8zy7to6x
      @user-vy8zy7to6x Před 21 dnem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서는 최소 3mG 이상의 전자기장에 24시간 노출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의 발병 확률이 최소 2배 이상 높아질 수 있습니다. 성인은 면역체계가 발달해 있지만, 어린 아이들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154,000V 고압변전소가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 건설된 사례가 없으며, 환경영향평가에서도 이에 대한 시뮬레이션이나 고압 송전선로에 대한 내용이 부족합니다. 또한 주민들에게 충분한 공청회나 설명회도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일반적으로 핸드폰이나 가정용 전기기기는 220V를 사용하지만, 154,000V 고압변전소는 이의 700배에 달하는 전압을 다룹니다. 최근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에 관한 역학조사 논문들이 계속 발표되고 있어 주민들이 반대하는 이유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GTX 청량리역의 고압변전소 설치를 막을 수 없다면 청량리역 GTX 정차는 취소되는 것이 맞습니다.
      추가적으로, 154kV 고압변전소를 지하에 설치해도 극저주파의 차폐효과는 미미합니다. 지하 설치는 전자기장의 영향을 완전히 차단할 수 없기 때문에, 어린이들의 건강에 대한 위험은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고압변전소의 설치는 더욱 신중하게 검토되어야 하며,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대안이 마련되지 않는 한, 설치를 강행하는 것은 부적절합니다.
      ----------------------------------ChatGPT 답변 내용------------------------------------------

  • @user-jp5pm6ic2i
    @user-jp5pm6ic2i Před 22 dny +197

    집앞에 지하철들어오면 역세권이라고 좋아하면서 역세권에 필요한 변전소 들어온다니까 싫어하는건 뭐...지???

    • @user-vy8zy7to6x
      @user-vy8zy7to6x Před 21 dnem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서는 최소 3mG 이상의 전자기장에 24시간 노출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의 발병 확률이 최소 2배 이상 높아질 수 있습니다. 성인은 면역체계가 발달해 있지만, 어린 아이들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154,000V 고압변전소가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 건설된 사례가 없으며, 환경영향평가에서도 이에 대한 시뮬레이션이나 고압 송전선로에 대한 내용이 부족합니다. 또한 주민들에게 충분한 공청회나 설명회도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일반적으로 핸드폰이나 가정용 전기기기는 220V를 사용하지만, 154,000V 고압변전소는 이의 700배에 달하는 전압을 다룹니다. 최근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에 관한 역학조사 논문들이 계속 발표되고 있어 주민들이 반대하는 이유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GTX 청량리역의 고압변전소 설치를 막을 수 없다면 청량리역 GTX 정차는 취소되는 것이 맞습니다.
      추가적으로, 154kV 고압변전소를 지하에 설치해도 극저주파의 차폐효과는 미미합니다. 지하 설치는 전자기장의 영향을 완전히 차단할 수 없기 때문에, 어린이들의 건강에 대한 위험은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고압변전소의 설치는 더욱 신중하게 검토되어야 하며,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대안이 마련되지 않는 한, 설치를 강행하는 것은 부적절합니다.
      ----------------------------------ChatGPT 답변 내용------------------------------------------

    • @user-xu8sk2nt9m
      @user-xu8sk2nt9m Před 21 dnem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서는 최소 3mG 이상의 전자기장에 24시간 노출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의 발병 확률이 최소 2배 이상 높아질 수 있습니다. 성인은 면역체계가 발달해 있지만, 어린 아이들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154,000V 고압변전소가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 건설된 사례가 없으며, 환경영향평가에서도 이에 대한 시뮬레이션이나 고압 송전선로에 대한 내용이 부족합니다. 또한 주민들에게 충분한 공청회나 설명회도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일반적으로 핸드폰이나 가정용 전기기기는 220V를 사용하지만, 154,000V 고압변전소는 이의 700배에 달하는 전압을 다룹니다. 최근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에 관한 역학조사 논문들이 계속 발표되고 있어 주민들이 반대하는 이유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GTX 청량리역의 고압변전소 설치를 막을 수 없다면 청량리역 GTX 정차는 취소되는 것이 맞습니다.
      추가적으로, 154kV 고압변전소를 지하에 설치해도 극저주파의 차폐효과는 미미합니다. 지하 설치는 전자기장의 영향을 완전히 차단할 수 없기 때문에, 어린이들의 건강에 대한 위험은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고압변전소의 설치는 더욱 신중하게 검토되어야 하며,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대안이 마련되지 않는 한, 설치를 강행하는 것은 부적절합니다.
      --------------------------------ChatGPT 답변 내용----------------------------------------
      ChatGPT보다 무식한대 아는 척 좀 하지 말자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zo6wy5ur8z
    @user-zo6wy5ur8z Před 21 dnem +2

    내 집 근처에는 내가 걱정하는 그 무엇도 없으면 좋겠으면서 편의를 제공하는 모든 인프라는 다 있기를 바라는 마음 참 못났네요.

  • @user-mf1gl1nh3v
    @user-mf1gl1nh3v Před 21 dnem +3

    전기는 왜 쓰냐? 다들 싫으면 변전소는 어따지어?

  • @Wizmoon1982
    @Wizmoon1982 Před 22 dny +165

    전혀 문제 없음. 왜 차라리 철도도 옮겨달라고 하지 ㅋㅋㅋ

    • @kmin1016
      @kmin1016 Před 22 dny +13

      집값 떨어진다고 개난리 칠걸요?

    • @user-ti8mc1we6p
      @user-ti8mc1we6p Před 22 dny

      그러면 좋지 니가 해줄래?

    • @user-dv7hs5pg8v
      @user-dv7hs5pg8v Před 22 dny +1

      철도 옮기면 난리남
      집값 떨어진다고ㅋ

    • @user-xu8sk2nt9m
      @user-xu8sk2nt9m Před 21 dnem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서는 최소 3mG 이상의 전자기장에 24시간 노출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의 발병 확률이 최소 2배 이상 높아질 수 있습니다. 성인은 면역체계가 발달해 있지만, 어린 아이들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154,000V 고압변전소가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 건설된 사례가 없으며, 환경영향평가에서도 이에 대한 시뮬레이션이나 고압 송전선로에 대한 내용이 부족합니다. 또한 주민들에게 충분한 공청회나 설명회도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일반적으로 핸드폰이나 가정용 전기기기는 220V를 사용하지만, 154,000V 고압변전소는 이의 700배에 달하는 전압을 다룹니다. 최근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에 관한 역학조사 논문들이 계속 발표되고 있어 주민들이 반대하는 이유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GTX 청량리역의 고압변전소 설치를 막을 수 없다면 청량리역 GTX 정차는 취소되는 것이 맞습니다.

    • @user-vg3vi2cz9u
      @user-vg3vi2cz9u Před 21 dnem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서는 최소 3mG 이상의 전자기장에 24시간 노출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의 발병 확률이 최소 2배 이상 높아질 수 있습니다. 성인은 면역체계가 발달해 있지만, 어린 아이들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154,000V 고압변전소가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 건설된 사례가 없으며, 환경영향평가에서도 이에 대한 시뮬레이션이나 고압 송전선로에 대한 내용이 부족합니다. 또한 주민들에게 충분한 공청회나 설명회도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일반적으로 핸드폰이나 가정용 전기기기는 220V를 사용하지만, 154,000V 고압변전소는 이의 700배에 달하는 전압을 다룹니다. 최근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에 관한 역학조사 논문들이 계속 발표되고 있어 주민들이 반대하는 이유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GTX 청량리역의 고압변전소 설치를 막을 수 없다면 청량리역 GTX 정차는 취소되는 것이 맞습니다.
      추가적으로, 154kV 고압변전소를 지하에 설치해도 극저주파의 차폐효과는 미미합니다. 지하 설치는 전자기장의 영향을 완전히 차단할 수 없기 때문에, 어린이들의 건강에 대한 위험은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고압변전소의 설치는 더욱 신중하게 검토되어야 하며,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대안이 마련되지 않는 한, 설치를 강행하는 것은 부적절합니다.
      ----------------------------------ChatGPT 답변 내용------------------------------------------
      ChatGPT보다 무식한대 아는 척 좀 하지 말자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boeing1168
    @boeing1168 Před 22 dny +140

    특고압의 전기로 가는 전철, 지하철, GTX는 집앞에 있어도 변전소는 위험해서 안된다? 그러면 변전소에서 일하고 변전소내 사택에서 사는 한전직원과 가족들은 뭐냐?

    • @ab-xo6xl
      @ab-xo6xl Před 22 dny

      1호선 15000짜리잘만다니는데. ㅋㅋ변전소가문제

    • @sameMonday
      @sameMonday Před 20 dny

      저들 논리면 이미 그분들 다 암이나 각종질병으로 저세상분들이겠죠ㅋㅋㅋ

  • @user-oq9wr8qz3w
    @user-oq9wr8qz3w Před 21 dnem +7

    단지 안에도 변압기 있을텐데 ㅋㅋㅋㅋㅋ 진짜 알고들 저러나...

    • @user-vg3vi2cz9u
      @user-vg3vi2cz9u Před 21 dnem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서는 최소 3mG 이상의 전자기장에 24시간 노출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의 발병 확률이 최소 2배 이상 높아질 수 있습니다. 성인은 면역체계가 발달해 있지만, 어린 아이들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154,000V 고압변전소가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 건설된 사례가 없으며, 환경영향평가에서도 이에 대한 시뮬레이션이나 고압 송전선로에 대한 내용이 부족합니다. 또한 주민들에게 충분한 공청회나 설명회도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일반적으로 핸드폰이나 가정용 전기기기는 220V를 사용하지만, 154,000V 고압변전소는 이의 700배에 달하는 전압을 다룹니다. 최근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에 관한 역학조사 논문들이 계속 발표되고 있어 주민들이 반대하는 이유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GTX 청량리역의 고압변전소 설치를 막을 수 없다면 청량리역 GTX 정차는 취소되는 것이 맞습니다.
      추가적으로, 154kV 고압변전소를 지하에 설치해도 극저주파의 차폐효과는 미미합니다. 지하 설치는 전자기장의 영향을 완전히 차단할 수 없기 때문에, 어린이들의 건강에 대한 위험은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고압변전소의 설치는 더욱 신중하게 검토되어야 하며,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대안이 마련되지 않는 한, 설치를 강행하는 것은 부적절합니다.
      ----------------------------------ChatGPT 답변 내용------------------------------------------
      ChatGPT보다 무식한대 아는 척 좀 하지 말자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ov3kp4oc9t
    @user-ov3kp4oc9t Před 19 dny +1

    철도 들어서면 아파트값 오른다고 박수치는것들이 한심하다.
    인간의 간사함이란
    그게 말이냐 똥이냐? ㅋㅋ 폭발 ㅋㅋ
    저기 아파트 주민들에게 변전소 이전 비용을 받아 옮기던지 아니면 전기료와 철도 이용료를 200프로 인상해서 받아야한다

  • @user-bv5vq8wu2w
    @user-bv5vq8wu2w Před 22 dny +120

    서울에서는 사용하는 전기는 어디서 올까요? 그곳에 사람들 살고 있습니다. 그사람들은 걱정 안하는가요? 서울에서 쓰는 전기 서울에 발전소 지어라.. 왜 다른 지자체 주민에게 피해를 줍니까.

    • @IT_Engineer_86
      @IT_Engineer_86 Před 21 dnem

      서울 전기 서울서 만듭니다만.....?
      추가.
      글 이해 못하는 사람들 많아서 추가로 쓰는데 덧글 자체가 서울엔 발전소가 없는 것처럼 썼길레 있다고 쓴 것이고 모두 커버한다고 쓰지도 않았음. 본인들이 곡해해놓고 이상한 말 하지 맙시다.
      그리고 본인 아이디 클릭하면 이 채널에서 쓴 글 쭉 나오니 다른 글도 확인해보시고.

    • @user-eb8zp6hg3q
      @user-eb8zp6hg3q Před 21 dnem +7

      ​@@IT_Engineer_86서울에서 전기사용량이 자체 해결이되나요? 원자력이나 수력이 없는데?

    • @furykim5363
      @furykim5363 Před 21 dnem +3

      @@IT_Engineer_86
      서울 전기를 서울에서 만든다고 생각하는 분이 있었군요.
      극히 일부 발전을 하기는 하지만, 서울에 위치한 발전 시설로는 감당이 되지 않습니다. 거의가 서해안과 동해안에서 가져오고 있는 것이지요.

    • @IT_Engineer_86
      @IT_Engineer_86 Před 21 dnem

      @@furykim5363 누가 그걸 모릅니까? 없다고 덧글 쓰니 있다고 답글 쓴거에요.

    • @IT_Engineer_86
      @IT_Engineer_86 Před 21 dnem

      @@user-eb8zp6hg3q 원자력이나 수력. 원자력은 그렇다 치고 수력이야기가 왜 나옵니까? 태양광, 풍력을 제외하고 수력은 발전량이 제일 낮습니다.

  • @user-bz1du4eu8p
    @user-bz1du4eu8p Před 22 dny +192

    저런 민원은 무시할수 있는 법안이 만들어져야합니다.

    • @user-qc7be6xx1w
      @user-qc7be6xx1w Před 22 dny +2

      지금도 그냥 무시하면 됩니다
      다만 기레기들이 저런 걸 보도랍시고하니 더더욱 지랄들 하는 거고
      이 기회 주민들 눈에 뛸려고 국회의원이나 구의원들이 전화하고
      그러다 보면 저걸 담당하는 사람들이 피곤한 거고

    • @KkF-yk4qz
      @KkF-yk4qz Před 22 dny

      고압전선의 인체유해성편집
      1979년 미국의 위스하이머 박사는 송변전소 주변에 거주하는 어린이들의 소아백혈병이 2.29배, 뇌종양이 2.4배 등 소아암 전체로 2.25배 증가했다는 분석을 내놓았다.
      1992년 스웨덴의 노벨상 심사기관인 카롤린스카 연구소는 페이칭 보고서를 통해 송전선 인근의 17세 이하 어린이의 백혈병의 발병률이 2mG (0.2µT) 이상에서는 2.7배, 3mG (0.3µT) 이상에서는 3.8배 높다고 발표했다. 스웨덴 정부는 이 보고서를 근거로 주택단지 등지의 송전탑과 고압 송전선로를 대대적으로 철거했다.[1][2]
      1994년 테리올리트 보고서에 따르면 캐나다 전력업체 종업원에 대한 역학조사 결과 변전소 종업원의 경우 폐암 발생률이 17배에 달했다.[3]
      1995년 미국 국립방사선방호위원회(NCRP)는 전자기파가 심장병, 소아백혈병 등을 유발할 수 있다고 밝히고 전자기파 자기장 노출이 2mG (0.2µT)를 넘지 않도록 권고했다.[4][5]
      1998년 미국 국립암연구소 자문위원회는 송전선 주변지역 전자기장이 인간에게 암을 일으킬 수 있는 요인으로 간주해야 한다고 판단했다.
      2001년 세계보건기구 산하 국제암연구센터(IARC)는 프랑스 리옹에서 각국 전문가로 구성된 특별위원회를 개최하여 '4mG (0.4µT)의 송전선 전자기파를 2B등급의 발암물질로 규정'했다. 살충제로 쓰이는 DDT와 유해중금속인 납(Pb)도 같은 등급에 속해 있다.[6]
      2006년 한양대 의대 김윤신 교수팀은 2002년부터 수행한 ‘송전선로 주변 학교 학생에 대한 극저주파 노출평가 연구’에서 송전선 근처의 어린이가 성장호르몬이 적고, 암발생을 억제하는 멜라토닌이 적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6]
      2007년 6월 세계보건기구(WHO)는 10년간의 분석결과를 발표했다. 전자기파에 장기노출된 어린이들의 소아백혈병 발병률이 2배로 높아진다는 일본과 미국 연구진의 연구결과를 처음으로 인정했다.[7]
      실험쥐를 대상으로 한 국내 연구진의 보고서는 강한 전자기파에 장기 노출되면 종양이 유발될 가능성이 있다고 발표했다.

    • @KkF-yk4qz
      @KkF-yk4qz Před 22 dny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서는 최소 3mG 이상의 전자기장에 24시간 노출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의 발병 확률이 최소 2배 이상 높아질 수 있습니다. 성인은 면역체계가 발달해 있지만, 어린 아이들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154,000V 고압변전소가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 건설된 사례가 없으며, 환경영향평가에서도 이에 대한 시뮬레이션이나 고압 송전선로에 대한 내용이 부족합니다. 또한 주민들에게 충분한 공청회나 설명회도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일반적으로 핸드폰이나 가정용 전기기기는 220V를 사용하지만, 154,000V 고압변전소는 이의 700배에 달하는 전압을 다룹니다. 최근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에 관한 역학조사 논문들이 계속 발표되고 있어 주민들이 반대하는 이유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GTX 청량리역의 고압변전소 설치를 막을 수 없다면 청량리역 GTX 정차는 취소되는 것이 맞습니다.

    • @KkF-yk4qz
      @KkF-yk4qz Před 21 dnem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서는 최소 3mG 이상의 전자기장에 24시간 노출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의 발병 확률이 최소 2배 이상 높아질 수 있습니다. 성인은 면역체계가 발달해 있지만, 어린 아이들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154,000V 고압변전소가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 건설된 사례가 없으며, 환경영향평가에서도 이에 대한 시뮬레이션이나 고압 송전선로에 대한 내용이 부족합니다. 또한 주민들에게 충분한 공청회나 설명회도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일반적으로 핸드폰이나 가정용 전기기기는 220V를 사용하지만, 154,000V 고압변전소는 이의 700배에 달하는 전압을 다룹니다. 최근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에 관한 역학조사 논문들이 계속 발표되고 있어 주민들이 반대하는 이유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GTX 청량리역의 고압변전소 설치를 막을 수 없다면 청량리역 GTX 정차는 취소되는 것이 맞습니다.

  • @molluhaG
    @molluhaG Před 11 dny +1

    그냥 솔직하게 집값 떨어질까봐 무섭다고 하지. 전자파가 문제면 그 위에 사무실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다 죽겠네.

  • @user-qw3bb9ti7t
    @user-qw3bb9ti7t Před 22 dny +1

    저런 인간들이 원하는대로 쓰레기부터 전기까지 각자 자기동네서 만들어쓰고 처리 하는걸로 하자.

  • @RobertCho-yk7gf
    @RobertCho-yk7gf Před 22 dny +69

    지상에 건설하면 모를까, 지하에 파묻는데 왜??? 이과출신 아니라 모르나?? 전기가 땅에 들어가면 그걸로 끝이다..벼락논리 몰라?

  • @othervinyl
    @othervinyl Před 22 dny +88

    발전소란 발전소는 다 지방에다 세우면서 유해한 물질이 나올 것 '같다'고 반대 ㅋㅋㅋㅋ

    • @user-xu8sk2nt9m
      @user-xu8sk2nt9m Před 21 dnem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서는 최소 3mG 이상의 전자기장에 24시간 노출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의 발병 확률이 최소 2배 이상 높아질 수 있습니다. 성인은 면역체계가 발달해 있지만, 어린 아이들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154,000V 고압변전소가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 건설된 사례가 없으며, 환경영향평가에서도 이에 대한 시뮬레이션이나 고압 송전선로에 대한 내용이 부족합니다. 또한 주민들에게 충분한 공청회나 설명회도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일반적으로 핸드폰이나 가정용 전기기기는 220V를 사용하지만, 154,000V 고압변전소는 이의 700배에 달하는 전압을 다룹니다. 최근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에 관한 역학조사 논문들이 계속 발표되고 있어 주민들이 반대하는 이유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GTX 청량리역의 고압변전소 설치를 막을 수 없다면 청량리역 GTX 정차는 취소되는 것이 맞습니다.
      추가적으로, 154kV 고압변전소를 지하에 설치해도 극저주파의 차폐효과는 미미합니다. 지하 설치는 전자기장의 영향을 완전히 차단할 수 없기 때문에, 어린이들의 건강에 대한 위험은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고압변전소의 설치는 더욱 신중하게 검토되어야 하며,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대안이 마련되지 않는 한, 설치를 강행하는 것은 부적절합니다.
      ---------------------------------ChatGPT 답변 내용-----------------------------------------
      ChatGPT보다 무식한대 아는 척 좀 하지 말자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im8ki8ny5b
    @user-im8ki8ny5b Před 19 dny +1

    너희 아파트 단지안에도 전기실이 있고 변압기가 있다 이놈들아

  • @wgk8969
    @wgk8969 Před 20 dny +1

    중요한건 집값 때문에 GTX는 포기 못한다는 점 ㅋㅋㅋ 대체 어느 장단에 맞춰야하냐 ㅋ

  • @user-ht6ns9bz2c
    @user-ht6ns9bz2c Před 22 dny +112

    개판이네 전철은 집값오른다 개꿀이라하고 그 전철운용을 위한 시설물은 싫다하면 전철 이용안하고 구경만 할려고 저러나 ㅋㅋㅋㅋ

    • @user-xu8sk2nt9m
      @user-xu8sk2nt9m Před 21 dnem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서는 최소 3mG 이상의 전자기장에 24시간 노출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의 발병 확률이 최소 2배 이상 높아질 수 있습니다. 성인은 면역체계가 발달해 있지만, 어린 아이들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154,000V 고압변전소가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 건설된 사례가 없으며, 환경영향평가에서도 이에 대한 시뮬레이션이나 고압 송전선로에 대한 내용이 부족합니다. 또한 주민들에게 충분한 공청회나 설명회도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일반적으로 핸드폰이나 가정용 전기기기는 220V를 사용하지만, 154,000V 고압변전소는 이의 700배에 달하는 전압을 다룹니다. 최근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에 관한 역학조사 논문들이 계속 발표되고 있어 주민들이 반대하는 이유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GTX 청량리역의 고압변전소 설치를 막을 수 없다면 청량리역 GTX 정차는 취소되는 것이 맞습니다.
      추가적으로, 154kV 고압변전소를 지하에 설치해도 극저주파의 차폐효과는 미미합니다. 지하 설치는 전자기장의 영향을 완전히 차단할 수 없기 때문에, 어린이들의 건강에 대한 위험은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고압변전소의 설치는 더욱 신중하게 검토되어야 하며,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대안이 마련되지 않는 한, 설치를 강행하는 것은 부적절합니다.
      ---------------------------------ChatGPT 답변 내용-----------------------------------------
      ChatGPT보다 무식한대 아는 척 좀 하지 말자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3489754
    @3489754 Před 22 dny +128

    저 모든 반대에 대한 결말은 결국 집값 ㅋㅋㅋㅋㅋ

    • @user-xu8sk2nt9m
      @user-xu8sk2nt9m Před 21 dnem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서는 최소 3mG 이상의 전자기장에 24시간 노출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의 발병 확률이 최소 2배 이상 높아질 수 있습니다. 성인은 면역체계가 발달해 있지만, 어린 아이들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154,000V 고압변전소가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 건설된 사례가 없으며, 환경영향평가에서도 이에 대한 시뮬레이션이나 고압 송전선로에 대한 내용이 부족합니다. 또한 주민들에게 충분한 공청회나 설명회도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일반적으로 핸드폰이나 가정용 전기기기는 220V를 사용하지만, 154,000V 고압변전소는 이의 700배에 달하는 전압을 다룹니다. 최근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에 관한 역학조사 논문들이 계속 발표되고 있어 주민들이 반대하는 이유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GTX 청량리역의 고압변전소 설치를 막을 수 없다면 청량리역 GTX 정차는 취소되는 것이 맞습니다.
      추가적으로, 154kV 고압변전소를 지하에 설치해도 극저주파의 차폐효과는 미미합니다. 지하 설치는 전자기장의 영향을 완전히 차단할 수 없기 때문에, 어린이들의 건강에 대한 위험은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고압변전소의 설치는 더욱 신중하게 검토되어야 하며,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대안이 마련되지 않는 한, 설치를 강행하는 것은 부적절합니다.
      ---------------------------------ChatGPT 답변 내용-----------------------------------------
      ChatGPT보다 무식한대 아는 척 좀 하지 말자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xu8sk2nt9m
      @user-xu8sk2nt9m Před 21 dnem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서는 최소 3mG 이상의 전자기장에 24시간 노출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의 발병 확률이 최소 2배 이상 높아질 수 있습니다. 성인은 면역체계가 발달해 있지만, 어린 아이들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154,000V 고압변전소가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 건설된 사례가 없으며, 환경영향평가에서도 이에 대한 시뮬레이션이나 고압 송전선로에 대한 내용이 부족합니다. 또한 주민들에게 충분한 공청회나 설명회도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일반적으로 핸드폰이나 가정용 전기기기는 220V를 사용하지만, 154,000V 고압변전소는 이의 700배에 달하는 전압을 다룹니다. 최근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에 관한 역학조사 논문들이 계속 발표되고 있어 주민들이 반대하는 이유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GTX 청량리역의 고압변전소 설치를 막을 수 없다면 청량리역 GTX 정차는 취소되는 것이 맞습니다.
      추가적으로, 154kV 고압변전소를 지하에 설치해도 극저주파의 차폐효과는 미미합니다. 지하 설치는 전자기장의 영향을 완전히 차단할 수 없기 때문에, 어린이들의 건강에 대한 위험은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고압변전소의 설치는 더욱 신중하게 검토되어야 하며,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대안이 마련되지 않는 한, 설치를 강행하는 것은 부적절합니다.
      --------------------------------ChatGPT 답변 내용----------------------------------------
      ChatGPT보다 무식한대 아는 척 좀 하지 말자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4D-HUMAN
    @4D-HUMAN Před 10 dny

    어떤 무식한 것들은 고압전선 높이나 깊이를 딱딱 규정에 맞게 해줄것이라고 굳게 믿는 것들도 있고
    설령 규정에 맞게 한다고 해도 거기에는 여러 변수가 빠져 있으며,
    과학적인 인과관계 보다 경험에서 우러나오는 사건들이 있지.

  • @user-tq7jr3ri2y
    @user-tq7jr3ri2y Před 19 dny

    진짜 웃긴다~ 혜택은 다 누리면서 그로인한 조금이라도 작은 피해는 볼 수 없다는 심보가 참 가관이다.

  • @user-eu1ch2wc7k
    @user-eu1ch2wc7k Před 22 dny +95

    아파트 산다면서 바보들만 거주하나?
    아파트 내 에도 변전소가 있어서 지들쓰는 전기 변전 해서 쓰고 있으면서
    변전소 걱정을 하는건 님비현상 일 뿐이다.

    • @user-dv7hs5pg8v
      @user-dv7hs5pg8v Před 22 dny +7

      알면서 그러는 것임
      보상금 달라고...

    • @user-qs6bu5qd6e
      @user-qs6bu5qd6e Před 22 dny +3

      나도 이얘기 할랫는데ㅋㅋㅋ저기 사는 무뇌들 논리면 아파트도 살면안된다 ㅋㄱ

  • @ahnys1134
    @ahnys1134 Před 22 dny +23

    편리함은 내꺼..
    불편함은 남꺼...

    • @NewTech_AI
      @NewTech_AI Před 21 dnem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서는 최소 3mG 이상의 전자기장에 24시간 노출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의 발병 확률이 최소 2배 이상 높아질 수 있습니다. 성인은 면역체계가 발달해 있지만, 어린 아이들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154,000V 고압변전소가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 건설된 사례가 없으며, 환경영향평가에서도 이에 대한 시뮬레이션이나 고압 송전선로에 대한 내용이 부족합니다. 또한 주민들에게 충분한 공청회나 설명회도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일반적으로 핸드폰이나 가정용 전기기기는 220V를 사용하지만, 154,000V 고압변전소는 이의 700배에 달하는 전압을 다룹니다. 최근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에 관한 역학조사 논문들이 계속 발표되고 있어 주민들이 반대하는 이유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GTX 청량리역의 고압변전소 설치를 막을 수 없다면 청량리역 GTX 정차는 취소되는 것이 맞습니다.
      추가적으로, 154kV 고압변전소를 지하에 설치해도 극저주파의 차폐효과는 미미합니다. 지하 설치는 전자기장의 영향을 완전히 차단할 수 없기 때문에, 어린이들의 건강에 대한 위험은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고압변전소의 설치는 더욱 신중하게 검토되어야 하며,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대안이 마련되지 않는 한, 설치를 강행하는 것은 부적절합니다.
      ----------------------------------ChatGPT 답변 내용------------------------------------------
      ChatGPT보다 무식한대 아는 척 좀 하지 말자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hanakim8861
    @hanakim8861 Před 21 dnem +2

    지하에 만든다는데 그것도 불만이냐!!

  • @Diorasis_IV
    @Diorasis_IV Před 21 dnem +1

    죤나게 이기적이네 ㅡㅡ

  • @cheollee2314
    @cheollee2314 Před 22 dny +77

    변전소 폭발하면 어떻게 하냐니~~~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장난하냐 그냥 시비잖아 이건 중학교 교육 문제 아니냐??? 세상에 뭔 이리 머저리 들이 많어 ㅋㅋㅋ

  • @user-ph7sj3ox5x
    @user-ph7sj3ox5x Před 22 dny +61

    GTX 그럼 취소해야지

    • @NewTech_AI
      @NewTech_AI Před 21 dnem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서는 최소 3mG 이상의 전자기장에 24시간 노출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의 발병 확률이 최소 2배 이상 높아질 수 있습니다. 성인은 면역체계가 발달해 있지만, 어린 아이들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154,000V 고압변전소가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 건설된 사례가 없으며, 환경영향평가에서도 이에 대한 시뮬레이션이나 고압 송전선로에 대한 내용이 부족합니다. 또한 주민들에게 충분한 공청회나 설명회도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일반적으로 핸드폰이나 가정용 전기기기는 220V를 사용하지만, 154,000V 고압변전소는 이의 700배에 달하는 전압을 다룹니다. 최근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에 관한 역학조사 논문들이 계속 발표되고 있어 주민들이 반대하는 이유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GTX 청량리역의 고압변전소 설치를 막을 수 없다면 청량리역 GTX 정차는 취소되는 것이 맞습니다.
      추가적으로, 154kV 고압변전소를 지하에 설치해도 극저주파의 차폐효과는 미미합니다. 지하 설치는 전자기장의 영향을 완전히 차단할 수 없기 때문에, 어린이들의 건강에 대한 위험은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고압변전소의 설치는 더욱 신중하게 검토되어야 하며,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대안이 마련되지 않는 한, 설치를 강행하는 것은 부적절합니다.
      ----------------------------------ChatGPT 답변 내용------------------------------------------
      ChatGPT보다 무식한대 아는 척 좀 하지 말자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vg3vi2cz9u
      @user-vg3vi2cz9u Před 21 dnem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서는 최소 3mG 이상의 전자기장에 24시간 노출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의 발병 확률이 최소 2배 이상 높아질 수 있습니다. 성인은 면역체계가 발달해 있지만, 어린 아이들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154,000V 고압변전소가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 건설된 사례가 없으며, 환경영향평가에서도 이에 대한 시뮬레이션이나 고압 송전선로에 대한 내용이 부족합니다. 또한 주민들에게 충분한 공청회나 설명회도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일반적으로 핸드폰이나 가정용 전기기기는 220V를 사용하지만, 154,000V 고압변전소는 이의 700배에 달하는 전압을 다룹니다. 최근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에 관한 역학조사 논문들이 계속 발표되고 있어 주민들이 반대하는 이유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GTX 청량리역의 고압변전소 설치를 막을 수 없다면 청량리역 GTX 정차는 취소되는 것이 맞습니다.
      추가적으로, 154kV 고압변전소를 지하에 설치해도 극저주파의 차폐효과는 미미합니다. 지하 설치는 전자기장의 영향을 완전히 차단할 수 없기 때문에, 어린이들의 건강에 대한 위험은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고압변전소의 설치는 더욱 신중하게 검토되어야 하며,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대안이 마련되지 않는 한, 설치를 강행하는 것은 부적절합니다.
      ----------------------------------ChatGPT 답변 내용------------------------------------------
      ChatGPT보다 무식한대 아는 척 좀 하지 말자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xu8sk2nt9m
      @user-xu8sk2nt9m Před 21 dnem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서는 최소 3mG 이상의 전자기장에 24시간 노출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의 발병 확률이 최소 2배 이상 높아질 수 있습니다. 성인은 면역체계가 발달해 있지만, 어린 아이들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154,000V 고압변전소가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 건설된 사례가 없으며, 환경영향평가에서도 이에 대한 시뮬레이션이나 고압 송전선로에 대한 내용이 부족합니다. 또한 주민들에게 충분한 공청회나 설명회도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일반적으로 핸드폰이나 가정용 전기기기는 220V를 사용하지만, 154,000V 고압변전소는 이의 700배에 달하는 전압을 다룹니다. 최근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에 관한 역학조사 논문들이 계속 발표되고 있어 주민들이 반대하는 이유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GTX 청량리역의 고압변전소 설치를 막을 수 없다면 청량리역 GTX 정차는 취소되는 것이 맞습니다.
      추가적으로, 154kV 고압변전소를 지하에 설치해도 극저주파의 차폐효과는 미미합니다. 지하 설치는 전자기장의 영향을 완전히 차단할 수 없기 때문에, 어린이들의 건강에 대한 위험은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고압변전소의 설치는 더욱 신중하게 검토되어야 하며,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대안이 마련되지 않는 한, 설치를 강행하는 것은 부적절합니다.
      ---------------------------------ChatGPT 답변 내용-----------------------------------------
      ChatGPT보다 무식한대 아는 척 좀 하지 말자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pg4zf1ky4m
    @user-pg4zf1ky4m Před 19 dny

    이런 복잡한 도심속에서 앞으로 곳에 누가사나요 ?

  • @carpediem0943
    @carpediem0943 Před 21 dnem +1

    히여튼 무식한것들이 꼭 저러지 이사가세요

  • @user-ph5qx1hc1v
    @user-ph5qx1hc1v Před 22 dny +35

    발전소가 없어서 전기도 못만드는 서울 수도권 지역에서 자기집 앞마당은 안된다고하고 다른곳은 괜찮냐?
    지방에 있는 원자력,화력 발전소로 전기 이용하면서 고마운줄 알아야지 한강에 원자력 발전소 지으면 아주 난리나긋네.

  • @user-sg1qc5pn6g
    @user-sg1qc5pn6g Před 22 dny +167

    주민들 정말 웃기는듯

  • @zenjjang999
    @zenjjang999 Před 21 dnem

    전기는 어떻게 쓰나?

  • @chevak6913
    @chevak6913 Před 21 dnem

    진짜 탐욕 그 자체다ㅋㅋ 어떻게 저런 인간들이랑 같은 나라에 살고 있는거냐...

  • @anoldkim12
    @anoldkim12 Před 22 dny +71

    저런것 좀 들어주지마라 애당초 아파트 부지에다가 짓는것도 아닌데 의견수렴이 대체 왜 필요하냐 ㅋㅋ

  • @johnpx4541
    @johnpx4541 Před 22 dny +29

    에휴 진짜 주민들 너무하네 이기적이다정말

    • @NewTech_AI
      @NewTech_AI Před 21 dnem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서는 최소 3mG 이상의 전자기장에 24시간 노출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의 발병 확률이 최소 2배 이상 높아질 수 있습니다. 성인은 면역체계가 발달해 있지만, 어린 아이들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154,000V 고압변전소가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 건설된 사례가 없으며, 환경영향평가에서도 이에 대한 시뮬레이션이나 고압 송전선로에 대한 내용이 부족합니다. 또한 주민들에게 충분한 공청회나 설명회도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일반적으로 핸드폰이나 가정용 전기기기는 220V를 사용하지만, 154,000V 고압변전소는 이의 700배에 달하는 전압을 다룹니다. 최근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에 관한 역학조사 논문들이 계속 발표되고 있어 주민들이 반대하는 이유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GTX 청량리역의 고압변전소 설치를 막을 수 없다면 청량리역 GTX 정차는 취소되는 것이 맞습니다.
      추가적으로, 154kV 고압변전소를 지하에 설치해도 극저주파의 차폐효과는 미미합니다. 지하 설치는 전자기장의 영향을 완전히 차단할 수 없기 때문에, 어린이들의 건강에 대한 위험은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고압변전소의 설치는 더욱 신중하게 검토되어야 하며,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대안이 마련되지 않는 한, 설치를 강행하는 것은 부적절합니다.
      ----------------------------------ChatGPT 답변 내용------------------------------------------
      ChatGPT보다 무식한대 아는 척 좀 하지 말자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dawnizero
    @dawnizero Před 21 dnem +1

    변전소 못짓게 하면 그곳 역을 폐쇄하면 되겟네

  • @user-hs7xt7io8l
    @user-hs7xt7io8l Před 4 dny

    안전한 변전소 위에 직원들 집지어서 살게 해라

  • @user-hf5wh3ll6w
    @user-hf5wh3ll6w Před 22 dny +48

    GTX 안하면 되겠네. 간단하네.
    아니면 청량리 건너뛰거나.

    • @NewTech_AI
      @NewTech_AI Před 21 dnem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서는 최소 3mG 이상의 전자기장에 24시간 노출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의 발병 확률이 최소 2배 이상 높아질 수 있습니다. 성인은 면역체계가 발달해 있지만, 어린 아이들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154,000V 고압변전소가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 건설된 사례가 없으며, 환경영향평가에서도 이에 대한 시뮬레이션이나 고압 송전선로에 대한 내용이 부족합니다. 또한 주민들에게 충분한 공청회나 설명회도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일반적으로 핸드폰이나 가정용 전기기기는 220V를 사용하지만, 154,000V 고압변전소는 이의 700배에 달하는 전압을 다룹니다. 최근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에 관한 역학조사 논문들이 계속 발표되고 있어 주민들이 반대하는 이유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GTX 청량리역의 고압변전소 설치를 막을 수 없다면 청량리역 GTX 정차는 취소되는 것이 맞습니다.
      추가적으로, 154kV 고압변전소를 지하에 설치해도 극저주파의 차폐효과는 미미합니다. 지하 설치는 전자기장의 영향을 완전히 차단할 수 없기 때문에, 어린이들의 건강에 대한 위험은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고압변전소의 설치는 더욱 신중하게 검토되어야 하며,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대안이 마련되지 않는 한, 설치를 강행하는 것은 부적절합니다.
      ----------------------------------ChatGPT 답변 내용------------------------------------------
      ChatGPT보다 무식한대 아는 척 좀 하지 말자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admssdhdhsh
    @admssdhdhsh Před 22 dny +47

    전철 혜택은 보고 싶은데 기차 지나다녀서 시끄럽다고 항의하는 꼴이지 ㅋㅋ 지긋지긋하다 진짜

    • @KkF-yk4qz
      @KkF-yk4qz Před 21 dnem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서는 최소 3mG 이상의 전자기장에 24시간 노출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의 발병 확률이 최소 2배 이상 높아질 수 있습니다. 성인은 면역체계가 발달해 있지만, 어린 아이들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154,000V 고압변전소가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 건설된 사례가 없으며, 환경영향평가에서도 이에 대한 시뮬레이션이나 고압 송전선로에 대한 내용이 부족합니다. 또한 주민들에게 충분한 공청회나 설명회도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일반적으로 핸드폰이나 가정용 전기기기는 220V를 사용하지만, 154,000V 고압변전소는 이의 700배에 달하는 전압을 다룹니다. 최근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에 관한 역학조사 논문들이 계속 발표되고 있어 주민들이 반대하는 이유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GTX 청량리역의 고압변전소 설치를 막을 수 없다면 청량리역 GTX 정차는 취소되는 것이 맞습니다.

    • @NewTech_AI
      @NewTech_AI Před 21 dnem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서는 최소 3mG 이상의 전자기장에 24시간 노출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의 발병 확률이 최소 2배 이상 높아질 수 있습니다. 성인은 면역체계가 발달해 있지만, 어린 아이들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154,000V 고압변전소가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 건설된 사례가 없으며, 환경영향평가에서도 이에 대한 시뮬레이션이나 고압 송전선로에 대한 내용이 부족합니다. 또한 주민들에게 충분한 공청회나 설명회도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일반적으로 핸드폰이나 가정용 전기기기는 220V를 사용하지만, 154,000V 고압변전소는 이의 700배에 달하는 전압을 다룹니다. 최근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에 관한 역학조사 논문들이 계속 발표되고 있어 주민들이 반대하는 이유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GTX 청량리역의 고압변전소 설치를 막을 수 없다면 청량리역 GTX 정차는 취소되는 것이 맞습니다.
      추가적으로, 154kV 고압변전소를 지하에 설치해도 극저주파의 차폐효과는 미미합니다. 지하 설치는 전자기장의 영향을 완전히 차단할 수 없기 때문에, 어린이들의 건강에 대한 위험은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고압변전소의 설치는 더욱 신중하게 검토되어야 하며,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대안이 마련되지 않는 한, 설치를 강행하는 것은 부적절합니다.
      ----------------------------------ChatGPT 답변 내용------------------------------------------
      ChatGPT보다 무식한대 아는 척 좀 하지 말자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anthem08
    @anthem08 Před 21 dnem

    장단점이 있는게 세상이야...감수하고 살어 역세권 누리면서 살면 그정도는 감수해야지

  • @lododoss
    @lododoss Před 21 dnem

    .....너무 이기적이네요
    역세권은 누리고 싶고 변전소는 검증되지도 않은
    전자파가 유해해서 싫다니..

  • @TV-tg8vl
    @TV-tg8vl Před 22 dny +45

    30미터 떨어졌고 지하에 고압이 들어오는건 별 상관이 없음
    반대를 위한 반대라고 봄
    과학적으로 접근해야지

    • @user-xu8sk2nt9m
      @user-xu8sk2nt9m Před 21 dnem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서는 최소 3mG 이상의 전자기장에 24시간 노출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의 발병 확률이 최소 2배 이상 높아질 수 있습니다. 성인은 면역체계가 발달해 있지만, 어린 아이들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154,000V 고압변전소가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 건설된 사례가 없으며, 환경영향평가에서도 이에 대한 시뮬레이션이나 고압 송전선로에 대한 내용이 부족합니다. 또한 주민들에게 충분한 공청회나 설명회도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일반적으로 핸드폰이나 가정용 전기기기는 220V를 사용하지만, 154,000V 고압변전소는 이의 700배에 달하는 전압을 다룹니다. 최근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에 관한 역학조사 논문들이 계속 발표되고 있어 주민들이 반대하는 이유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GTX 청량리역의 고압변전소 설치를 막을 수 없다면 청량리역 GTX 정차는 취소되는 것이 맞습니다.

    • @user-vy8zy7to6x
      @user-vy8zy7to6x Před 21 dnem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서는 최소 3mG 이상의 전자기장에 24시간 노출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의 발병 확률이 최소 2배 이상 높아질 수 있습니다. 성인은 면역체계가 발달해 있지만, 어린 아이들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154,000V 고압변전소가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 건설된 사례가 없으며, 환경영향평가에서도 이에 대한 시뮬레이션이나 고압 송전선로에 대한 내용이 부족합니다. 또한 주민들에게 충분한 공청회나 설명회도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일반적으로 핸드폰이나 가정용 전기기기는 220V를 사용하지만, 154,000V 고압변전소는 이의 700배에 달하는 전압을 다룹니다. 최근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에 관한 역학조사 논문들이 계속 발표되고 있어 주민들이 반대하는 이유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GTX 청량리역의 고압변전소 설치를 막을 수 없다면 청량리역 GTX 정차는 취소되는 것이 맞습니다.

    • @user-vg3vi2cz9u
      @user-vg3vi2cz9u Před 21 dnem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서는 최소 3mG 이상의 전자기장에 24시간 노출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의 발병 확률이 최소 2배 이상 높아질 수 있습니다. 성인은 면역체계가 발달해 있지만, 어린 아이들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154,000V 고압변전소가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 건설된 사례가 없으며, 환경영향평가에서도 이에 대한 시뮬레이션이나 고압 송전선로에 대한 내용이 부족합니다. 또한 주민들에게 충분한 공청회나 설명회도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일반적으로 핸드폰이나 가정용 전기기기는 220V를 사용하지만, 154,000V 고압변전소는 이의 700배에 달하는 전압을 다룹니다. 최근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에 관한 역학조사 논문들이 계속 발표되고 있어 주민들이 반대하는 이유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GTX 청량리역의 고압변전소 설치를 막을 수 없다면 청량리역 GTX 정차는 취소되는 것이 맞습니다.
      추가적으로, 154kV 고압변전소를 지하에 설치해도 극저주파의 차폐효과는 미미합니다. 지하 설치는 전자기장의 영향을 완전히 차단할 수 없기 때문에, 어린이들의 건강에 대한 위험은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고압변전소의 설치는 더욱 신중하게 검토되어야 하며,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대안이 마련되지 않는 한, 설치를 강행하는 것은 부적절합니다.
      ----------------------------------ChatGPT 답변 내용------------------------------------------
      ChatGPT보다 무식한대 아는 척 좀 하지 말자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xu8sk2nt9m
      @user-xu8sk2nt9m Před 21 dnem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서는 최소 3mG 이상의 전자기장에 24시간 노출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의 발병 확률이 최소 2배 이상 높아질 수 있습니다. 성인은 면역체계가 발달해 있지만, 어린 아이들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154,000V 고압변전소가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 건설된 사례가 없으며, 환경영향평가에서도 이에 대한 시뮬레이션이나 고압 송전선로에 대한 내용이 부족합니다. 또한 주민들에게 충분한 공청회나 설명회도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일반적으로 핸드폰이나 가정용 전기기기는 220V를 사용하지만, 154,000V 고압변전소는 이의 700배에 달하는 전압을 다룹니다. 최근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에 관한 역학조사 논문들이 계속 발표되고 있어 주민들이 반대하는 이유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GTX 청량리역의 고압변전소 설치를 막을 수 없다면 청량리역 GTX 정차는 취소되는 것이 맞습니다.
      추가적으로, 154kV 고압변전소를 지하에 설치해도 극저주파의 차폐효과는 미미합니다. 지하 설치는 전자기장의 영향을 완전히 차단할 수 없기 때문에, 어린이들의 건강에 대한 위험은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고압변전소의 설치는 더욱 신중하게 검토되어야 하며,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대안이 마련되지 않는 한, 설치를 강행하는 것은 부적절합니다.
      ---------------------------------ChatGPT 답변 내용-----------------------------------------
      ChatGPT보다 무식한대 아는 척 좀 하지 말자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xu8sk2nt9m
      @user-xu8sk2nt9m Před 21 dnem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서는 최소 3mG 이상의 전자기장에 24시간 노출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의 발병 확률이 최소 2배 이상 높아질 수 있습니다. 성인은 면역체계가 발달해 있지만, 어린 아이들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154,000V 고압변전소가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 건설된 사례가 없으며, 환경영향평가에서도 이에 대한 시뮬레이션이나 고압 송전선로에 대한 내용이 부족합니다. 또한 주민들에게 충분한 공청회나 설명회도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일반적으로 핸드폰이나 가정용 전기기기는 220V를 사용하지만, 154,000V 고압변전소는 이의 700배에 달하는 전압을 다룹니다. 최근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에 관한 역학조사 논문들이 계속 발표되고 있어 주민들이 반대하는 이유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GTX 청량리역의 고압변전소 설치를 막을 수 없다면 청량리역 GTX 정차는 취소되는 것이 맞습니다.
      추가적으로, 154kV 고압변전소를 지하에 설치해도 극저주파의 차폐효과는 미미합니다. 지하 설치는 전자기장의 영향을 완전히 차단할 수 없기 때문에, 어린이들의 건강에 대한 위험은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고압변전소의 설치는 더욱 신중하게 검토되어야 하며,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대안이 마련되지 않는 한, 설치를 강행하는 것은 부적절합니다.
      --------------------------------ChatGPT 답변 내용----------------------------------------
      ChatGPT보다 무식한대 아는 척 좀 하지 말자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HSSys-ng1yf
    @HSSys-ng1yf Před 22 dny +42

    결론은 쌍방(주민, 철도청)을 위해서는 GTX역 설치 취소가 답 일듯하네요.
    역 설치에 혜택은 받아야겠고, GTX 설치에 따른 필수 기간시설인 변전소 설치 반대이면, 너무 욕심이 과한거죠.
    변전소 설치가 싫다면 GTX역 설치도 없어야 되겠죠.
    그럼, 당연 변전소 설치 건도 취소 될겁니다.
    또, GTX역 설치해 달라고 민원이나 데모를 하실껀가요?

  • @larryman1536
    @larryman1536 Před 19 dny +1

    누가 기차역 옆에 아파트를 사래?

  • @user-dx8iz6rk5d
    @user-dx8iz6rk5d Před 21 dnem

    불의는 참아도 불이익은 못 참지!!!

  • @shwuhdj2ijdjkvkdkeks
    @shwuhdj2ijdjkvkdkeks Před 22 dny +42

    저런 사람들이 괴담을 만드는 것임. 지상이 아니고 지하임에도 저렇게 하는 건 아니지.

  • @WL-kp8nu
    @WL-kp8nu Před 22 dny +76

    그럼 gtx 안하면 되겟네 ㅋ

  • @jayhryoo
    @jayhryoo Před 21 dnem

    화재와 폭발이 왜 공원에서 일어나?

  • @user-tg9eq3me2j
    @user-tg9eq3me2j Před 5 dny

    그냥 취소 하고 앞으로는 재개발도 도시 재생 사업도 하지 마세요

  • @user-sv2nk5qs6d
    @user-sv2nk5qs6d Před 22 dny +93

    전철 앞 아파트 누가 구입하래~~~~~~~~~~~~~
    그럼 그곳에 빡촌 영업했으면 좋겠다

  • @park1843
    @park1843 Před 22 dny +17

    이미 청량리역에 2만5천볼트 전기가 흐르는것은어떻게 설명할건지 거기에 전철하고 KTX이음 전부 다니는데
    그것도 없애달라고해야겠네

    • @user-xu8sk2nt9m
      @user-xu8sk2nt9m Před 21 dnem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서는 최소 3mG 이상의 전자기장에 24시간 노출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의 발병 확률이 최소 2배 이상 높아질 수 있습니다. 성인은 면역체계가 발달해 있지만, 어린 아이들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154,000V 고압변전소가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 건설된 사례가 없으며, 환경영향평가에서도 이에 대한 시뮬레이션이나 고압 송전선로에 대한 내용이 부족합니다. 또한 주민들에게 충분한 공청회나 설명회도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일반적으로 핸드폰이나 가정용 전기기기는 220V를 사용하지만, 154,000V 고압변전소는 이의 700배에 달하는 전압을 다룹니다. 최근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에 관한 역학조사 논문들이 계속 발표되고 있어 주민들이 반대하는 이유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GTX 청량리역의 고압변전소 설치를 막을 수 없다면 청량리역 GTX 정차는 취소되는 것이 맞습니다.

  • @vierwuenscheansuniversum

    아오 진짜 과학적으로 문제 하나도 없다자너 혜택은 다 보고 싶고 피해는 만들어서라도 안보고 싶다는 거잖아

  • @63CheolK
    @63CheolK Před 8 dny

    철도계획 백지화하고 추가세금 들어도 변전소 수용되는 지역으로 옮기면 되겠네요.
    기존 부지는 세금낭비니 일단 공사중단으로..

  • @user-yi2xg2yf7v
    @user-yi2xg2yf7v Před 22 dny +27

    변전소를 아주아주 넓고, 높고 크게 지어주세요~^^ 👍

    • @user-vg3vi2cz9u
      @user-vg3vi2cz9u Před 21 dnem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서는 최소 3mG 이상의 전자기장에 24시간 노출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의 발병 확률이 최소 2배 이상 높아질 수 있습니다. 성인은 면역체계가 발달해 있지만, 어린 아이들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154,000V 고압변전소가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 건설된 사례가 없으며, 환경영향평가에서도 이에 대한 시뮬레이션이나 고압 송전선로에 대한 내용이 부족합니다. 또한 주민들에게 충분한 공청회나 설명회도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일반적으로 핸드폰이나 가정용 전기기기는 220V를 사용하지만, 154,000V 고압변전소는 이의 700배에 달하는 전압을 다룹니다. 최근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에 관한 역학조사 논문들이 계속 발표되고 있어 주민들이 반대하는 이유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GTX 청량리역의 고압변전소 설치를 막을 수 없다면 청량리역 GTX 정차는 취소되는 것이 맞습니다.
      추가적으로, 154kV 고압변전소를 지하에 설치해도 극저주파의 차폐효과는 미미합니다. 지하 설치는 전자기장의 영향을 완전히 차단할 수 없기 때문에, 어린이들의 건강에 대한 위험은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고압변전소의 설치는 더욱 신중하게 검토되어야 하며,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대안이 마련되지 않는 한, 설치를 강행하는 것은 부적절합니다.
      ----------------------------------ChatGPT 답변 내용------------------------------------------
      ChatGPT보다 무식한대 아는 척 좀 하지 말자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golfssam
    @golfssam Před 22 dny +32

    무식하면.... 무섭다...

    • @user-vg3vi2cz9u
      @user-vg3vi2cz9u Před 21 dnem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서는 최소 3mG 이상의 전자기장에 24시간 노출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의 발병 확률이 최소 2배 이상 높아질 수 있습니다. 성인은 면역체계가 발달해 있지만, 어린 아이들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154,000V 고압변전소가 어린이집 앞 35미터 거리에 건설된 사례가 없으며, 환경영향평가에서도 이에 대한 시뮬레이션이나 고압 송전선로에 대한 내용이 부족합니다. 또한 주민들에게 충분한 공청회나 설명회도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일반적으로 핸드폰이나 가정용 전기기기는 220V를 사용하지만, 154,000V 고압변전소는 이의 700배에 달하는 전압을 다룹니다. 최근 소아백혈병, 소아암, 뇌종양에 관한 역학조사 논문들이 계속 발표되고 있어 주민들이 반대하는 이유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GTX 청량리역의 고압변전소 설치를 막을 수 없다면 청량리역 GTX 정차는 취소되는 것이 맞습니다.
      추가적으로, 154kV 고압변전소를 지하에 설치해도 극저주파의 차폐효과는 미미합니다. 지하 설치는 전자기장의 영향을 완전히 차단할 수 없기 때문에, 어린이들의 건강에 대한 위험은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고압변전소의 설치는 더욱 신중하게 검토되어야 하며,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대안이 마련되지 않는 한, 설치를 강행하는 것은 부적절합니다.
      ----------------------------------ChatGPT 답변 내용------------------------------------------
      ChatGPT보다 무식한대 아는 척 좀 하지 말자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wu5dp1hr5k
    @user-wu5dp1hr5k Před 21 dnem

    참! 별나네요 부끄러운줄도 모르고 ~~~

  • @user-kf3ws4pc7n
    @user-kf3ws4pc7n Před 21 dnem

    국회의원. 판사. 의사들이 밀집한 지역에 설치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