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에게 도전한 천재... 당대 최고의 과학자들도 감히 범접하지 못한 미친 천재성 (with 보어, 파인만, 아인슈타인)

Sdílet
Vložit
  • čas přidán 2. 06. 2024
  • 신이라 불린 남자를 두려워하지 않고 무시했던 당대 최고의 천재, 리처드 파인만.
    20세기 초, 닐스 보어는 과학자들에게 신이라 불렸습니다.
    그는 아인슈타인과 어깨를 견주는 양자역학의 대가였죠.
    그러던 어느날, 닐스 보어에게 20대 풋내기 리처드 파인만은 말합니다.
    "당신의 생각은 바보 같군요."
    보어는 그 20대 풋내기의 반응에 흥미로워하며 그를 눈 여겨 봅니다.
    과학자들의 영화보다 더 영화같은 이야기,
    영상으로 확인하시길.
    흥미로운 영상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Chapter
    0:00 일반인과 영웅
    0:20 보어의 어린시절
    1:07 파인만의 패기
    1:40 아인슈타인의 패기
    2:43 크로니히와 전자스핀
    3:28 영웅의 태도
    - 내용출처:
    1. 실번 S. 슈위버, “아인슈타인과 오펜하이머”, 시대의창, 2019
    2. 짐 배것, “퀀텀스토리” 반니, 2014
    3. 임경순, “기적의해 1905년”, 물리학과 첨단기술, 2005
    4. 베르너 하이젠 베르크, “부분과 전체”, 서커스, 2018
    5. 리처드 파인만, “파인만씨 농담도 잘하시네”, 사이언스 북스, 2018
    - BGM: Aakash Gandhi_A Tale of Vengeance
  • Věda a technologie

Komentáře • 677

  • @youjaesuk4648
    @youjaesuk4648 Před 2 lety +15

    요즘 힘든 시기인데 이런 시대를 앞서간 학자들의 학문에 대한 자세들을 좀 배워보는 것도 되게 중요한것 같아욤 참 대단한 분들임 존경스러움

  • @iknowthissky4324
    @iknowthissky4324 Před 3 lety +7

    영상도좋고 내용도좋고 목소리도좋고 딕션도좋고 전달력과 메세지도 좋고 유익하고 재미있다..

  • @user-se4lh6lw5g
    @user-se4lh6lw5g Před 3 lety +229

    아무래도 그벽이 있는거 같네요 자신의 옳다는곳을 증명한다는것은 그 것에대한책임을 모두 견뎌야하는것이니 무섭네요 하지만 역시 그걸이겨내는분들은 존경할만한것 같습니다 용기를말이죠

    • @sangwooni98
      @sangwooni98 Před 3 lety

      ㄷㄷㄷㄷㄷㄷ3ㄷㄷㄷ0ㄹㄹ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호홓ㅎㅎㅎㅎㅎㅎ

  • @user-mz2tj9lk3s
    @user-mz2tj9lk3s Před 3 lety +74

    특히 과학이나 철학들에 이런 자세들이 필요 하지만 회사 생활에도 이런 문화가 필요하죠.
    부하 직원의 의견을 인신 공격이나 상명하복의 자세로 대하는 상사들에게 꼭 필요한 영상.
    더불어 우리나라 과학계의 엘리트들이 꼭 봐야할 영상 입니다.

    • @user-vz5vf4lg6f
      @user-vz5vf4lg6f Před 2 lety +1

      누가뭐라해도 그들은 듣지않는 다 고로 쓸모없다 인간은 고쳐쓰는게아니다

    • @in4037
      @in4037 Před rokem

      철학자나 과학자들은 반대 의견을 듣고 이치에 맞으면 수용할 그릇이 되지만 회사 상사들은 그런 그릇이 안됨

  • @user-lj9dc2zl1q
    @user-lj9dc2zl1q Před 3 lety +3

    오늘도 영상 너무 잘봐써욥 !! 어릴 땐 내 생각을 상대가 누구든 잘 말할수 있었는데 점점 나이들어갈수록 .. 내 생각이 아닌 상대가 원하는 답을 말하게되는게 씁쓸하네유ㅠ .. 자신이 공부한 것이 맞다고 교수님이라던지.. 다른사람들 앞에서 당당하게 말할수있다는건 그런 태도를 갖기까지 얼마나 공부하고 생각했을까요 ㅜㅜ 화이팅

    • @softdragon
      @softdragon  Před 3 lety +3

      잘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도 그래요. 나이를 먹으면 먹을 수록 할 말을 못하게 되죠 ㅠ.ㅠ
      할 말을 하면 할수록 잃는 것이 많아지니까요.

    • @user-lj9dc2zl1q
      @user-lj9dc2zl1q Před 3 lety

      우아 답글 감사해요//_//~! 그래두 에쏘디님 영상으로 마니 말씀해주세요 ㅠㅠ ㅠㅠ 넘 유익하구 재밋고 속시원해서 좋답니다,,

  • @kgm0730
    @kgm0730 Před 3 lety +337

    내가 맞았다고 주장할만큼 공부를 하지 않았다

    • @kgm0730
      @kgm0730 Před 3 lety +1

      @Trick or treat Q 자신감조아!!!! 가스아!!!!!!

    • @AngryOneMonkey
      @AngryOneMonkey Před 3 lety +1

      이래서 보통 말을 못하는데, 따지고보면 석학들도 공부가 부족햇다는거...

    • @user-kv6gf2ce4t
      @user-kv6gf2ce4t Před 3 lety

      현재 17살 오늘도 공부할 이유를 찾아갑니다 감사합니다

    • @user-or7od5dn5m
      @user-or7od5dn5m Před 3 lety

      사실 이게 정답이지. 자신에대한 신뢰가 보통사람들은 퀘스쳔 마크지

  • @JH-jl2qe
    @JH-jl2qe Před 3 lety +718

    나: 교수님, 이부분은 교수님이 틀린것 같습니다. 교수님: F

    • @softdragon
      @softdragon  Před 3 lety +163

      ㅋㅋㅋㅋㅋㅋㅋㅋㅋ

    • @Indian9661
      @Indian9661 Před 3 lety +362

      교수님 : 오우 왜 그렇게 생각하지? 내 연구실에서 진지하게 토론해 볼까?
      그렇게 연구실에서 박사까지 마치고 풀려났다고 한다

    • @user-di7zr9em5v
      @user-di7zr9em5v Před 3 lety +32

      @@Indian9661 홀리 쉿...대학원생

    • @user-ne4vh7co1y
      @user-ne4vh7co1y Před 3 lety +13

      C. 재수강하여라(도돌이표 인생)

    • @user-tv1un2zw8g
      @user-tv1un2zw8g Před 3 lety +36

      @@Indian9661 그 후 메차쿠챠 연구했다

  • @dhk4964
    @dhk4964 Před 3 lety +41

    천재들의 마인드는 굉장히 심플해서 가장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답을 도출해내는거같다. 답이 존재하는데 그것이 상사든 선배든 변하지않기에 답을 말할뿐이구나.

    • @user-vz5vf4lg6f
      @user-vz5vf4lg6f Před 2 lety

      아니요 상상해서 그걸 입증할 공식을세우거나 결론을 도출에 성공을 이루죠

    • @won3274
      @won3274 Před rokem

      효율만 따지는게 우리 사회가 아닙니다 정치를 모르는것이지요 라고 하죠 답답하게

  • @user-cb9iz4mf1r
    @user-cb9iz4mf1r Před 3 lety +165

    영상 보니 고2 수학 시간에 수학쌤이랑 논쟁했던 기억이 난다.
    그 때가 자습 시간이었는데 문제 풀다 모르는게 있어서 쌤한테 질문 하다가 실랑이가 벌어졌었음.
    0의 0승의 정의를 가지고;
    난 당시 인강 보면서 독학했었는데 분명 인강에서 '0의 0승은 정의하지 않는다' 라고 배웠고 증명도 직접 해보면서 정리했던 기억이 있는데 쌤이 당연하게 0의 0승을 1로 보고 문제 설명을 해주셔서, 나는 0의 0승은 정의하지 않는다고 알고 있는데 그렇게 접근하는게 맞는거냐라고 되물었고 쌤은 모든 수의 0승은 1인데 정의하지 않는다는 건 무슨 말이냐 서로 이러면서 논쟁을 벌였었음.
    그 모습을 보고 있던 반 애들이 쌤이 맞겠지 니가 맞겠냐 왜 그렇게 우기고 앉았냐며 다구리를 치더라. 난 너무 억울해서 쌤 폰으로 검색해 보자고 했고 검색해 보니 내 말이 맞았음. 내가 방방 뛰면서 거봐 내 말이 맞잖아!! 이러니까 애들은 또 그거 시험에 안나온다고 고만 하고 들어오라고 쿠사리 먹이더라.
    보니까 편의 상 0의 0승을 1로 정의할 수도 있다고는 하는거 같던데. 가르치기를 원래는 정의하지 않되, 편의상 1로 볼 수도 있다고 하는 거랑 모든 수의 0승은 1이라고 하는 거랑 엄연히 다른 건데 어째서 그런 디테일들을 무시하고 문제 풀이만 뚝딱 하려는지 난 너무 이해가 안갔음. 더구나 인강쌤은 정의하지 않는다고 확실히 말씀해주셨었는데.
    난 수학을 공부하면서 증명할 수 있는 건 전부 증명 해보고 단 하나의 사소함도 그냥 넘어가지 않고 논리적으로 타당한지 전부 따져가며 공부했었던 터라 그 상황이 더 이해가 안갔었어.
    그 때 당황했던 점 2가지.
    하나는 수학 선생님께서 0의 0승은 당연히 1이라고 생각하고 계셨다는 거랑
    더 어이 없는 건 내 말이 맞았음에도 시험에 나오지도 않는 걸 쓸데 없이 물고 늘어지고 있다고 면박 주던 반 애들.
    도대체 뭘 위해 공부하는 건지 현타 왔었음 하..
    학교 다니면서 제일 듣기 싫었던 말이 '그거 시험에 안나와'
    지적 호기심과 탐구심 같은 건 뭉개버리는 대한민국 교육에 신물이 남
    아인슈타인 왈 '정규 교육 속에서 호기심이 생긴다면 그것은 일종의 기적이다'

    • @dhdp2338
      @dhdp2338 Před 3 lety +15

      와우... 미래 꼰대들 키우는 정규 교육!!

    • @user-lv8uj3hg9u
      @user-lv8uj3hg9u Před 3 lety +13

      0⁰은 정의되지 않는다 또 하나 얻어갑니다

    • @blackwell1201
      @blackwell1201 Před 3 lety

      한국 교육은 주입식 암기를 통한 줄세우기에만 관심있다. 왜냐하면 한국의 대학들이 설대를 시작으로 줄 세워져 있기 때문이다. ㅂㅅ같은 한국교육..

    • @user-id2vv3io1g
      @user-id2vv3io1g Před 3 lety +2

      주입식 교육이 안좋은것도 있는데
      애초에 자기들이 스스로 공부안하는게 문제임
      자기가 관심있다면 교육과정 외의 내용도 찾아볼수밖에 없머

    • @ry0_yamada
      @ry0_yamada Před 3 lety

      @@user-id2vv3io1g유튜브나 보고있는 내가 할 말은 아니긴 한데 그거 하기에도 너무 바쁘게 만들어놨어..

  • @Issue-uploader
    @Issue-uploader Před 3 lety +320

    요즘은 비전문가들이 전문가들에게 저런 행세를 하니 문제가 되죠.
    소득주도성장 탈원전 공공의대
    전부 비전문가들이 자기가 맞다고 우기니까 세상이 헬로 바뀝니다 ㅠ

    • @softdragon
      @softdragon  Před 3 lety +116

      ㅇㅈ

    • @user-iy3gn8pw9i
      @user-iy3gn8pw9i Před 3 lety +39

      핵융합 시설이 있는 거면 모를까 태양광 발전시설 자체가 현재로서는 효율이 높지도 않고, 기후에 영향 받는 놈인데. 둠 이터널의 아전트 에너지 정도 구해온다면 탈원전 찬성.

    • @user-ff1cf4pj5x
      @user-ff1cf4pj5x Před 3 lety +2

      @@user-iy3gn8pw9i 그거 보다 더 좋은것 타임볼텍스

    • @user-vl5co7eb2s
      @user-vl5co7eb2s Před 3 lety +2

      @@wnsals9965 사람마다 생각이 다를 수 있는 부분이 있고 부모의 자녀에 대한 양육 가치관은 이에 어느정도 부합한다고 생각함. 하물며 자신이 거부하고 생각한대로 실천한 끝에 큰 행복과 만족을 느낀다면 그것이 무엇이 틀렸다고 한들 그 사람에겐 옳은 방법이라 해도 될 것임. 그런가보다 하고 넘어가시는게 제일 이로울 듯. 문장의 해석은 제각각 다를 수 없지만 그 적용은 달라지기 마련이니까. 근데 저 분 중2병 같기도 하고.

    • @user-vl5co7eb2s
      @user-vl5co7eb2s Před 3 lety +2

      @Lucifer Q 무엇이 똑같음? 그렇게 생각한 이유는? 자신에게 100퍼센트 동의하지 않는다면 다 적으로 보이고 똑같이 미련해보임? 중2병 같기도 하다라는 말이 심기에 거슬림? 약간 우월주의가 엿보이는데 독선적이고 오만함은 남들을 압도하는 천재성이 있지 않는 한 독만 될거임. 생각의 틀을 넓히고 무언가를 도피하려고 하지 말고 사고에 여지를 두셈. 혼자만의 공상에 빠지는 것, 특별함을 만드는 것 그리 나쁘다고 생각안함. 그런데 다른 사람들에게도 그게 객관화될 수 있는 진리이길 강요하지도 말고 바라지도 마셈.

  • @dasan0917
    @dasan0917 Před 3 lety

    정말 훌륭한 영상입니다. 정말로.

  • @user-vf5zs4gi5t
    @user-vf5zs4gi5t Před 3 lety

    방장님 좋은 자료감사하고요 우리는 목마릅니다..기다립니다

  • @scienceazac
    @scienceazac Před 3 lety +1

    자신의 이론이나 연구결과에 대한 확신...보어나 아인슈타인이나 그 확신을 가지기까지 엄청난 연구과 이론 검증이 있었겠죠. 그래야만 의문이 확신이 확신이 신념이 되어 행동과 말을 일으켰을 거니까요. 오늘도 잘 보고, 듣고 갑니다.

  • @luishan897
    @luishan897 Před 3 lety

    영상 잘 보고 가요

  • @user-ce3rq1cf7t
    @user-ce3rq1cf7t Před 2 lety +1

    멋있다는 말밖에 안나오고 브금도 멋있네요

  • @user-wr7bq7pi3y
    @user-wr7bq7pi3y Před 3 lety

    항상 응원합니다
    즐겁게 잘보고있습니다
    감사감사

    • @softdragon
      @softdragon  Před 3 lety

      아닙니다. 저야 말로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hyungsup2
    @hyungsup2 Před 3 lety +1

    틀렸다고 말하려면 상대방이 이해 할수 있는 수준으로 설명을 해야 되는게 맞다고 생각됩니다. 소신을 끝까지 밀고 가고요. 또한 누군가가 헛소리를 하면 멍청하다는 인신공격보단 그게 왜 타당하고 그 주장의 헛점을 파고들어야 된다고 생각해요. 현대 사회에선 자기 자신만 알고 있으면 우물안의 개구리가 될 확률이 높다고 생각해요. 서로 constructive criticism을 하다보면 발전 하지 않을까 생각되네요.

  • @user-zo4jj5th9j
    @user-zo4jj5th9j Před 3 lety +2

    영상 진짜 잘 만드시네

  • @user-tn5sn6hz7p
    @user-tn5sn6hz7p Před 3 lety +135

    교수를 보자마자 교수님 이 부분이 틀렸습니다? ㅗㅜㅑ...
    저런 자신감은 대체 어디서 나오는 걸까요?

    • @shlee3085
      @shlee3085 Před 3 lety

      다른 시각으로 보는 관점

    • @user-tn5sn6hz7p
      @user-tn5sn6hz7p Před 3 lety +1

      @@shlee3085 다른 시각이랑 자신감이랑 무슨 상관이죠?

    • @shlee3085
      @shlee3085 Před 3 lety

      @@user-tn5sn6hz7p 다르게 생각하기에 그것을 이야기로 전달할 수 있는 것 아닐까요?

    • @shlee3085
      @shlee3085 Před 3 lety +2

      @Trick or treat Q 다른 생각이나 비판 등 이유가 있다면 모를까 그저 비난이면 기분나쁠 것 같네요.

    • @GGolfemiKimchiboGDetector
      @GGolfemiKimchiboGDetector Před 3 lety +7

      틀린거 같아서 말을 해도
      '이거 뭔가 이상한거 같은데요?' 라고 말할거 같음
      교수정도 되는 사람이 한걸 일개 내가 봐서 뭔가 이상하면 그건 분명 내가 잘못본게 분명함
      (이건내 인생경험상 내가 이상한거 같다고 생각한게 있으면 대부분 나만 잘못본 경우가 많았음 남들 다 제대로 보고 넘어갔는데 나만 이상하게 보고 뻘소리함 ㅠㅠㅠ)
      근대 애초에 교수에게 저렇게 말할정도면 어느정도의 지식수준과 잘못된 것을 제대로볼 수준의 지능, 인지능력
      그렇게 말할 수준의 당돌함이 모두 있어야 할 거 같은데

  • @user-rc6fj1dc1k
    @user-rc6fj1dc1k Před 3 lety +121

    자존심 강한 천재들을 보니까 가슴이 웅장해진다...

    • @user-px4ty8yp7h
      @user-px4ty8yp7h Před 3 lety +13

      이것이 진정한 자강두천인가... ㄷㄷ

  • @soongsoong123
    @soongsoong123 Před 3 lety +3

    에스오디 구독한지 이제 1년 넘었으려나요?
    아.. 상대성이론, 양자역학 관련 물리학 이론만큼 가슴 뛰게 보는 영상이 이런 겁니다.
    저 또한 제가 보통 사람이 아니라고 여기기에, 제 실존을 중시한만큼 다른 것들을 포기하고 살고 있습니다.
    가슴 뜁니다. 제 길이 옳았음을 증명하는 날이 올 것입니다.

    • @softdragon
      @softdragon  Před 3 lety

      잘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사실 저도 이런 류의 영상 제작을 상당히 선호합니다.
      영상을 만들다보면 "와 내가 만들어도 너무 재밌고 흥분된다"는 영상이 있고
      "이건 솔직히 내가 만들었지만 재미가 없네" 싶은 영상이 있습니다.
      이런 영상들은 명백히 전자인데, 자주 안 만들게 되는 것은 아무래도 인기가 좀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제 유튜브 채널에서 '역사' 쪽에 큰 관심을 가지지 않더라고요.
      평타는 치는 기술 분야 vs 인기가 떨어지는 물리학...
      아무래도 평타는 쳐야되니 전자를 많이 만들지만 재밌는건 후자에요.

    • @user-sd7su8qn3f
      @user-sd7su8qn3f Před 2 lety

      응원합니다

  • @juyoung30
    @juyoung30 Před 3 lety

    와,,,자극받네요 열심히 공부하겠습니다@@

  • @nsi7993
    @nsi7993 Před 3 lety +1

    좋은 영상 감사합니당

  • @lilking6353
    @lilking6353 Před 10 měsíci +7

    비단 과학의 영역뿐만 아니라 창의성이 요구되는 분야는 적용되는 교훈이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타투를 처음 배울때 나름 그 업계에서 이름을 날리고 인정을 받고 있는 분들게 배울수 있는 기회가 생겼고 배우는 중에 예상치 못한 충돌이 있었는데 바로 그림 도안에 대한 의견차이였습니다. 저는 기존엔 없는 타투 스타일이지만 ‘그림’이라는 관점으로 폭넓게 스타일을 시도하고 싶었고 그분들은 ‘타투그림’이라는 고정관념으로 이미 분류되고 있는 스타일 이외의 것은 타투에 적합하지 않는 그림이라며 사고의 틀에 가뒀습니다. 저도 그들의 명성을 알기에 자칫 오만방자해 보일까 배우는 입장이라는 사정때문에 뜻을 굽혔지만 2년이라는 시간이 흐르고 제가 시도하려 했던 스타일들이 세상에 나오고 관심을 받는걸 보면서 그때 당시 나의 시도를 반대했던 분들의 태세전환까지 겪어보니 영상의 교훈이 더 피부로 와닫네요.

    • @user-nd6vd5fe3d
      @user-nd6vd5fe3d Před 9 měsíci +1

      그렇군요. 그런 엄연한 ‘불법’에서도 나름의 교훈과 도제시스템이 기생을 하는군요😅

    • @lilking6353
      @lilking6353 Před 9 měsíci

      @@user-nd6vd5fe3d 네 우물 안에서 나오세요. 한국에서 타투가 불법인 근거는 그 자체의 불량함이나 타인에게 피해를 주기때문이 아닌 법적으로 의사들이 아니면 허용하지 않는 행위에 속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간호사들도 간호사법 이야기를 하는게 간호사도 병원에서 관습적으로 하고있는 업무들이 당신이 문제시 하는 영역의 불법을 저지르고 있는 법법자들이기 때문입니다. 구청에 신고해서 단속나오면 타투이스트랑 같은 이유로 간호사들 처벌 받습니다. 수술실 cctv반대도 같은 이유로 하는것도 있구요. 그림문신이나 눈썹문신이나 법적으로 처벌하는 근거는 똑같은데 주변에 눈썹문신 받은사람 한명도 없다면 돌을 던지셔도 됩니다. 그리고 한국 타투이스트들이 왜 해외로 나가는줄 아십니까? 해외에서는 타투’아티스트‘ 대접을 받을만큼 미술에 있어서 배울대로 배운 사람들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법이 웃긴게 보건위생에 관한 관리단속은 국내 영토에서 행해진 것 한정이기때문에 해외에서 타투 작업 한것은 처벌하지 못합니다. 역으로 외국인이 자국에서는 자격이 인정된 인정받는 실력의 아티스트라도 한국에서 합법적으로 활동하려면 수능 상위 1프로를 뚫고 10년간의 공부와 수련과정을 통해 의사면허를 취득해야 합니다.

    • @lilking6353
      @lilking6353 Před 9 měsíci

      @@user-nd6vd5fe3d 법이 곧 선과 악을 구분하는 잣대나 도덕을 결정하는 기준이라 생각한다면 생각을
      확장할수 있는 경험을 많이 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아 그리고 혹시 주변에 당뇨환자 있어서 자가 체혈 기기로 체혈해야할때 해주지 마세요. 타투와 같은 근거로 처벌받는 불법입니다. 귀걸이도 물건살때 구매만 하고 병원가서 의사 손을 빌려서 뚫으세요. 의사 면허없는 악세사리 가게에서 귀 뚫은 여자들 다 불법으로 뚫은겁니다. 의사 면허가 없는 사람이 체했다고 손따주는것도 타투랑 같은 근거로 처벌받는 불법이니 바로 신고하세요.

  • @user-k87
    @user-k87 Před 3 lety +1

    스스로 성장하려노력하며 그렇게하는건 정말 좋은것이라생각합니다. ㅎ ㅎ
    최근 에스오디님의 심경이 묻어난 영상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드네요 ㅎ ㅎ

    • @softdragon
      @softdragon  Před 3 lety

      예 맞습니다. 원래 몇달전부터 준비해둔 에피소드였는데
      근래 느낀 점들이 많아 아 이제 이 에피소드 꺼낼때가 됐구나 싶었습니다 ㅎㅎ

  • @inshikpark3766
    @inshikpark3766 Před 3 lety +1

    흔히들 주장을 하고싶으면 너 스스로를 먼저 완벽하게 납득시키라고 하죠. 그리고 네가 한 연구는 그 누구보다 네 자신이 잘 아는것이니 자신감을 가지고 논리를 펼치는게 중요하다고도 하구요. 석사를 거쳐 박사과정에 접어들어 점점 comfort zone만 찾고 있는 저 스스로에게 좋은 일침이 되는 영상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 @a135798135
    @a135798135 Před 3 lety

    와..이번영상 너무좋다.ㅡ

  • @user-wh8yz4rv8e
    @user-wh8yz4rv8e Před 3 lety

    칸트가 떠오르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spaceman7801
    @spaceman7801 Před 3 lety

    선좋아요 후시청

  • @user-co4rr3wx2l
    @user-co4rr3wx2l Před 3 lety +5

    내가 세상에서 가장 존경했던 리처드 파인만 교수님ㅠㅠ

  • @k24306625
    @k24306625 Před 3 lety +3

    보어의 이야기는 뭔가 가슴이 아프네요. 본인이 좋아하는 물리를 연구하는 과정이 그의 지도교수 jj톰슨 한 사람 때문에 불행했을 것을 생각하니....

  • @intelligentinvestor4003

    이 영상 sod님 영상 중에 제가 가장 좋아하는 영상입니다

  • @user-gp4qq6xr5p
    @user-gp4qq6xr5p Před 3 lety +2

    이런거볼때마다 진짜 리처드 파인만이 제일 멋있는것같아요

  • @arthurchoi5807
    @arthurchoi5807 Před 3 lety

    제가 제일좋아하는 주제네요 ㅎㅎ 과학계의 거장들.. 역시 남다릅니다.

  • @yoonmincho7753
    @yoonmincho7753 Před 3 lety +2

    확실히 자신이 넘치며 그리고 실력까지 갖춘사람들이 성공하는 경우가 다수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운이 따라주지 않으면 비운의 천재로 남는 사례도 수두룩하기도 하고 흠

  • @user-ui8vx2dv6k
    @user-ui8vx2dv6k Před 3 lety +2

    와.. 한편의 철학영상을 보는것같습니다. 오히려 이런 물리학관련영상을 올리시는게 나을것같아요

  • @robink99
    @robink99 Před 3 lety +1

    자신의 주장과 신념이 맞다는 합당한 이유가 반드시 있어야 하고, 그것이 아무리 봐도 맞다고 생각된다면 남들이 뭐라하든 밀어붙일 수 있어야 하는 것

  • @user-zp9wt6sb3b
    @user-zp9wt6sb3b Před 3 lety

    멋지셔~ 짝짝짝!!!

  • @jae7428
    @jae7428 Před rokem

    와 깔끔하다~~~

  • @You-kd7dm
    @You-kd7dm Před 3 lety +2

    에스오디님을 통해 과학지식 뿐만 아니라 인생을 배웠었어야 했는데. .

  • @nralgao7404
    @nralgao7404 Před 11 měsíci

    합당한 근거를 통해 자신의 주장이 확실하다고 생각되는 경우에 "아니오"라고 말하는 사람들이 저런 훌륭한 과학자,위인들이 되는 듯요.. 남들이 가지고 있던 집념,사회적 통념을 깨 부스는 새로운 지평선을 열어 재끼는 선구자들 단순히 그들의 "똑똑함'을 시셈하고 부러워 하기 보단 그들이 가지고 있던 태도,신념,자세 들을 들여다 보는것도 굉장히 중요한 듯요.

  • @user-jq7xe6op4g
    @user-jq7xe6op4g Před 3 lety +1

    SOD님 영상 이해는 못 하지만 자주 즐겨보는 문돌인데, 이번 영상은 뭔가 이해 한 것 같습니다....

  • @user-sk6fl3mz8k
    @user-sk6fl3mz8k Před 3 lety

    감사합니다 🙏

  • @inyoung9027
    @inyoung9027 Před 2 lety +2

    멋진 사람들의 생각속에 멋진 인문학 철학이 녹아있는듯

  • @youngyicify
    @youngyicify Před 3 lety +1

    직장생활과 학문을 탐구하는 분야는 다르죠! 그래도 좋은 내용입니다.

  • @sailormoon215
    @sailormoon215 Před 3 lety +70

    비록 천재는 못되더라도 우리는 끊임없이 의심을 해야합니다. 그것이 바로 '철학함'이라는 거죠. 문이과 상관없이 모두에게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sailormoon215
      @sailormoon215 Před 3 lety +6

      @@KS-tu1zc 프사가 무슨 상관인가요? 겉모습만 보고 사람을 판단하는 것과도 같네요.

    • @user-fv8rm7ui3z
      @user-fv8rm7ui3z Před 3 lety +6

      @@KS-tu1zc 세일러문도 모르는 요즘 급식들은 그냥 애니프사인줄 알겟지

    • @user-iz6my5vk9d
      @user-iz6my5vk9d Před 3 lety

      @@user-fv8rm7ui3z ㄹㅇ 세일러문이면...

    • @user-it4dx1hn1k
      @user-it4dx1hn1k Před 3 lety +1

      철학은 말장난에 불과하다
      -리처드 파인만

    • @KS-tu1zc
      @KS-tu1zc Před 3 lety

      @@user-fv8rm7ui3z 나때는 급식이란 단어가 없었는데 언제부턴가 급식이란 단어가 생겼는지.....

  • @user-cb9iz4mf1r
    @user-cb9iz4mf1r Před 3 lety +39

    파농잘에도 나오는데 영상 속 천재들은 반론을 제기할 패기도 있지만 반론을 받아드릴 겸손도 갖추고 있음.
    파인만이 말하길 보어와 아인슈타인 같은 거물들의 위대함은 여러 관점들에 관대하며 반론에 대해 본인의 의견을 반복해서 강조하지 않는다는 것.
    그저 진리와 본질에만 다가서려는 일류들의 순수한 열망 때문인걸까.
    진리를 위해서라면 다수의 생각도 또한 나의 생각도 틀릴 수 있음을 염두하고 있는.

  • @user-do6hq1gp8e
    @user-do6hq1gp8e Před 3 lety +2

    여담으로 파인만은 금고따기(전문가가 와서 물어볼 정도로), 짐베 연주(세계권 대회 진출 경력), 고대 마야 문자 해독등을 할줄 알았다고 하네요

  • @borachoi6085
    @borachoi6085 Před 3 lety +3

    0:09 "그럴 수도 있죠. 그런데 아닐 수도 있잖아요. 그러니까 일단 들어보세요." 라고 말하는 편이네요 저는

  • @user-ub1lp6bl6l
    @user-ub1lp6bl6l Před 3 lety +1

    SOD님 영상을 보면 대학원에 가고싶네요...

  • @istar7360
    @istar7360 Před 3 lety

    근현대과학사에 관한 영사들은 항상재미있네요~

  • @user-fp6zu7yu1q
    @user-fp6zu7yu1q Před 3 lety +2

    옛날부터 과학자 소개해주는 영상이 진짜 재밌었음

    • @softdragon
      @softdragon  Před 3 lety +1

      감사합니다. 저도 이런 느낌의 영상을 좋아해요.
      다만 역사 쪽 다루는 영상은 인기가 별로 없어서 아무래도 자주 안 만들게 되네요.

    • @user-fp6zu7yu1q
      @user-fp6zu7yu1q Před 3 lety

      에스오디 SOD 거의 구독한지1년 넘어가는데 처음에 봤을때 신선하고 재밌어서 즐겨보는 채널이에요❤️❤️❤️

  • @cherryblossom3167
    @cherryblossom3167 Před 3 lety +45

    나는 에스오디 영상이 올라오면 바로 챙겨본다. 간단한 일이다.

  • @jjw5484
    @jjw5484 Před 3 lety +9

    에디오스님의 영상이 신뢰가가고 믿음이가는 이유는 다른 어느 유튜브들과 다르게 팩트와 뒷바침하는 증거자료로 속사포로 때려박기 때문

  • @user-hm1nu3qg5g
    @user-hm1nu3qg5g Před 3 lety +1

    에스오디님...혹시 환경에는 관심 없으신가요...우리가 너무 좋은 세상에 태어나서 다들 더 좋아질거라 기대하지만 저는 벼랑이 보이는 것 같아서 요즘 힘드네요 오늘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softdragon
      @softdragon  Před 3 lety

      2달전인가 만든 적이 있어요. '가장 현실적인 지구 종말 시나리오 에스오디' 검색하면 있을거에요.

    • @user-hm1nu3qg5g
      @user-hm1nu3qg5g Před 3 lety

      세상에 영상 엄청 잘 만드셨네요... 이런 분들이 이와 같은 책을 쓰고 강연을 다녀도 아직도 관심이 없는 분들이 너무 많은걸 보면 이를 막을 방도는 없나봐요 지구 온난화에 대해서 말해봤자 다들 듣고 싶어하지를 않네요.. 감사합니다

  • @user-dj7ro9du6l
    @user-dj7ro9du6l Před 3 lety

    멋집니다.
    그렇게 살아야 합니다.

  • @user-sm7el6wr3x
    @user-sm7el6wr3x Před 3 lety +3

    조회수 1이길래 1등인줄 알았더니 아니네.. 이번편은 과학이야기를 가지고 바람직한 삶의 태도를 재미있게 가르쳐 주셨네요. 아무리 위대한 것도 과거에 얽매이며 변화를 두려워하는 순간 더 이상 위대한 것이 아니게 되는 것 같습니다.

  • @user-vj9vu5yg8c
    @user-vj9vu5yg8c Před 3 lety +1

    리처드 파인만이 문제에 대해 이견을 제시할 수 있었던 이유는 공감각자였던 부분도 한 몫했을 것 같음.

  • @Tangtangiiii
    @Tangtangiiii Před 3 lety +1

    1분 과학님 오늘 영상 구조가 참 맘에 드네요. 내용도 참 알차고 많은 내용이 있다고 생각해요! 감사합니다 오늘도

    • @FLOW-so1eh
      @FLOW-so1eh Před 3 lety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bi1wk8nc1s
    @user-bi1wk8nc1s Před 3 lety +69

    ?? : 교수님이 틀리셨습니다
    교수 : 그래 자네 이름이 뭔가?
    그렇게 저는 F를 받았습니다

  • @user-mr5uc3dp7k
    @user-mr5uc3dp7k Před 3 lety +5

    1.내가 할 말은 할 수 있어야 된다는 소신과 신념의 중요성
    2.허나 그렇지 못한 대한민국 대학원생들의 현실과 권위적 교수에 대한 풍자
    3.모두가 알만한 과학자들을 예시로 이러한 세태가 조금이라도 바뀌길 바라는 갓스오디의 논리적 설득 이 모든 3박자가 고루 갖춰진 영상
    난 이래서 당신이 좋아요 갓스오디☆

  • @user-ok1xr5uq6h
    @user-ok1xr5uq6h Před 3 lety +30

    캬 진짜 천재들은 다르긴 다르구나

  • @kiva9583
    @kiva9583 Před 3 lety +31

    무릇 학자는 경쟁보단 자신이 정한 목표를 향해 뚜벅뚜벅 걸어가는 존재라고 하죠 아인슈타인도 마찬가지 인것같아요

  • @kimjeffry6694
    @kimjeffry6694 Před 2 lety +2

    오피(오펜하이머의 별명)가 실험실에서의 기억이 수치스러웠다고하는것은 톰슨때문이 아니라 오피의 실험쪽 적성이 별로였기때문입니다. 오피는 하버드시절 화학실험을 하다가 실패한경험이 있고, 심지어 친구에게 위험물질을 타서 거의 죽게 할뻔한 과실치사. 경험도 있습니다.

  • @user-wg3up9pb9k
    @user-wg3up9pb9k Před 3 lety +3

    저 이런영상 엄청 좋아해요 다음에도 비슷한 영상 올려주세요~~♡♡

  • @user-oy6et8kn1l
    @user-oy6et8kn1l Před 3 lety +98

    여러분
    틀렸다는 걸 입증할 수 있는 천재가 되어야합니다.
    우리가 왜 상사의 말을 고지곧대로 듣냐면
    우리가 멍청하기 때문입니다.
    또는 반문하다가 진짜로 낙오자가 되기에 함부로 말을 못 합니다.
    용기와 현실을 구분합시다 여러분

    • @RaccoonCat_2001
      @RaccoonCat_2001 Před 3 lety

      @Trick or treat Q 당신 말은 틀렸소~

    • @user-fk7ss8jw4n
      @user-fk7ss8jw4n Před 3 lety

      그래서 실제로 실천했다가 칭찬받았다 한순간에 형들한테 깨져버림..큼.. 제대로 말해주고 형들이 살짝 틀린거 잡아줫는데도 그거 그렇게 하면 망하는거 잡아줬는데도 욕들어먹음 리발럼들

    • @ljg3794
      @ljg3794 Před 3 lety

      저는 그래서 네네하고 뒤에가서 다시 확인합니다...

  • @thirstyshinjjang
    @thirstyshinjjang Před 3 lety +3

    확실히 이번영상 개멋있네요 ㄷㄷ

    • @softdragon
      @softdragon  Před 3 lety +3

      감사합니다. 저는 이런 느낌의 영상을 좋아하지만 이런류 영상은 인기가 별로 없어요 ㅋㅋ 역사 쪽이다보니.
      기술 쪽이 인기가 많은듯!

  • @kitty9439
    @kitty9439 Před 3 lety

    용기와 희망을 주는 영상이네요 하지만 보통은 현실에서 파인만이나 보어대신 갈릴레이가 되어버리곤하죠. 양날의 검같습니다

  • @YangTheory
    @YangTheory Před 3 lety

    뭔가 파인만씨말은 아닐때도 있지만 거의 항상 정감이가요

  • @hyeon6925
    @hyeon6925 Před 3 lety +6

    아 ㄹㅇ 같은 시대에 살고싶네

  • @sky_keeper
    @sky_keeper Před 3 lety +2

    그런데 저렇게 자신있게 줄곧 살아가려면, 일단 어느 분야에서든 천재적이어야하겠죠. 그게 물리학이던 스포츠던 사업이던. 오졌다리!

  • @user-fz8iu4cy7w
    @user-fz8iu4cy7w Před 3 lety

    멋지다....진짜

  • @HeartDan
    @HeartDan Před 3 lety +1

    주장을 굽히지 않는 건 중요하지만 가장 중요한건 그게 논리와 근거가 뒷받침 되었을 때 해야하는 행동이라는 거죠. 논리도 근거도 없이 허위 주장을 하면.. 말 안 해도 다들 아시겠죠.

  • @noonsaram456
    @noonsaram456 Před 3 lety

    이번 컨텐츠 왠지 느낌이 님의 고집적이고 자기주장 강한 성형을 뒷받침하는 영상이라는 것이 강하게 느껴지는데요....

  • @qa4974
    @qa4974 Před 3 lety

    1:51 에 나오는 아이슈타인이 한줄만 추가해 보냈다는걸 어디서 볼 수 있나요?

  • @zum2972
    @zum2972 Před 3 lety +57

    키포인트
    확실한 근거가 뒷받침되야한다는것.
    어설프게 따라하다가는 걍 백수행

    • @user-gg8su3ux3g
      @user-gg8su3ux3g Před 3 lety

      확실한 근거가 있어도. 신이 반대하면..깨갱하게 된다는 거..
      신의 반대에도 깨갱하지 않고 자기의 주장을 우길 수 있는 자신감과 배짱. 시대를 타고 나야 하는거.
      어설프게 신이 맞다며 따라하면 거의 미래가 보장되지만..
      근거와 용기가 있어..신.. 당신이 틀렸어 하는 사람중.. 거의 대다수.. 어쩌면 99%는 미래가 암울해진다는 거... ㅎㅎ
      이거나 저거나. 1%만이 영광을 차지 하는거.. 그게 세상의 법칙이라 믿습니다..ㅎㅎ

    • @user-it4dx1hn1k
      @user-it4dx1hn1k Před 3 lety +2

      근데 근거없이 어설프게 따라한 평평이들은 왜이리 세력이 강함?

    • @user-qx8tw7rc8m
      @user-qx8tw7rc8m Před 3 lety +1

      @@user-it4dx1hn1k 그런 병신들끼리 서로 치켜세워주기때문임 (병신 수가 많다는 뜻)

  • @user-cq7ij2rv5c
    @user-cq7ij2rv5c Před 3 lety +6

    화1에서 톰슨과 보어의 원자모형을 배웠어서 좀더 쉽게 이해했습니다.
    둘의 관계를 알고 보니까 더 흥미가 생기네요.

    • @user-mj1kj4ke8r
      @user-mj1kj4ke8r Před 2 lety

      고등화학에서의 원자부분은 물리의 오비탈적 개념과정의를 알고보면 더욱 흥미롭고 도움될것입니다

  • @user-xt5lf9ju8q
    @user-xt5lf9ju8q Před 3 lety

    썸네일 두분 다 천재인듯

  • @moonchold
    @moonchold Před 3 lety

    내가 누구에게 말하고 있는지를 잊어버리곤 하는 멍청이 멋있네요..

  • @user-bq8dv4uz1e
    @user-bq8dv4uz1e Před 3 lety

    오우 가슴이 웅장해진다

  • @bbangbbang433
    @bbangbbang433 Před 3 lety +6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확신이 없으면서 노라고 하면 아집에 불과하겠죠. 열심히 공부해야 한다는 생각이 드네요.

  • @Moon-rz7yv
    @Moon-rz7yv Před 3 lety

    그냥 포기 안하는 사람이 새로운걸 발견하네요

  • @i79
    @i79 Před 3 lety

    이렇게 교수님이 씨 뿌릴 텃밭을 만드시는군요 :D

  • @user-ss3gw1rp3v
    @user-ss3gw1rp3v Před 3 lety

    내 이론에 대해 설명하는 것에 비해, 상대방이 틀렸고 내가 맞다고 주장하는 데에는 훨씬 더 많은 노력과 시간, 멘탈이 요구돼죠. 그게 본인의 논문이거나 나의 사업이라면 자신감있게 해보겠지만, 회사를 다니는 입장에서는 굳이 그럴 이유가 별로 없습니다. 주어진 시간동안 정해진 역할에 맞게 일하는 것이 회사와 직장인과의 계약관계니까요.

  • @user-co1eq1lr4t
    @user-co1eq1lr4t Před 3 lety +5

    신조차 모독하는 사상 최고의 천재ㄷㄷ

  • @domathu3403
    @domathu3403 Před 3 lety

    그래요 이게 좋습니다 사회생활은 힘들수 있지만 틀린건 틀렸다고 말하는 사람이 진정한 사람입니다. 팩트폭행으로 아프지만 인정할건 인정해야 합니다

  • @user-hd5oi9rl8w
    @user-hd5oi9rl8w Před 3 lety

    저에게 적절한 말인것 같습니다. 저도 세상을 향해 새로운 물리학 법칙을 책으로 출판했는데 사람들이 인정해줄지는 모르겠습니다. ㅎㅎ

  • @banjeook
    @banjeook Před 3 lety +2

    내용은 공감하는데
    등장인물이 닐스 보어랑 리처드 파인만 ㄷㄷㄷㄷㄷ

  • @user-nf7hp2mv2f
    @user-nf7hp2mv2f Před 3 lety

    신이라 이 세상이 어떻게 생겨난지는 모르겠으나 신을 아주 좋아하시네요 에소디 님

  • @cat_bomi_short
    @cat_bomi_short Před 3 lety

    그리고 옳고 자신이 맞아서 확실히 권위에 이길 순 있어도 그후에 후폭풍이 있습니다. 영상에서처럼요.

  • @user-ot1or4rz6c
    @user-ot1or4rz6c Před 3 lety

    선댓후감상

  • @user-xr2kf4mu6k
    @user-xr2kf4mu6k Před 3 lety

    영상마다 나오는 거장들의 한마디가 모두 한글로 번역되어 있는 것은 아닐텐데 어떡해 매번 그런 문장을 인용하시는지 궁금하네요 ㅎㅎ

    • @softdragon
      @softdragon  Před 3 lety

      영어로 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요 ㅎㅎ
      그리고 일부는 책에서 가져오는거라 한글로 되어 있기도 해요.
      이 영상 마지막에 파인만이 했던 말은 '파인만씨, 농담도 잘하시네'라는 책에 있는 문장입니다.

  • @jjjijjjijjj
    @jjjijjjijjj Před rokem

    천재 중의 천재
    그리고 그 천재들도 놀라는 천재
    또 그 천재들도 놀라는 천재들이 우리가 알고있고 인류사회의 미친발전을 이뤘던 사람이 아닐까 싶다.

  • @user-kz8ih7qi5l
    @user-kz8ih7qi5l Před 3 lety

    “스스로 진실이라고 믿고 있는 말을 하라.” - 조던 B. 피터슨

  • @kimmin6374
    @kimmin6374 Před rokem

    그만큼 열심히 했고 자신이 있어서도 말할 수 있었던 것입니다

  • @user-gk3wk1zn1z
    @user-gk3wk1zn1z Před 3 lety

    에스오디님 혹시 답변이 가능하신 분야인지 모르겠다만 궁금한 점이 현재 LG는 롤러블과 스위블(이번에 공개된 윙),삼성은 폴더블을 속속 개발하여 제품을 내놓았거나 예정에 있는데 그런 구조속에서 기존 스마트폰의 반도체를 그대로 적용이 어떻게 가능한건지 문득 궁금해져서요. 그리고 국뽕 국까등등 온갖 정치병 사회병이 난무하는 이 시대에 바른 생각과 비판을 하는 영상 언제나 응원합니다!

    • @softdragon
      @softdragon  Před 3 lety +1

      저 그거 마침 월요일에 올라갈 컨텐츠에요. 기가 막히네요 타이밍이 ㅋㅋㅋ

    • @user-gk3wk1zn1z
      @user-gk3wk1zn1z Před 3 lety

      @@softdragon 오! 감사합니다!!

  • @user-12wkddsaks
    @user-12wkddsaks Před 3 lety

    자기 주장을 굽게 편다면 그로부터 뒷받침할 배경이 있어야되고.온갖 말을 들어도 버틸 준비가 되어있어야 되고, 어느 누구에대한 질문에도 답을 할수 있을정도의 부피가 되어야 하더라.

  • @user-re1ft2gn1c
    @user-re1ft2gn1c Před 3 lety

    형님 사랑합니다

  • @Sang_Uk
    @Sang_Uk Před 3 lety

    이채널많이봐서무조건비판적으로봅니다

  • @user-yi8nk9xx7h
    @user-yi8nk9xx7h Před 3 lety

    행동에 따른 책임을 감수하는건 나의 몫이다. 하지만 한번뿐인 내 인생이다. 남 눈치 보지말고 나의 길을 걷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