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벙커1] 고미숙 특강 '공부의 목적' - 1부

Sdílet
Vložit
  • čas přidán 10. 07. 2016
  • 2013년 초 한번 만난 이후로 다시 섭외가 어려웠던 고미숙 사부의 강연, 그리고 글쓰기 특강.

Komentáře • 53

  • @user-ke5tw2df6v
    @user-ke5tw2df6v Před 3 lety +3

    고미숙 선생님의 강의는 사람의 본질에 대해 접근한 말씀이 많이 와닿습니다.
    저도 오랫동안 인생의 길을 잃고 방황하다가 어떤 스승님을 만나
    인생의 수수께끼가 풀렸어요.
    생명은 자라기 때문에 새롭고
    내생각에 머물면 죽은것이고
    죽은것이 쌓이면
    분노가 생긴다.
    # 길을 잃은 그대에게
    www.churchlife.net

  • @user-rt6yw1vd6o
    @user-rt6yw1vd6o Před 3 lety +3

    인생에 대한, 인간에 대한, 시대에 대한 대단한 통찰력이십니다~ 통찰이란 이런것이구나~

  • @BomheeCho
    @BomheeCho Před 5 lety +28

    선생님~~듣고 듣고 또 듣고 있습니다..
    사용하시는 단어 하나하나가
    너무 신선하고 재미있고 정제된 값진 보물처럼 느껴집니다.
    존경합니다^^

    • @user-uq8si1jt2n
      @user-uq8si1jt2n Před 4 lety +5

      멋지십니다.
      공감능력이 탁원하십니다.
      순수하십니다.
      정겹습니다.
      아름답습니타.

  • @wallart8801
    @wallart8801 Před 7 lety +56

    오늘 오전에 고미숙문학평론가의 교육에 대한 강의를 들었다.
    내용을 요약해보면 지구에는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이치로 운행되고 있는데 인간의 삶에도 봄 여름 가을 겨울과 같이 운행원리가 있다는 것이다. 4계절을 인간의 삶으로 풀이 하자면 소년기 청년기 장년기 노년기의 4가지의 단계가 있는데 이러한 원리로 살아야 인생을 의미있게 살았다 할 수 있고 죽음에 이르러서도 두려움이 덜 할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소년기와 청소년의 거쳐야 할 인성교육이 필요한데 그렇지 못하고 외형적인 욕망에 치우쳐 있다 보니 가식적인 면이 많고 무분별하고 감성적인 욕구에 대한 절제가 안되어 가족, 친구, 남녀관계등 대인관계에서도 문제점들이 발생하면서 현실생활의 부조화가 발생이 되어 미래의 삶의 질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현재 교육시스템 또한 이런한 만성적인 사회적인문제점을 해결하기 보다는 미래의 먹거리를 해결하기 위해 스팩을 쌓아 좋은 직장을 구하는데만 집중되있어 건전한 삶의 방향을 유도 하는데에는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평론가의 의도데로 4계절이 의미하는 인생관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소년기와 청년기에 반드시 거처야 할 요소가 있는데 이것은 인성교육과 사회전반적으로 펼처진 과잉욕구에 대한 현실적인 문제를 직시하고 대응하는 능력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스스로 자신부터 매일매일 새롭게 태어나는 정신적인 혁신과 지속적인 자아성찰이 요구되고 정신적인 면과 물질적인 면이 어느 한곳에 치우치지 않고 적절히 조화를 이루게 하는 균형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교육이 효과를 내어 꾸준히 성숙된다면 장년기란 만족할만한 인생의 결실기를 거쳐 노년기에도 삶을 정리하는데 있어 수월할 수 있으며 죽음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도 많이 해소될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감사합니다. 다시 공부하려고 요야을 해보았어요.

  • @a880208ify
    @a880208ify Před 6 lety +28

    공자가 고미숙님으로 다시 태어나셨다

  • @user-jg1hi6gp9b
    @user-jg1hi6gp9b Před 6 lety +13

    선생님 너무 멋지십니다.
    존경합니다.

  • @user-om5mi5hp3v
    @user-om5mi5hp3v Před 4 lety +4

    평생 애들을 가르치는 직업으로 하면서
    고민했던 문제들을 너무 쉽고 재밌게
    해줘서 크게 깨달음을 얻게 합니다.

  • @user-jg1hi6gp9b
    @user-jg1hi6gp9b Před 6 lety +5

    고미숙선생님
    안녕하세요.
    오늘 연대 뒷 산(안산)에 갔다 오다...선생님을 뵙게 되어서 너무 기뻤어요.
    선생님 강의를 자주 들어서 선생님 모습 보다... 목소리를 먼저 알아 볼수 있게되었습니다.

  • @jeongdonghwa9880
    @jeongdonghwa9880 Před 6 lety +24

    고쌤 명강의입니다. 현대 화폐자본주어 시스템이 인간의 몸과 마음을 상품화 했습니다. 자신의 몸도ᆞ마음도 알지못하면서 타인의 몸과 마음을 소유하려는 변태ᆞ폭력으로 변질되는 괴물이됩니다.

  • @mgl7247
    @mgl7247 Před 5 lety +8

    매순간 내가 어떤단계에 와있나를 점검해보라 이게 배움의목적이다

  • @user-tj7yk4ye5e
    @user-tj7yk4ye5e Před 7 lety +20

    새로운 시각이 생기네요
    정말좋은 강의
    많이 배움니다

  • @ILoveJungSungHa
    @ILoveJungSungHa Před 6 lety +13

    역시 고미숙 교수님!👍
    상대방(몸ㅡ생명존재), 지식까지도 소유(자랑질, 파괴)의 끝판왕
    현대인 비판~ 때로 쉽게 때로 어렵게 다가옵니다만 역시 사람답게 사는 많은 길 중 하나일뿐??

  • @yungjinlee1211
    @yungjinlee1211 Před 4 lety +1

    The Humanist, you are! It is a nourishment of my soul with your voice. The human purity, I have felt from you. It is what I have been yearning to hear. Thank you!!!

  • @olive4661
    @olive4661 Před 6 lety +8

    얼이 빠져있다.
    자기주도적인 삶.
    몸,생명.
    정말 중요한것이 무엇인지
    자신의 생명력을 쓸수 있는 현장이 필요하다.
    공부와 몸, 공부와 삶
    이시대에 필요한 질문이자 화두인거 같습니다.
    고미숙선생님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porrelli1206
    @porrelli1206 Před 5 lety +6

    존재는 접속과 창조로 채워진다~

  • @mgl7247
    @mgl7247 Před 5 lety +12

    소유는 폭력으로 연결된다!

  • @minirang_min
    @minirang_min Před 6 lety +11

    선생님
    늘 응원하고 존경합니다^^

  • @mgl7247
    @mgl7247 Před 5 lety +21

    소통하지 않는 기운은 전부 독으로 변한다!

  • @dong-yoonhyun7985
    @dong-yoonhyun7985 Před měsícem

    타인에 대한 두려움과 분노 (44:13)
    존재는 접속과 창조를 통해서만 채워진다. (55:13)
    지성이 죽음의 문제를 관통할 때 영성이 된다. (58:00)

  • @user-ko7zu8tp3p
    @user-ko7zu8tp3p Před 7 lety +7

    스리랑카 캔디에서 듣는 고미숙의 공부 특강~!
    역시~!♡

  • @mgl7247
    @mgl7247 Před 5 lety +6

    천지는 지나치게 편향되는걸 싫어한다 천지는 평범한걸 좋아한다 보편적인 것을 원한다!

  • @juneyli6678
    @juneyli6678 Před 7 lety +16

    소인배만 양산하는 사회
    공감 합니다..
    저도 이제사
    진짜 공부가 무언가
    늘 생각하면 산답니다..
    동양역학에 대한
    통찰이
    낡은 학문이 아니라
    진짜공부에 가깝더라구요.^^
    자 시작해 보시지요

    • @leemarukr
      @leemarukr Před 5 lety

      고명숙은 유학과 한의학에 빠져있다 제4차의 물결이 다가오는 지금. 사고방식은 위험하다

  • @user-wuuydivr3849
    @user-wuuydivr3849 Před 4 lety +2

    오전3시반 오전9시반 봄
    오전9시반 오후3시반 여름
    오후3시반 오후9시반 가을
    오후9시반 오전 3시반 겨울

  • @user-hx7cs4cc2u
    @user-hx7cs4cc2u Před 4 lety +2

    영상,영화,cg 쪽에서 30대에 돌연사 하는 분많죠. 이유가 있었네요.

  • @user-pk1cl8hx5i
    @user-pk1cl8hx5i Před 7 lety +6

    진정한 공부와 출세에 대해서 생각해 보게 됩니다.

  • @mgkim3297
    @mgkim3297 Před 5 lety +4

    오호 죽음을 돌파한 지성!

  • @user-gp9rz6lv6d
    @user-gp9rz6lv6d Před 6 lety +4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 @skpaul9731
    @skpaul9731 Před 6 lety +4

    이미지로 나와 세상을 보기 때문에 늘 두렵고, 불안하다. 또한 과도한 이미지때문에 세상과의 접속 창조를 행할수없어 가면 갈수록 불안하고 얼이 빠져있다. 평범함의 위대함+!!!

  • @mgkim3297
    @mgkim3297 Před 5 lety +1

    요즘 20대들이 좀 그렇죠ㆍ

  • @user-vh8uh2xt2x
    @user-vh8uh2xt2x Před 5 lety +1

    2018♡10♡28
    굿.♡♡♡.

  • @user-gp9rz6lv6d
    @user-gp9rz6lv6d Před 6 lety +1

    안녕하세요

  • @user-gp9rz6lv6d
    @user-gp9rz6lv6d Před 6 lety +3

    안뇽

  • @user-sd7iz7lm2t
    @user-sd7iz7lm2t Před 5 lety +1

    Zombie

  • @user-ih5tx2pn1z
    @user-ih5tx2pn1z Před 6 lety

    요즘 청년들이 정기가없다?라는 표현은 세상꼬라지를 보고 하신말씀인듯 나 보다 우리아이들은 너무너무 정기가 넘치려한다 치열하다 ㅠ

  • @user-gp9rz6lv6d
    @user-gp9rz6lv6d Před 6 lety +2

    언뇽하세요

  • @user-gp9rz6lv6d
    @user-gp9rz6lv6d Před 6 lety +1

    @

  • @yousin8570
    @yousin8570 Před 7 lety

    처음

  • @ludwigwittgenstein9243

    돈 벌려고 하는 것.

  • @Kob-yj3ke
    @Kob-yj3ke Před 5 lety +2

    참 답답한 얘기하시너
    삶의 기본이 살아야 합니다
    매슬로우의 욕구단계설도
    모르시나요
    물질적으로 풍요로운것 같지만
    그 풍료움이 불안하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어찌보면 오히려 기본적인 욕구가 충족되지 않는 사회입니다
    그런데 어떻게 자식을 낳나요
    그리고 세상의 정보가 너무많아
    계급의 이동이 없는 사회로의
    진입이라 자식놓기가 두려울 따름이지요
    자식이 또다시 하위계급으로 살아아가기를 바라는 부모는 없으니까요
    계급의 이동이 없다는 차원에서보면 과거보다 더 어두운 사회라고 봐야지요

    • @user-xv6ig7xx2m
      @user-xv6ig7xx2m Před 4 lety +1

      2천년도 전에 지금 고전이라 불리우든 책들에 님이 이야기한 내용들이 다 언급되었죠
      불교를 예로 들면 인간은 재.색.권이라는 불타는 집에서 놀고 있는 아이들이지요..
      플라톤은 동굴의 비유로 말했구요..
      그래서 벌어지는 현상이 질병이구요.. 그 질병에 대해 이야기한 한의학적 논리나
      명리학에서 말하는 약신이 뭐냐 하는 부분이 바로 깨달음이지요.... ㅋ
      메슬로의 욕구단계는 한참 아래 담론입니다.. ㅋ
      화이트 헤드 아시죠? 서구철학은 플라톤의 각주다....
      나아진게 없다는 뜻입니다.. ㅋ

  • @user-gp9rz6lv6d
    @user-gp9rz6lv6d Před 6 lety +1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 @user-gp9rz6lv6d
    @user-gp9rz6lv6d Před 6 lety +3

    안녕하세요

  • @user-gp9rz6lv6d
    @user-gp9rz6lv6d Před 6 lety +1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 @user-gp9rz6lv6d
    @user-gp9rz6lv6d Před 6 lety +1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 @user-gp9rz6lv6d
    @user-gp9rz6lv6d Před 6 lety +1

    안녕하세요

  • @user-gp9rz6lv6d
    @user-gp9rz6lv6d Před 6 lety +1

    안녕하세요

  • @user-gp9rz6lv6d
    @user-gp9rz6lv6d Před 6 lety +1

    안녕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