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상(無常)을 알아야 무지(無知)를 깰 수 있다" [이진경 교수의 철학이 묻고 불교가 답하다-02회]

Sdílet
Vložit
  • čas přidán 22. 05. 2022
  • "무상(無常)을 알아야 무지(無知)를 깰 수 있다" [이진경 교수의 철학이 묻고 불교가 답하다-02회]
    1980년대 학생논객으로 한 시대를 풍미했던 이진경(필명) 교수.
    사회학과 철학, 불교학 등 학문의 경계를 넘나드는 철학자 이진경교수가
    바라본 불교의 핵심 가르침을 배워보는 시간 '철학이 묻고 불교가 답하다' 입니다.
    두번째 시간은 삼법인 즉 붓다의 세가지 큰 가르침중 하나인 무상(無常)에 대해
    살펴봅니다. 흔히 제행무상이라고 하면 허무하다거나 허망하다는 말로
    받아들이기 쉽습니다. 하지만, 무상이란 말은 그런 뜻만은 아니죠.
    인간을 무지의 미망에서 건져올릴 수 있는 매우 핵심적인 가르침이죠.
    무상의 진리에 대해 이진경 교수와 함께 알아보시죠.
    #이진경 #무상 #불교를철학하다
    ●BTN 유튜브를 후원해주세요.
    btn.co.kr/youtube/cms.html (링크 누르고 가입 신청)
    ●BTN불교TV 유튜브 구독하기
    bit.ly/3k5nt10 (링크 누르고 구독 버튼 클릭!)

Komentáře • 19

  • @pyj3849
    @pyj3849 Před 22 dny

    책 읽고 유튜브를 보았는데 역시나 제약이 많은 방송인지라 책의 내용이 훨씬 더 풍부하네요. 책 써 주셔서 감사합니다.선생님.

  • @kaldeek2591
    @kaldeek2591 Před 19 dny

    너무 재밌네요

  • @insookkim5706
    @insookkim5706 Před 2 lety +3

    무상을 통해 끊임없이 새로움을 발견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잘 들었습니다. 우리는 늘 같음을 중요시해왔죠. 감사합니다.

  • @user-pz6ye6pp5p
    @user-pz6ye6pp5p Před 2 lety +4

    몇년전 읽은 책의 내용이 새롭게 떠오르네요 감사합니다

  • @user-rd5hu7nl7j
    @user-rd5hu7nl7j Před 2 lety +4

    나뭇잎이 떨어지는 자체가 본체(확고함은 없는, 불변함이 없는, 무상함), 무상은 어느 순간도 동일하지 않고 항상 차이가 존재한다 그리고 무상의 개념을 이해하고 실천한다면 내 생각과 지식을 바꾸어가는 태도를 동반하게 되고 그럴때 무상의 개념이 의미를 가지게 된다는 것!

  • @psh3138
    @psh3138 Před měsícem

    즐겁다

  • @user-nr9zo7pe3b
    @user-nr9zo7pe3b Před rokem +4

    이진경교수님의철학강의에
    박수칩니다 최고에요!! 1강부터주욱듣고있습니다

  • @user-je4ro2uo9u
    @user-je4ro2uo9u Před 2 lety +2

    매순간 마주한것들 보고 아침 점심 관찰하는것들의 변화 그러나 그본질이 변하는게 아니니 이침이슬먹은 새싹이 점심때
    단단해진 모습이라 댕큐^^~♡

  • @iTheGodi
    @iTheGodi Před rokem

    깨달은 이가 깨고 있는 이를 인도하는 기분이랄까요? 참 감사합니다.
    지구라는 알 속에 살지만 무지의 알에 틈을 내고 무상의 세계를 엿보신 분의 강의라
    알 속에서 벽에 호기심을 가지고 귀기울이고 있는 사람에게 큰 도움이 되는군요.
    자연으로 비유하자면 조류가 알을 품어 깨어 나올 때 도와주는 부모 역할을 하는 것 처럼
    강의가 좋습니다.

  • @user-vn5dc4dk1p
    @user-vn5dc4dk1p Před rokem

    감사합니다 많이 배웁니다

  • @chae-okjeong9097
    @chae-okjeong9097 Před 2 lety +3

    지난 시간 강의를 찾을 수가 없네요.
    강사분이 이진경님 이죠? 오래전 이분 책 읽고 해외생활 하다보니 그후로 흐름이 끊겨서 가물가물 하네요

    • @BTNWORLD
      @BTNWORLD  Před 2 lety +2

      지난시간 강의 주소 알려드립니다. czcams.com/video/20YfXegh5v0/video.html 입니다. 지난 강의를 다시 보실 수 있도록 1주일에 두편씩 업로드해 보실 수 있도록 할 예정입니다.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jaewoonpark2057
    @jaewoonpark2057 Před 2 měsíci +1

    무상 끝이없는변화속에서
    영원한것이없다해서 부처님의 지혜를 깨달아할거다. 말이나 글로되는거아니다 매순간
    깨어라. 수행해라

  • @user-zf8gu8no5o
    @user-zf8gu8no5o Před rokem

    나모아미따바 🎉

  • @user-ht8ff7eh2j
    @user-ht8ff7eh2j Před rokem

    바람에 한들거리는 잎새에 스쳐간 인연들이있어 꽃을 피우고 꽃이지고 잎이 떨어지는것은 책임과의무 자신의 할일을 다하였기에 이치에 따르고 순리에 응하는 섭리가 아닐까요

  • @user-hw1gi7gh2j
    @user-hw1gi7gh2j Před rokem +1

    학생을 가르치듯이 불교핵심을 쉽게 설명 하시네요 개인적으로 무상하다는 말도 무상함?

  • @hours2004
    @hours2004 Před rokem

    무상함이 본체다...

  • @user-wj6sg7qw4p
    @user-wj6sg7qw4p Před rokem

    갈릴레이는 같은재질의 큰쇠공과 작은쇠공을 떨어트려 확인한겁니다.
    그건 거짓이 아닙니다.

    • @iTheGodi
      @iTheGodi Před rokem +2

      환경상 차이가 날 수 밖에 없습니다.
      다만 그 차이가 인지하기 어려울정도로 작은차이 눈깜짝 할 새라 사람들의 통념과는 달랐기 때문에 잘못된 생각을하고 있었다라는 사고의 틀을깨어서 증명된것으로 봤다고
      그 시대를 살지는 않았지만 현세태를 보고 유추해 봅니다.
      중학교 때 과학시간 배울때부터 저건 말이 안되는데 라고 생각했는데 역시나 교수님은 훌륭히 설명해주시는 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