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스님들은 이렇게 공부한다!! (해인사 승가대학)

Sdílet
Vložit
  • čas přidán 15. 04. 2019
  • 최다 불교콘텐츠 집합소!!
    ▣채널안내- 좀더 빠르고 다양하게 보실수 있습니다~~
    *IPTV-KTolleh:233,SK B TV:305, LGU+ TV:275, (전국공통)
    *SKYLIFE:181(전국공통)
    *지역케이블:케이블가입자경우 BTN채널번호가 지역별로 달라서
    페이지 링크하셔서 지역별 번호확인하시면 됩니다~ ☞
    blog.naver.com/btnii/22139180...
    ▣인터넷 홈페이지또는 모바일 앱을 통해서도 더 많은 프로그램을 시청하실수 있답니다
    ☞바로가기: goo.gl/mx8DFd 클릭!
    한국불교대표방송BTN www.btn.co.kr
  • Zábava

Komentáře • 132

  • @user-wv1lr6ib3d
    @user-wv1lr6ib3d Před rokem +8

    해인사 승가대학 스님들 감사합니다 😊 🙏 😊 🙏 😊 🙏 공양간일도 설겆이 스님들이하셔서 죄송하고존경스럽습니다

  • @user-xu4jm3zh6b
    @user-xu4jm3zh6b Před 3 lety +5

    부처님의 법을
    전하고 보시하는모습
    자랑스럽습니다
    대한민국 불교의
    미래가보이고 희망이
    보입니다

  • @user-lj6bc9qw4o
    @user-lj6bc9qw4o Před 2 lety +6

    스님화이팅 부천님함께하는인연 부럽숩니다 마음속에서 꼭부처님과함께하실길발원 아자

  • @user-ny4zs7ug4r
    @user-ny4zs7ug4r Před 2 lety +7

    해인사 승가대학 화이팅, 학인스님들 힘내세요 ,그대들에게 영광을 ^^
    용인에서 불교신자 올림

  • @lotus4405
    @lotus4405 Před 4 lety +34

    스님들 배움터가 속세와 이질감도 적고 너무 좋아 보입니다. 일체처일체시 작게라도 적선하고 권선하고 공덕을 지을 수 있는 지심귀명례 불자로 살겠습니다. 큰스님되십시오.
    삼배합장

  • @user-lq5mc5cz2b
    @user-lq5mc5cz2b Před 4 lety +37

    역시 호국불교네요.
    쉬지 않고 체력단력 하는 모습을
    보면서 임진왜란에 호국 하신 스님들이 스쳐 지나갑니다.

  • @user-oh6ku5mc8n
    @user-oh6ku5mc8n Před 3 lety +5

    승가도 세상과의소통이 필요하다고봅니다 해인사승가대학 학인스님들 홧팅~ 해인사화이팅

  • @user-bv5kr8qe9y
    @user-bv5kr8qe9y Před 2 lety +7

    건강한 체력에 건강한 수행자가 되리라 생각 합니다 합장

  • @cat_lover007
    @cat_lover007 Před 5 lety +71

    시대에 맞춰서 같이 발전하고 고민하는 모습이 존경스럽습니다. 불교가 현시대에 보다 더 과학적이고 현명한 생활방식으로 거듭나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user-te2qu7bt6h
    @user-te2qu7bt6h Před 3 lety +9

    해인사 승가대학
    커리큘럼이 고급지고
    이시대 맞게 잘 짜여진 것
    같네요 불자로서 뿌듯
    합니다 공부 하시는 학인스님
    건강하시고 행복하세요

  • @user-ns3io8mv3d
    @user-ns3io8mv3d Před 5 lety +23

    부처님.
    미소가행복합니다.
    언재.어디서나~
    응원합니다~♡

  • @user-xf4hy1cn2c
    @user-xf4hy1cn2c Před 4 lety +28

    승가 교육과 재가의 교육이 병행해야 한다. 특히 유아단계의 교육을 할수있는 프로그램과 교육기관을 의무적으로 연계하여 지원해야 한다. 씨앗을 키워고 투자를 해야 열매가 있다. 원론적인 얘기지만 공감하는 분들이 있을거란 기대를 걸어본다.

  • @user-xt2nj4cx8n
    @user-xt2nj4cx8n Před 5 lety +21

    🇰🇷귀의불 귀의법 귀의승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_🙏🙏🙏_💕💖

  • @user-oo2qk4bz2x
    @user-oo2qk4bz2x Před 4 lety +34

    학인스님들 화이팅!!!
    공부 열심히 하셔서 중생들에게 많은 가르침을 주십시오.

  • @user-ov3fl4cc4f
    @user-ov3fl4cc4f Před 4 lety +6

    모든불자들이 부처님을 존경하면서도
    가까이 다가가기란 어려운점이많은데
    스님분들 생활모습을 볼수있어서 행복하고 또. 열심히부처님법을수행하시며~
    대중들에게 알리는 존경받는분들이 되시길 간곡히부탁드립니다
    나무묘법연화경

  • @user-vc2uw9sy2v
    @user-vc2uw9sy2v Před 2 lety +2

    21세기 해인사 승가대학 멋집니다

  • @user-vw6uu2dj8n
    @user-vw6uu2dj8n Před 4 lety +8

    공부하시는 스님들 배려해서 카페도 생기고 체력단련실도 있어서 다행이에요. 스님들 공부 많이 하셔서 좀더 많은 불제자들이 생길수 있도록 힘써 주세요.

  • @user-uc4gy6qt3z
    @user-uc4gy6qt3z Před 4 lety +29

    스님들의 활기찬 모습 박수를
    보냅니다. 참선만 한다고 다가
    아닌것 갇습니다.
    성불하십시요.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

  • @user-hz9uo5pd8q
    @user-hz9uo5pd8q Před 4 lety +9

    히야~~축구장도 최고
    학인스님들 공부 하는 모습도 최고 입니다~!!😃

  • @user-em3vc3zw2w
    @user-em3vc3zw2w Před 4 lety +33

    덕의 향기, 법의 향기가 없으면 어떤 마음도 이끌리지 않습니다.
    부처님 가르침에 대한 바른 정립과 이해와 실천을 끝없이 정검해야 하겠습니다.

  • @user-qg6bx4vh6g
    @user-qg6bx4vh6g Před 4 lety +5

    큰 깨달음 얻어서 이 아픈 중생들을 위로해주시고 바르게 이끌어주십시오. 대자대비 부처님께 귀의합니다.

  • @user-mb7vd9xb1f
    @user-mb7vd9xb1f Před 3 lety +3

    스님들 체력단련, 토론대회!! 한국불교의 밝고 활기 찬 미래가 보여서 너무 좋습니다 화이팅입니다~☆

  • @willykim123
    @willykim123 Před 4 lety +5

    좋은 프로그램입니다.

  • @StephenMaryChon
    @StephenMaryChon Před 5 lety +69

    처음엔 학인스님들이 체력단련하는것이 재미있고 낯설었는데, 생각해보니 고된 수행과 어려운 공부 속에서도 미래를 위해서 체력을 마련하고 단련하는 자기관리에 철저하신 것이라고 생각되어 존경스럽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iluvyaman
      @iluvyaman Před 3 lety +1

      @@user-rb2op2uh3u 그게 그거랑 같나요 ^^

    • @khchun2943
      @khchun2943 Před 3 lety +2

      @@user-rb2op2uh3u
      이런 글 달려면 여기 들어오지 말기를~~

    • @user-sr5nw4gk7r
      @user-sr5nw4gk7r Před 2 lety

      @@user-rb2op2uh3u 아멘은 무슨놈의 아멘 ㅋㅋㅋㅋ 사막잡신 야훼나 믿는놈이

    • @user-vc2uw9sy2v
      @user-vc2uw9sy2v Před 2 lety +3

      @@user-rb2op2uh3u 잘 들어오셨습니다 불교공부 한번 해보시지 않으시겠어요 남을 공격하는 마음이 없어져 편할겁니다

  • @user-cc7fz3jg6c
    @user-cc7fz3jg6c Před 3 lety +4

    스님존중합니다

  • @user-kk5vc3oz2w
    @user-kk5vc3oz2w Před 2 lety +1

    참좋은 소식같네요 ᆢ스님들께서도 역량을기르셔서 어떤상황이와도 소외되지않으셨음 참좋겠 습니다 ᆢ다행입니다

  • @blackbeltfit4077
    @blackbeltfit4077 Před 5 lety +20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YoungokNash
    @YoungokNash Před 5 lety +29

    팔만대장경을 한마디로 압축하면..... 마음심.
    정말 아름다운 표현이세요.
    불교는 부처님의 가르침에 의해 자기 깨달음이라 저도 점차 알아 가고 있어요.
    부처님의 한량없으신 사랑에 경외함니다.
    스님들 .... 행복하십시요.
    공부 다 마치시면 뉴욕에도 여러 한국 사찰이 있으니 오셔서 중생들에게 힘이 되어 주세요.

  • @user-cs6nk9zn9z
    @user-cs6nk9zn9z Před 5 lety +20

    스님들도 다양한 운동도있고 학습도하고 재미있어보여요~

  • @2mungsoon
    @2mungsoon Před 5 lety +8

    대단하십니다

  • @user-ou3hk8pu6g
    @user-ou3hk8pu6g Před 4 lety +17

    스님 하면 늘 생각에 멀리 있는듯하고 낯설고 어렵고
    그랬는데 시대에 맞게끔
    대중들과 더 가까워지고
    소통이 되는 스님 들이 많았으면
    불교를 이해하는데 더 더 도움이
    될듯 ? 부처는 마음에 있다라는
    가르침만 가지고는 불교는 어렵고
    어려워라 종교는 없지만 그래도
    불교에 대해 관심이 많습니다
    훌륭한 스님들이 되시길 바랍니다
    멋지시네요 새롭네요 여러가지로
    이러한 영상 감사합니다 ,,,,,,,,,,,,,,,,

  • @xieze
    @xieze Před 2 lety +4

    와 정말 재밌네요!! 제가 생각했던것 보다 훨씬 그 이상으로 잘 되어있고 모두들 잘 하시네요. 감동입니다.

  • @user-is6zw7zh3k
    @user-is6zw7zh3k Před 4 lety +32

    수천년이 흘러도 수행자는 수헁자다울 때 그 향기를 낼 수 있다.

  • @yesterday5314
    @yesterday5314 Před 3 lety +2

    너무 속세와 가까워지는 건 난반대다 ㆍ지금 전통이 다 살아 져가는데 불교 전통만이라도 그대로 계승 유지 됐으면 좋겠다 ᆢ 빠름의 세월속에 느림의 미학으로 힐링을 할수있는 곳이 사찰이라고 본다

  • @user-od8ho6ur9m
    @user-od8ho6ur9m Před 3 lety +4

    시대에 발 맞춰 가는 불교의 모습.넘 감동적입니다. 출가하신 모든 스님들을 존경합니다.

  • @immaculate86
    @immaculate86 Před 5 lety +27

    해인사 템플스테이 직원으로 일해봐서 그런지 반가웠습니다

  • @user-iv9xe8ic8y
    @user-iv9xe8ic8y Před 4 lety +4

    비록 종교는다른 천주교이지만 불교방송에서 제작한 프로 잘 보고 있습니다. 종교는 다르지만 스님들 생활과 불교에 대해 조금이나마 알 수 있고 해서 불교방송에서 제작한 불교를 이해하는 데 아주 좋은 프로그램이네요.

  • @user-wv1lr6ib3d
    @user-wv1lr6ib3d Před rokem +1

    법보사찰 해인사
    발전을 기원합니다 법고소리 범종소리 범종루 사물소리 번뇌 사라지고 홍류골물소리 해인사 소리길 힐링최고 *성철스님 혜암스님 부도탑 엄숙합니다 !!! 나무아미타불 불법승 삼보님귀의합니다

  • @user-cx8di6zw3p
    @user-cx8di6zw3p Před 4 lety +9

    요즘 . 애기들 , 다 그렇답니다 . 겁대가리없어요. 디지털은 있냐 없냐로 커뮤니 되니까 , 그래도 빡빡이들 나서는건 부처님 가피지요 . 새내기스님들 . 저 중에는 참중이 나오지요 . 나는 어중 이예요 . 관세음보살 . 아미타 부처님이 현세에 나투시길 !

  • @user-gn5up1kz6n
    @user-gn5up1kz6n Před 4 lety +8

    운문사강원 비구니강원도 공부하는모습 찍어주시면 좋겠어요 궁금해용

  • @user-dd5xz7vp7m
    @user-dd5xz7vp7m Před rokem

    점 점 점 출가스님들이 줄어들고 있는 지금 이 시대에 스님들의 밝게 열심히 정진하시는 모습이 불자들에게 귀감이 됩니다 💐

  • @user-yf2id3yg7u
    @user-yf2id3yg7u Před 4 lety +1

    좋은 프로 그냥 잘보고갑니다,고맙습니다,

  • @user-bz4mb7dd4m
    @user-bz4mb7dd4m Před 4 lety +16

    토론대회 꿀잼 ㅋㅋ

  • @user-bp7jd5iz6q
    @user-bp7jd5iz6q Před 3 lety +3

    스님들.. 복이 많아 부처님 제자가 된분들..
    모두 성불하세요~~^^

  • @user-cm9rr3we9s
    @user-cm9rr3we9s Před 3 lety +1

    학인스님 화이팅..축구잘하신네요..요세인기있는 뭉쳐야찬다 팀하고 해보셔요..

  • @user-mx4fx2wm4p
    @user-mx4fx2wm4p Před 4 lety +1

    성철스님이 넘나 그립습니다...아비라기도__()__
    부모님,할아버지,삼촌,숙모 건강만 하게 해주세요...
    (90말띠가...)

  • @stevenrhee8398
    @stevenrhee8398 Před 4 lety +8

    스님들이 건강을 증진시키려면 달마조사가 창시한 달마역근경을 연마해야지.
    해인36방을 통과해야하고.

  • @limeair53
    @limeair53 Před 4 lety +18

    초심만 잃지 않으면 성공

  • @user-sy5bp3mv3w
    @user-sy5bp3mv3w Před 5 lety +8

    그리도 깨닫고 싶은건가..
    깨닫는건 굳이 스님이되지 않아도 성취 가능하다 내가 절에있든 더러운곳에있든 어디에 있든 그건 중요하지 않다

    • @user-ou3hk8pu6g
      @user-ou3hk8pu6g Před 4 lety +1

      지나가다 한마디
      그러면 신부는 왜 있고
      목사는 왜 있을까요ㅡ?

  • @user-cm6jh9sn1l
    @user-cm6jh9sn1l Před 2 lety

    우와~~ 해인승가대에서 공부하고싶다!!!

  • @user-kh9ix4nv4c
    @user-kh9ix4nv4c Před 6 měsíci

    오~~ 좋은 데요. 토론으로 자신의 길 찾기
    해공제일 수보리파, 논의제일 가전연파, 두타제일 가섭파 등등 10대 제자행 모두가 길. 도착지는 같죠.
    아직 어려서 정토에서 연락이 안 온 모양이네요. ㅎㅎ
    수행 정진 열심히 해보세요. 불보살님과 깊게 연기될수록 경계가 달라질 겁니다.
    아직 어리십니다. 대학생이니깐요. 수행정진하셔서 불보살님께 소식 오길...
    불보살님 없는데 목탁치고 염불하며 부르지는 않지요.
    계시니 부르고 예불 올리는거...
    한단계 한단계 성숙되면 제 말이 무슨 말인지 경험으로 아시게 될겁니다

  • @user-uu4bb7po2u
    @user-uu4bb7po2u Před 3 lety +1

    👍~

  • @user-fg6dw9yi5m
    @user-fg6dw9yi5m Před 4 lety +1

    7:08 스님들도 쇠질이라니 대단하네요 ㅋㅋㅋ 👍👍👍👍👍

  • @soo7697
    @soo7697 Před 4 lety +4

    현대는 디지탈 세대이고 부유해지니 너무 상상도 안된다. 60년대에만도 수행에는 재래변소도 체력단련이라며 대변도 퍼나르는것이 있고 공양도 마을에나가 매일 얻어와야해서 수행에는 배도 너무 고파 견디다 못해 자살한 일도 신문에 서 봤는데 .. 지금은 수세식 변소겠지?

  • @user-wv1lr6ib3d
    @user-wv1lr6ib3d Před rokem +1

    해인사는 웬지 편해요 전생인연일까요??122길 내생일친근해요 합천 시댁이 종교가없는데도 친정이종교가없는데도 처음 남편만나 1988년첫데이트를 대구서 해인사를갔는데 남편거사 박낙 정행님 걷기싫어하여혼자 비가와도 다돌고왔습니다 그날 목단꽃이 넘아름답고 현재 모지란불자지만 남편과뚜벅뚜벅걸어요

  • @user-du3jx4sk9u
    @user-du3jx4sk9u Před 5 lety +12

    스님 들이 외제차 몰고 식당 가는걸 어떻해 생각 하십니까?
    양재동 살다보면 많이 목격 합니다

    • @chiyongjong2345
      @chiyongjong2345 Před 4 lety +4

      호텔방에 둘러 앉아 담배 피면서 놀음 안하고 신밧드 룸사롱 안다니면 용맹정진하는 것이지요. 고기 먹고 술 담배피고 먹는 중 처음 봤나요? 중도 중 나름이여

  • @JE-ht1pe
    @JE-ht1pe Před rokem

    종교가 대중화되고 전통문화로 승화될때 그 종교는 계속 이어나간다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일상에서 접하는 종교
    끼리끼리가 아닌 누구나 참여가 가능한 그런종교가 되길 바랍니다 😉

  • @user-ke5bl8xl1v
    @user-ke5bl8xl1v Před 5 lety +2

    ㅋ 좋쿠나

  • @user-bs2jo2ls6j
    @user-bs2jo2ls6j Před 4 lety +3

    통도사도 한번다루어 주삼

  • @user-jn8ni7bo4o
    @user-jn8ni7bo4o Před 4 lety +5

    해인사 승가대학

  • @robinpark3521
    @robinpark3521 Před 2 lety +1

    한국 불교는 인도불교와 중국불교를 이미 초월한 ,전세계 최고 불교!!

  • @user-dy4lw3tm4l
    @user-dy4lw3tm4l Před 5 lety +2

    무엇이 깨닫는것입니까 ?
    수신은 언제하는것입니까?
    나는 누구인지 ? 를어떻게
    알아갑니까 ? 해탈은 무엇
    으로부터의 해탈입니까 ?
    해탈할수있는 방법은 무엇
    입니까 ? 우리가 있는 지금
    은 어느때입니까 ?

    • @user-ci7mr8sm2z
      @user-ci7mr8sm2z Před 5 lety +1

      살다보면 병마가 한꺼번에 몰아듭니다 껍질이 타고 사포로 문지리듯~ 아픈고통이 반듯이 옵니다~그때 철들고 겸손해집니다~ㅎㅎ

    • @user-cs3vw6mb9x
      @user-cs3vw6mb9x Před 4 lety +1

      지도무난 유혐간택
      단막증애 통연명백하리라~

  • @ksk4309
    @ksk4309 Před 4 lety +1

    그옛날 의천지눌균여 등도 저렇게 열렬히 토론하고 활동하였겠지

  • @user-vo1kp7bi4b
    @user-vo1kp7bi4b Před 4 lety

    불교의 소프트웨어를 담을 하드웨어는 크기가 얼마나 될까요
    모바일인가요?
    데스크탑정도면 면적,공간 엄청날텐데요
    모바일 아니면 스마트워치?
    아니면 태양계나 은하수의 공전 띠?
    모양 은 무슨 모양 일까요?
    동글?
    네모?
    세모?
    선 모양 이면 별로 같고요.
    어지러울 것 같아요.
    긴 줄 같은 모양은 정말 정말 무서워요.
    뭉치면 정말 피곤해요.
    재밌어요, 체력은 수행력이라는 거요.
    더불어, 의학도 이해되고 생노병사도 이해되겠죠
    몸의 단순한 경이로움 같은 삶 같은 시간 채움들도 즐거운 시간이 될 수 있겠지요
    굿 나잇!~ 해인사 스님분들~🤗

  • @user-gb2xy1yb2j
    @user-gb2xy1yb2j Před 4 lety +2

    토론(debating).....(^^)

  • @mindi2423
    @mindi2423 Před 3 lety +1

    깨달음에 학년이 있는가................
    공간속에 깨달음..
    세상의 모든이가 부처가 아니던가
    학년의 깨달음은 오만그 자체가 아닌가.

  • @user-fc1xq3uf7o
    @user-fc1xq3uf7o Před 2 lety

    학교네요 …. 여기도 숨막혀 보이는건 …… 세속에서 깨닫는 게 ….

  • @user-vv8bw2sx5n
    @user-vv8bw2sx5n Před 2 lety

    윗물이 맑아야 아랫물도 맑다

  • @hada2553
    @hada2553 Před 4 lety

    알수없는 유튜브 알고리즘....

  • @user-vj5kf6ko4b
    @user-vj5kf6ko4b Před rokem

    깨달음 시작!중생이 자성을 볼수있는 경계까지 부처님을비롯 옟 조사 스님들의 방편과 팔만대장경에 설한 방편들 아무리 배우고 익혀도 자성을 보기전엔 힘든게 부처님으 깨달응 인지라! 어째든 자성을 볼주아는 자리까지 가기란 !초현대적인 환경 사회 구조 문화의 경계에선 싑지않으나 내가노력하고 애쓴다면 조건의 환경은 너무좋고 해보만한 😅공부 입니다 자성울 보고 고놈 잡으줄알면 깨달음의 경지는 나의 헛웃음 가득 차고 게으름 피지 말고 많이 애쓰고 애쓰면 깨달음의 언덕에 오를 것이며 이공부는 지식으로 얻는것이 아니요 평생 업장소멸시키고 새로운 밭애 종자뿌리는 부처님의 자비와 진실 겸손으로 가야하는길 총명하고 번개같은 지혜 광명으로 길이뿐이며 부득이 오염된도구를 쓰고 허나 이도구와 울타리를 통하지 않고는 오를수없어 쓰게된것 참회합니다🙏아미타불 관셈보살🙏성불하십시요~

  • @hikerfrantz5829
    @hikerfrantz5829 Před 4 lety +10

    ㅎㅎㅎ 성철스님이 보셨다면 불교계 다 뒤엎었을만한 일이구만. 승려가 되는데 대학이 필요하다니. 성철스님은 기존의 수행을 따라 점차적으로 깨닫는다는 돈오점수를 부정하고 돈오돈수를 주창하셨다. 깨달음은 온전히 한순간에 오는 것이고, 그것은 승려이건 아니건, 수행을 1년 했건 평생했건간에 상관없이 얼마나 용맹정진을 했느냐에 따라 찾아오는 것이라고. 그리고 사찰이 관료화 되는걸 극혐하셨고. 절은 오는 사람 막지 않고 가는 사람 안잡는다는게 기본이다. 승려가 되는것은 어디까지나 본인의 선택으로 은사스님 밑에서 행자수행 하다가 은사스님의 판단으로 이정도면 되었다 싶을 때 머리깍고 계율 받는거다. 이제 승가대학이 생겼으니 사찰 내부에서도 승가대학 나온 승려들이 유세부리며 학연 만들고 주요 자리 다 꿰차겠구만. 파벌 나눠서 주지자리, 대표자리 놓고 싸우는 것도 눈꼴시워서 못봐줄 판에 이제는 학연까지 생기겠네. 조금있으면 대학졸업해야 받는 승려 자격증도 나올 듯? 기독교에 가려서 안보였을 뿐이지 불교계도 완전 개막장 다됐구나... 승가대학이라 ㅎㅎㅎ

    • @user-ud4hz7rx2s
      @user-ud4hz7rx2s Před 4 lety +2

      일리있는 멘트

    • @shurike37
      @shurike37 Před 3 lety +1

      부처님께서도 출가하시기 전에 당시 최고급 교육을 받으셨습니다. 거기에 수행으로 깨달으신 것이지요. 성철스님 말씀하셨는데 성철스님도 엄청한 공부를 하신 분이셨습니다. 대학 졸업장이 필요한 게 아니라 대학수준 이상의 고등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이죠. 낫놓고 기역자도 모르는데 과연 깨달을 수 있을까요? 육조혜능 선사께서 정말 일자무식에 금강경 구절 듣고 깨달으셨을까요? 파벌 생기는게 무서워 교육도 안한다는 건 환경오염 무서워 석유로 만든 물건들 안쓴다는 것과 무엇이 다를까요?

    • @hikerfrantz5829
      @hikerfrantz5829 Před 3 lety +3

      @@shurike37 지혜와 지식은 다릅니다. 성철스님은 승려들이 공부하는걸 수행에 방해되는 잡기를 한다며 극혐하셨습니다. 성철스님이 공부를 했다고 하지만 그건 어디까지나 독학으로, 학력은 초등학교가 전부였습니다. 그러니 학연과는 아무런 연관이 없습니다.
      낫 놓고 기억자도 모르고 평생 불경 한권 못 읽은 사람도 깨달을 수 있다는게 바로 불교입니다.
      오히려 잡다한 지식은 잡생각만 불러일으켜 방해만 될 뿐입니다. 그리고 애초에 불경은 읽을 필요조차 없습니다. 부처가 죽으면서 남긴 말이 바로
      '내 말을 믿지 말라, 내가 말했다고 해서 믿으면 안된다'
      였습니다. 깨달음은 각양각색, 같을 수가 없고 개인이 구해야 하는 것인데 자신을 추앙하고 자신의 생각을 따라해 봐야 깨달음은 얻지 못한다고 한 것입니다.
      그러니 부처의 언행을 담은 금강경을 보고 그것을 가이드라인으로 삼는것이야 말로 부처의 유언을 어기는, 부처가 죽는 순간에 마저 염려하던 짓을 하는 가장 어리석은 행동입니다.
      부처를 숭배하고 불경을 읽는거 자체가 관료화 되고 체계화로 변형된, 불교 본연의 모습이 아닙니다. 원효대사는 당나라에 불교 공부하러 가던 길에 해골물을 마시고 모든 지식이 다 쓸데 없다며 마음먹기에 달렸다는걸 깨닫고 발을 돌렸습니다.
      불교에 파벌이 생기고 학연이 생기면 그건 그냥 절 다 불질러 버리고 불교란거 없애버려야 합니다. 불교는 불교다워야 합니다. 미국 하버드 대학 나온 외국인들도 스님이 되서 하는 말은, 수행에 있어 지식은 전부 쓸모 없다 입니다.
      깨달음을 얻는 방법은 오직 하나, 마음을 모두 비우고 모든 욕심과 잡념을 버리고 수행하는것 뿐입니다. 거기에 지식이 들어갈 자리는 없습니다.

  • @chh1624
    @chh1624 Před 3 lety

    싯다르타 부처님이 지금 스님들을
    보시면 어떤생각을 가지실까?
    세상이 변햇은게 이해하실까?
    변질된 불교의 행태
    초기불교로 돌아가는 수행자들의
    모습을 바래봅니다

  • @ji7915
    @ji7915 Před 4 lety +1

    승가대학 해인사 입학은 힘들겠어요?

  • @user-rb2op2uh3u
    @user-rb2op2uh3u Před rokem +1

    이제 스님들도 레깅스 입고 108배 하고 MZ세대 답게 당당하게 살자

  • @chiyongjong2345
    @chiyongjong2345 Před 4 lety +3

    예전 해인사 댓빵이 중이 재주 많으면 중 노릇 못한다 했는데....... 외국어도 열심. 축구도 하도 애플 컴터로 쓰고 토론도 하고 그렇게 많이 알아서 어따 썩먹을려고 하는고? 저 스님들은 다 견성하시겠지.... 나무아부타불 옴메니 반메흥

  • @Jagakcjy
    @Jagakcjy Před 4 lety

    아이구야... ;;;;;;;;;

  • @user-cn6vv1qg4d
    @user-cn6vv1qg4d Před 4 lety +3

    우리불교인도 나라사랑 하시면안되나요 애국운동도하시면 불자들도 다나올수있을것 같은대요

  • @user-fy9th2js1h
    @user-fy9th2js1h Před 4 lety +6

    체력을 길러 수행의 기반이 되어야하는데 정력이넘쳐 간음, 종단자산횡령, 도박,음주등에 써먹는건아닌지~ 조계종단 지휘부의 간부들처럼~

    • @user-qe6dp4dp6e
      @user-qe6dp4dp6e Před 4 lety +1

      채력길러~~여색~탐하고~절뺏으러다녀~~힘으로~패거리조직

  • @Davaraya
    @Davaraya Před 4 lety

    천지권법 폭장 해탈 모래담기!

  • @user-bs4tb4ok8i
    @user-bs4tb4ok8i Před 5 lety +1

    여기 고려시대인가요?

  • @Michaelcoffee
    @Michaelcoffee Před 5 lety +4

    ㅎㅎ 요즘 스님들은 잘생겨 져 간다 말야. 스님들은 행자 3년은 하시나?

    • @ZDzz77
      @ZDzz77 Před 4 lety +2

      6개월 조계종 기준

    • @user-ou3hk8pu6g
      @user-ou3hk8pu6g Před 4 lety +2

      ㅋ ㅋ ㅋ 으하하 웃고 갑니당

  • @user-hr9sl8dn1u
    @user-hr9sl8dn1u Před 5 lety +1

    이도서 불교가 오디갔을 까 키ㅏ

  • @114lim6
    @114lim6 Před 4 lety

    에라이 이게 출가한거냐 속세에서 벗어난거냐 이건 관종이지 편하게는 하고싶나봐 ㅋㅋ

  • @user-st9cc2in3l
    @user-st9cc2in3l Před 4 lety +6

    돌중 주지를 닮지마라.
    절에10년 다니면 승려를 중놈이라 부른다.
    왜 그럴까?

  • @user-is6zw7zh3k
    @user-is6zw7zh3k Před rokem

    불법을 논하는 자리에 왜 부처님의 상징인 가사가 없는가?
    이나라는 앞으로 가사가 사라질 모양이다
    불편한 디자인을 바꾸더라도 장삼은 가사를 대신할 수 없다.

  • @user-in5up7es5r
    @user-in5up7es5r Před 5 lety +2

    세상 만물은 변합니다 진리 또한 그렇습니다 상황에 따라 시대에 따라 진리 또한 변합니다
    그런대도 수천년전 낡은 지식을 가지고
    장사하는 무리가 있네요 돈을 훔쳐 가는 것이라면 가벼운 도둑이겠죠 하지만 중생들의 마음을 훔치는 혹세무민은 큰 도둑이죠 악마 입니다
    지금의 시대에는 우리가 가진 지식이 석가모니가 가진 지식과는 비교 할수 없을 정도로 월등하고 방대 합니다
    우리는 많은 부분 답을 찾아 냈어요
    하지만 과거 석가모니의 가르침과 그것을 곡해 하여 그릇된 진리를 가르치는 성직자들 때문에
    우리는 우리가 가진 지혜를 써보지도 못하고 고통을 받고 있습니다
    이제 석가모니 좀 놓아 줍시다
    석가모니 부처 훌륭하신 분은 맞아요 하지만 그분도 일개 중생일 뿐이고 실수도 하고 헛소리도 하고 그랬습니다
    당대 기준으로는 아주 식견이 뛰어나고 양심적인 분이겠지만
    지금의.우리는 더 위대한 지혜를 가지고 있어요
    이제 석가모니 놓아 드립시다

    • @user-cs3vw6mb9x
      @user-cs3vw6mb9x Před 4 lety +2

      사성제 8정도 12연기
      초기불교& 대승기신론..
      실크로드를 따라 전해진 대승불교=>법화경과 신약성서~
      공부함 해보시길요^^

    • @user-ly4tx1qo7w
      @user-ly4tx1qo7w Před 4 lety +1

      이런.구업을짖는자신은. 과연.다른분을.훈계할자격이.있는지.누워서.침뱉는격입니다. 자중하시고.본업에.충실하시길,,, 불교.공부하셨다는분이.맞는지요. 견성.성불하십시요

  • @user-jv2iq8it9g
    @user-jv2iq8it9g Před 5 lety +7

    에휴 산속이구 절간이구 부처는 없어요 교회에두 신의 형낭을한 예수 조각만 있을뿐이이지~~신과 부처를 이용해 돈뜯으려는 사기꾼들만 득실득실 부처예수는 내주위에 있어요 마음을 잘쓰구 살면 예수구 부처올시다

  • @moonlab9634
    @moonlab9634 Před 4 lety

    틈에서 살아본적 없는 분들이.. 경험없는 분들이 불자라고 아실까? 세속의 고난을 몇 퍼센트라도 느껴보고 이런 영상올리는게 좋지 않을까요? 공부가 제일 쉬웠어여.... 네 책공부 한는게 제일 쉬워요. 세상살이 모르는 분들 한테는

  • @user-xv9nr3ou3d
    @user-xv9nr3ou3d Před 4 lety

    멈마는 스마트폰 중독
    아들은 공부 중독
    아빠는 일 중독
    이랬으면 좋겠다.

  • @mugbaba
    @mugbaba Před 4 lety

    AI로봇이 빠알리어 학습하고 니까야 익히고 한자 배워서 팔만대장경 익히고 그러면 이상적인 부처의 모습이 나옵니다. AI로봇에게 무슨 탐진치가 있겠습니까? 무슨 두려움이 있겠습니까? 미래의 부처는 AI에서 나옵니다.

  • @user-xu5gi1lx4s
    @user-xu5gi1lx4s Před 3 lety

    축구하고.헬스하고.카폐에서 차마시고..도는 언제 닦을려고..무조건 참선 수행만이 최고 정진 수행이다.시간이 없다..

    • @user-cm9lh3du5j
      @user-cm9lh3du5j Před 3 lety +2

      답답 한 말씀
      아주 잘 하고 있는거
      같은데요 !

  • @user-in5up7es5r
    @user-in5up7es5r Před 5 lety +6

    중놈들 얼굴을 보니 탐욕이 가득하군요 저도 한때 절에 다녔던 무속인 입니다 (무속인 되기전에 절에 다녔죠)
    뭐 지금은 산기도도 절에 가는 것도 안해욤
    조계종 뭐 사건만 터지면 참회한다고 108배 하고 쑈 하는거 그거 식상 합니다
    왜 비리가 생기는지 아십니까?
    금전관계가 투명하지 못하기 때문 입니다
    성직자와 돈을 떼어 놓으면 비리가 안생깁니다 사이비도 생겨나지 않습니다 스님들 월급제로 하고
    모든 돈은 신도들이 신도대표를 뽑아 관리하도록 해야 합니다
    어차피 신도들이 준 돈 아닙니까?
    그리고 종교업에 필요한 돈은 신도 대표들에게 허락을 받고 쓰면 됩니다
    그리고 그 신도단체도 외부 감사를 받게 견제 장치를 마련하고요
    불전함 갖다 버리고 현금 거래 금지 하고 시주는 계좌로 받으면 됩니다
    그렇게 해서 재정이 투명해지면 사이비는 사라집니다
    지금 보면 스님들 쓸수 있는 꽁돈이 무지하게 많아요 저번에 경주 불국사 부주지 스님이 고백 했죠 한달에 자기한테 몇천만원이 떨어지고 그거 가지고 해외 원정 도박 다녔다고요 ㅋㅋ
    그 맛에 중질하는 겁니다
    사람들이 신 처럼 떠 받들어 주죠 유용할수 있는 눈먼돈도 워낙 많고
    좋은 공기 마시면서 살다가 밤만 되면 가발 쓰고 나가 놀고 ㅋㅋㅋ
    스님들 까대기 이전에 저는 어리석은 중생들을 까고 싶습니다
    저 스님들은 그냥 일개 중생이라고 생각하면 그만이거든요
    그런 일개 중생에게 놀아나는 여러 중생들에게 말씀드립니다
    헛된 것을 믿지 마세요 깨달음은 스스로 얻는 겁니다

  • @user-ds2tq6dm4h
    @user-ds2tq6dm4h Před 4 lety +4

    조계종 총무원장 선출할때 몽둥이 들고 싸우지 마라. 조폭하고 다른게 뭐냐? 주둥이로만 스님이지 부패.비리를 척결해라. 목사나 승려나 재물에 눈이 멀어 있으니...

  • @user-in5up7es5r
    @user-in5up7es5r Před 5 lety +7

    전직 무속인 입니다 오랫동안 산기도를 하며 수행을 했습니다 무언가가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정말 미래를 보고 어떤 사람을 보면 뭐하는 사람인지 알아 맞히고 용하다는 소릴 들었습니다 기도를 더 오래 하다가 알게 된 것인데요 저는 대단한 사람이 아니었습니다 중생들은 나를 찾으며 높이 떠 받들지만 나는 모자란 사람이었어요 모자라도 한참 모자란 사람이었어요 사람이 공부를 하는 이유는 불확실한 미래를 대비 하기 위함 입니다 보통 과학적 탐구라고 하죠 과학적 탐구를 하지 않는다면 그 과학적 탐구를 하는 사람과 친해지면 미래에 대비 할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 두가지 모두가 안되는 사람이 있습니다 그런 사람들은 촉이 살아나 미래를 보거나 무언가를 알아 맞힐수 있습니다
    그것을 보호본능이라고 얘기 합니다
    또 다른 말로는 수호신령이라고도 합니다
    내가 모자라기 때문에 우주의 법칙에 따라 모자란 부분을 채워주는 겁니다
    그러니까 그저 자연의 법칙이고 모자람을 채울뿐이지 그것이 대단한 능력이 아닙니다
    우리 같은 무당은 태어날때 부터 특이한 체질을 타고 태어납니다 오장육부의 기운이 편중되어 있고 그에 따라 뇌의 발달도 편중되어 있습니다 그런 경우 서번트 신드롬 처럼 천재성이 나타나는데
    이 천재라는 것은 다른 말로는 바보 라는 뜻이 되기도 합니다
    오장육부와 뇌의 특정기운이 너무 강한반면 또 다른 기운은 너무 약한거죠
    저는 수행자들에게 선 수행을 하지 말라고 가르칩니다 우리같은 무당은 그저 그렇게 태어 나서 어쩔수 없이 그런 길을 갔던 것이지 멀쩡하게 태어난 사람이 과학의 지혜를 버리고 속세와 인연을 끊으면서 까지 초월적 능력을 기를 이유가 없습니다
    티브이에.나온 어떤 분을 보면 발가락으로 젓가락질을 하시더군여
    사연을 들으니 공장에서 사고나서 팔이 잘려 젓가락질을 할수 없게 되자 발가락으로 젓가락질을 하게 되고 그쪽으로 신경이 쏠려 정교하게 할수 있었던 겁니다
    선수행이라는 것도 그렇습니다
    발가락으로 젓가락질 하는 능력을 키우기 위해 팔을 자르는 어리석음과 같습니다
    보통 참된 종교인이라 함은 너무나도 양심적인 자세로 세상을 살아가다 보니 자신이 모자라고 부족해 질수 밖에 없고 그 부족한 부분을 우주의 기운이 채워주는 겁니다
    그렇게 해서 영적인 능력도 생기고 촉이 살아나고 좋은 인연도 이어지고 그런거죠
    하지만 의도적으로 무언가 초월적 능력을 얻고 싶어 수행을 하게 되면
    그 수행 자체도 어리석은 행위지만
    나중에 그렇게 얻게 된 작은 재주를 크게 포장하여 중생들을 혹세무민하는 악행을 하게 될 가능성이 큽니다 사이비 종교 같은 거죠
    성철 스님이 뭐라 하셨습니까? 수십년간 수행한 자신을 보며 모자란 사람이라고 하고 자신의 말에 속지 말라고 하셨습니다 거짓말만 한다고요
    선수행 같은건 의도적으로 할 필요가 없습니다
    깨달음을 얻고자 한다면 속세에 몸을 담그세요 속세에서 느끼는 모든 희로애락이 좋은 교과서가 될것입니다
    우리가 종교에 대해 말할때 크게는 밀교와 현교로 나눌수 있는데
    사실 밀교라는건 세상 모든 현상에 대해 탐구하는 것이고 그 중에서 현대 과학으로 해석이 어렵거나 증명이 어려운 부분을 밀교라고 부르면 됩니다
    그리고 현교? 지금 처럼 사람들이 똑똑한 세상에서 스님이 무슨 현교적 진리를 중생에게 가르칩니까?
    속세를 모르는 사람이 속세에 대해 어떤 가르침을 줄수 있겠습니까?
    불가 뿐만 아니라 종교계에서 현교적 가르침을 중생들에게 강요하는데
    그것은 도덕과 윤리라는 아름다운 포장지로 싸여진 오물이라고 볼수 있습니다
    도덕이 세상을 망가뜨리는 것입니다
    사람들은 속세의 삶에서 고통을 받고 그 고통을 교훈으로 하여 점점 정신적으로 육체적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그렇게 사필귀정으로 진리를 향해 가고 있는데 종교인이라는 작자들이 도덕이라는 근거 없는 낭설로 오히려 세상을 혼탁하게 만들고 부조리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도덕이라는 근거 없는 낭설 신의 권위를 빌려 설하는 낭설
    참된 종교인은 진리를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생각의 폭을 넓여 주는 것이라고 생각 합니다
    당대의.석가모니 부처 께서 하신 일도 그와 다르지 않습니다
    대부분이 사람들이 헛된 가르침에 현혹되어 살다보니 속세의 계급과 빈부격차가 나타나고 그로인해
    중생도 축생도 모두 고통을 받더란 말입니다 그걸 목격하시고
    그 헛된 망상으로 부터 벗어 나게 끔 가르침을 주셨습니다 그것은 중생들에게 자유를 가르치는 것이고 종교(헛된것)를 믿지 않게 함이죠
    탈종교의 종교라고 볼수 있습니다
    석가모니는 일개 인간일 뿐입니다
    깨달은 자도 아니고 신의 대리인도 아니고 그저 지혜롭고 양심적인 인간이었을 뿐이죠
    고통 받는 중생을 묵과 할수 없었던 지라 선의의 거짓말로 중생들을 깨어 나게 하려 했을 뿐입니다
    이글을 보시는
    스님들 그리고 수행자들 불자들 은
    명심하시길 바랍니다
    가벼운 도둑은 겉은 훔치지만 진짜 악마는 마음을 훔치는 법입니다

    • @SaSa-yo7yc
      @SaSa-yo7yc Před 5 lety +4

      ㅋㅋㅋ 정신 나간 사람 많네
      무당이 신이 되려고 하는구만

    • @user-in5up7es5r
      @user-in5up7es5r Před 5 lety

      @@SaSa-yo7yc 이 세상에 신은 없어요 귀신이라고 불리는 기운이 있을 뿐이죠 이 세상의 법칙을 만든 존재 그분을 편의상 신이라고 부릅니다 그리고 그분은 이 세상 일에 개입하지 않아요 모든 인간이 스스로 깨달음을 얻을수 있도록 이 세상의 법칙을 만들어 놓았기 때문에 스스로 깨달음을 얻도록 놔두는 거죠

    • @user-zz6fk6sk5e
      @user-zz6fk6sk5e Před 4 lety +3

      헐 진짜 도통하는 분이 여기 있었네요 무속인이 이런 경지를 갖기는 어려운데

  • @user-in5up7es5r
    @user-in5up7es5r Před 5 lety +2

    요즘 스님들 고기 잘 드시더군요
    어떤 스님은 결혼도 하고 자녀도 있더군요 심지어 머리를 기르는 스님도 계십니다
    이 모두가 석가모니의 가르침에 위배되지 않습니다
    고기를 맛으로 먹는 것이 아니라 신체를 유지하기 위한 약으로 먹으라는 거죠 필요한 만큼만 먹되 감사하는 마음으로 먹고 축생들의 고통을 최소화 할수 있도록 하라는 가르침입니다
    물론 어차피 먹어야 할 고기라면 양념을 해서 맛나게 먹어야죵
    결혼도 그래요 그거 해도 됩니다 결혼도 출산도 섹스도 성적 쾌락도 자연의 법칙이고 그것 또한 부처 입니다 비로자나불이 법신불로 우주만상의 법칙을 뜻하죵
    다만 성적인 쾌락에 빠지는 것은 좋지 못하다는 겁니다 왜 그럴까요?
    빠져 보시면 압니다 ㅋㅋ 지나치게 빠져서 좋을것이 하나도 없어요
    그리고 스님들 머리 길러도 됩니다
    절에가면 불상을 보면 석가모니 부처님도 머리 삭발 안하셨어요
    그 제자들도 삭발 안하셨고요
    그런데 지금은 삭발 하죠?
    그 전통이 누구부터 언제부터 시작 됬는지는 모르지만
    기도 수행을 해본 사람이면 삭발의 이유를 알수 있을 겁니다
    (정신적 이유가 아니라 육체적 이유 때문 입니다)
    자 종합하면 말이죠
    스님이 머리를 기르고 부인과 자녀를 데리고 고기집에 가서 고기를 구워 먹어도
    석가모니의 가르침에 위배됨이 없습니다
    그런데 왜 스님들은 해도 되는 행위를
    몰래 하는 것일까요?
    그냥 대놓고 해도 되는데 겉으로는 안하는척 하면서 뒤에서는 한단 말이죠 그것은 거짓말입니다
    사람이 거짓말을 하는 이유는
    두가지 아닌가요?
    욕심 때문이거나 아니면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불가피한 거짓말
    지금의 스님들은 어디에 해당 될까요?
    스님들만 문제가 아닙니다
    수녀 목사 신부 그외 다른 성직자들도 마찬가지에요
    지금시대에는 종교가 필요가 없습니다
    사람들이 똑똑하고 점점 더 똑똑해져가고 있기 때문에
    종교가 필요가 없습니다
    오히려 종교가 세상을 망치고 있어요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그 암울한 시기 사람들은 극한의 고통속에서 살았습니다
    그 고통에서 벗어나 조금이나마 숨통을 틔게 된것은 성직자들의 가르침 덕이 아닙니다
    두려움 입니다
    인간이 가지는 두려움 그 두려움이 세상을 구한 것이고 중생들을 구한 것입니다

    • @ZDzz77
      @ZDzz77 Před 4 lety

      극소수잔아요.. 정말 일부분

    • @user-rx4ce7qr2c
      @user-rx4ce7qr2c Před 4 lety

    • @koreahello7107
      @koreahello7107 Před 2 lety +1

      대처승 종단있지요 결혼하고사는종단 옛날 일본이침략해서 만든것

  • @muyo5050
    @muyo5050 Před 5 lety +1

    사법고시 준비과정이 너무 힘들어서 잠깐씩 쉬는 것은 이해할수 있고 당연하지만,
    공부가 잘 안된다고해서 그림을 그렸다가 , 사우나에 갔다가, 공부방법을 바꿨다가,,,
    배가 산으로 갑니다...
    작은바늘이 소도둑 되는법.
    그렇지않아도 중국식불교와 한국식유교사상의 짬뽕속에서 헤메는 와중에...
    초기불교가 무언지조차 모르는 승려와 불자가 99프로인 한국불교....
    날이 갈수록 점점 이상하게 변형되가는 종단차원의 저런 모습들은 속히 사라지고 부처님의 정법이 자리잡기를...사두 사두 사두

  • @terrienstrompes
    @terrienstrompes Před 4 lety

    스님들이여 ! 대장전을 열심히 공부하시요. 전세계를 18세기까지 지배했던 한민족, 1970년대 중반까지 조선연방나라를 비밀리 운영한 한민족, 이러한 역사통치기록은 모두 일본에 있습니다. 조선왕조실록은 암호로 기록된 책일뿐. 이에 비해 대장전은 일본, 중국(1911년까지 중국은 존재하지 않았음)도 없는 대장전을 가지고 있는 한국. 이 대장전은 1만년의 한국역사와 전통, 문화, 사상 모든 것을 기록한 책입니다. 종교책이라는 소리는 개뿔 개나 줘버려. 어느 종교인 막론하고 대장전은 읽어야 !

  • @user-in5up7es5r
    @user-in5up7es5r Před 5 lety +2

    진리가 뭐나면 자유 입니다
    왜냐? 인간은 어리석기 때문 입니다
    모든 인간은 무식합니다
    모든 것을 다 아는 사람은 없습니다
    법정스님도 무식한 사람이고 성철스님도 무식한 사람이었습니다
    본인이 아는.분야에 대해서는 전문가 이지만 그렇지 않은 분야에 대해서는 무식한 사람이죠 이 글을 쓰는 저 또한 무식한 사람 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서로가 서로에게 의지를 하면서 도와가면서 살아가는 것입니다 그런 무식한 사람들이 서로 뭉치게 되면 완전체에 가까이 접근하게 되죠 그리고 모든 사람이 무식하기 때문에 소수에게 많은 권력을 쥐어 주면 안되는 것입니다
    천상천하유아독존 나 자신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모든 사람이 그런 마인드를 가지고 살아아 세상의 큰 불평등과 부조리는 사라 집니다
    문제는 사람들은 타인을 인정하지 않으려 한다는 것입니다 남이 나와 다름을 인정하지 않고 남을 바꾸려고 한다는 것이죠
    모든 사람은 서로 다릅니다 그런 다른 사람들 끼리.만났을때 의견이 대립 될때 가장 좋은 것은 서로를 존중하는 상태에서 떨어져 있는 것입니다 그렇게 떨어진채 시간이 흐르다 보면 서로를 이해 하게 됩니다
    그런데 대부분의 인간은 자신이 가진 생각을 남에게 강요 하려 하죠
    그렇게 강요하는 방법으로는 물리적 폭력이 있고 교묘한 말재주로 하는 방법도 있고 전지전능한 신의 권위를 빌려서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보통 종교라는 것은 3번째 신의 권위를 빌려 타인에게 사상을 강요 하는 것입니다
    그게 종교인의 업입니다
    죄를 짓는 겁니다 차라리 때려 패서 강요하는게 낫습니다 그 경우가 나중에 더 쉽게 깨어 나니까요
    맞을땐 어쩔수 없지만 안 맞는 상황 안전한 상황이 되면 자신의 생각을 되찾을수 있으니까요
    하지만 종교는 그렇지 않죠 잔재주나 보여 주며 오랜 전통과 역사를 통해 형성된 신의 권위를 통해 사람들에게 특정사상을 강요 하고 있습니다
    그게 종교인의 죄 입니다
    구업이죠 세상을 혼탁하게 하는 구업 입니다
    그러면 중생들은 구업을 안 짓느냐? 중생들도 구업을 쌓긴해요 하지만 훠얼씬 적게 쌓죠
    중생들에겐 권위가 없으니까요
    법정이나 성철이 한마디 한 것과 그냥 이웃집 아저씨나 학교 선배가 한마디 한 것은 그 무게 차이가 아주 큽니다
    그렇기에
    권위가 없는 사람과의 대화에서는 가려들을건 가려듣고 비판적 태도로 들을수가 있는 겁니다 그래서 말하는 사람도 구업을 적게 쌓아요
    스님들이나 성직자들은 구업을 쌓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그렇게 하려면
    사람들에게 자유를 가르쳐야 해요
    어떻게 자유를 가르치느냐?
    성직자라는 타이틀을 던져 버리고 종교라는 간판을 내리면 됩니다
    일반인과 같은 모습을 하고 다니며 자신이 알게된 지식을 가르친다면
    구업을 적게 쌓을 것입니다
    그리고 그렇게 한다면 지금 처럼 큰 부와 권력 명예 도 누리지 못할테죠
    그냥 쉽게 말씀 드리자면
    종교는 거짓이다 라는 말입니다
    석가모니 예수 또한 사기꾼에 지나지 않는 사람들이고
    선의로 세상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려고 사기를 친 사기꾼이라는 것이
    속세의 사기꾼 과는 조금 다른 점이죠
    지금 시대에는 사람들은 많이 깨어 나 있고 점점 더 현명해 지고 있습니다
    지금 시점에서 종교는 사회의 발전을 가로막는 장애물 입니다

  • @samoh5176
    @samoh5176 Před 2 lety

    참된 창조주의뜻을 깨닫고자하면 성경을 읽으세요.
    소경이 소경을 인도하면 안됨니다.

  • @thobecthistar3222
    @thobecthistar3222 Před 2 lety

    혜민같이는 되지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