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오스 사이언스
카오스 사이언스
  • 1 548
  • 58 538 841
[강연] 교육AI를 탄생시킨 놀라운 수학적 아이디어 1_by 노현빈 / 2024 봄 카오스강연 '세상에 나쁜 수학은 없다' 6강 첫 번째 이야기
세.나.수 세 줄 요약 댓글 이벤트!!!!!!!!
강연을 보시고 세 줄 요약 댓글을 달아주세요!
강연별로 최대 5명을 선정해 세.나.수 굿즈(루빅스 큐브)를 선물로 드립니다
(자세한 내용은 커뮤니티 참고)
🔸2024 봄 카오스강연 '세상에 나쁜 수학은 없다' 6강🔸
🔹강연 | 교육AI를 탄생시킨 놀라운 수학적 아이디어
🔹연사 | 노현빈 박사 (뤼이드 수석연구원)

이제는 교육에도 AI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시대가 왔다.
학생들은 AI를 통해 지식 성취도나 역량을 측정하고, 질문에 대답하며, 최적의 학습 동선을 추천받을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정보를 통해 교사는 학생을 더욱 깊게 이해하고
개인화된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의 학습 동기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공정하고 효과적인 교육 AI를 만들기 위해 활용되는 수학적 아이디어들을 알아보자.

과학의 즐거움을 나누는♥카오스재단
~ 홈 ikaos.org (가입시 강연 행사 안내)
페 북 kaosfoundation
유튜브 czcams.com/users/KAOSscience
인스타 kaosfoundation
zhlédnutí: 604

Video

[강연] 알고 나면 대수로운 대수기하학 2_by 김영훈 / 2024 봄 카오스강연 '세상에 나쁜 수학은 없다' 5강 두 번째 이야기
zhlédnutí 1,8KPřed 23 hodinami
세.나.수 세 줄 요약 댓글 이벤트!!!!!!!! 강연을 보시고 세 줄 요약 댓글을 달아주세요! 강연별로 최대 5명을 선정해 세.나.수 굿즈(루빅스 큐브)를 선물로 드립니다 (자세한 내용은 커뮤니티 참고) 🔸2024 봄 카오스강연 '세상에 나쁜 수학은 없다' 5강🔸 🔹강연 | 알고 나면 대수로운 대수기하학 🔹연사 | 김영훈 교수 (고등과학원 수학부) 2022년 수학계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필즈상'을 수상한 허준이 교수는 대수기하학으로 조합론의 난제를 해결한 것으로 유명하다. 다항식들의 공통해를 찾는 시도에서 출발한 대수기하학은 가장 많은 필즈상 수상자를 배출한 현대 수학의 핵심 분야다. 대수기하학은 무엇이며, 어떻게 시작됐고 발전해 왔는지 알아보자. 과학의 즐거움을 나누는 ♥카오스재단 ~ 홈 ikaos...
[강연] 알고 나면 대수로운 대수기하학 1_by 김영훈 / 2024 봄 카오스강연 '세상에 나쁜 수학은 없다' 5강 첫 번째 이야기
zhlédnutí 3,1KPřed dnem
세.나.수 세 줄 요약 댓글 이벤트!!!!!!!! 강연을 보시고 세 줄 요약 댓글을 달아주세요! 강연별로 최대 5명을 선정해 세.나.수 굿즈(루빅스 큐브)를 선물로 드립니다 (자세한 내용은 커뮤니티 참고) 🔸2024 봄 카오스강연 '세상에 나쁜 수학은 없다' 5강🔸 🔹강연 | 알고 나면 대수로운 대수기하학 🔹연사 | 김영훈 교수 (고등과학원 수학부) 2022년 수학계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필즈상'을 수상한 허준이 교수는 대수기하학으로 조합론의 난제를 해결한 것으로 유명하다. 다항식들의 공통해를 찾는 시도에서 출발한 대수기하학은 가장 많은 필즈상 수상자를 배출한 현대 수학의 핵심 분야다. 대수기하학은 무엇이며, 어떻게 시작됐고 발전해 왔는지 알아보자. 📌 목차 00:00 시작 04:28 5강 첫 번째 이...
[심화 강연] 군론, 수의 개념을 확장하다_by 김민형 / 2024 봄 카오스강연 '세상에 나쁜 수학은 없다' 2강 심화
zhlédnutí 2,2KPřed dnem
🔸2024 봄 카오스강연 '세상에 나쁜 수학은 없다' 2강 심화🔸 🔹강연 | 군론, 수의 개념을 확장하다 🔹연사 | 김민형 교수 (에든버러 국제 수리과학 연구소) 보다 친근하게! 보다 심도 있게! 남아있는 지적 호기심을 채우는 초밀착(?) 강연 과학의 즐거움을 나누는♥카오스재단 ~ 홈 ikaos.org (가입시 강연 행사 안내) 페 북 kaosfoundation 유튜브 czcams.com/users/KAOSscience 인스타 kaosfoundation
[강연] 방황의 끝에서 내가 만난 현대 수학 : 구조와 관계 2_by 박형주 / 2024 봄 카오스강연 '세상에 나쁜 수학은 없다' 4강 두 번째 이야기
zhlédnutí 2,1KPřed dnem
세.나.수 세 줄 요약 댓글 이벤트!!!!!!!! 강연을 보시고 세 줄 요약 댓글을 달아주세요! 강연별로 최대 5명을 선정해 세.나.수 굿즈(루빅스 큐브)를 선물로 드립니다 (자세한 내용은 커뮤니티 참고) 🔸2024 봄 카오스강연 '세상에 나쁜 수학은 없다' 4강🔸 🔹강연 | 방황의 끝에서 내가 만난 현대 수학 : 구조와 관계 🔹연사 | 박형주 교수 (아주대학교 수학과 석좌교수) 일제강점기 조선은 수학의 불모지였다. 당시 조선 최고의 대학이던 경성제국대학에는 수학과가 없었고 해방될 때까지 동경대학 수학과를 졸업한 조선인은 3명뿐이었으며, 수학 연구를 경험한 사람은 전무했다. 대학 수학을 제대로 가르칠 사람조차 없던 그 시절에 무작정 수학을 공부하러 대학에 간 몇 사람은 10여 년 만에 세계 최고의 수학...
[강연] 방황의 끝에서 내가 만난 현대 수학 : 구조와 관계 1_by 박형주 / 2024 봄 카오스강연 '세상에 나쁜 수학은 없다' 4강 첫 번째 이야기
zhlédnutí 3,6KPřed 14 dny
세.나.수 세 줄 요약 댓글 이벤트!!!!!!!! 강연을 보시고 세 줄 요약 댓글을 달아주세요! 강연별로 최대 5명을 선정해 세.나.수 굿즈(루빅스 큐브)를 선물로 드립니다 (자세한 내용은 커뮤니티 참고) 🔸2024 봄 카오스강연 '세상에 나쁜 수학은 없다' 4강🔸 🔹강연 | 방황의 끝에서 내가 만난 현대 수학 : 구조와 관계 🔹연사 | 박형주 교수 (아주대학교 수학과 석좌교수) 일제강점기 조선은 수학의 불모지였다. 당시 조선 최고의 대학이던 경성제국대학에는 수학과가 없었고 해방될 때까지 동경대학 수학과를 졸업한 조선인은 3명뿐이었으며, 수학 연구를 경험한 사람은 전무했다. 대학 수학을 제대로 가르칠 사람조차 없던 그 시절에 무작정 수학을 공부하러 대학에 간 몇 사람은 10여 년 만에 세계 최고의 수학...
[심화 강연] 무엇이 무엇이 똑같을까? 수학으로 바라본 대칭 정복기_by 이승재 / 2024 봄 카오스강연 '세상에 나쁜 수학은 없다' 1강 심화
zhlédnutí 2,3KPřed 14 dny
🔸2024 봄 카오스강연 '세상에 나쁜 수학은 없다' 1강 심화🔸 🔹강연 | 무엇이 무엇이 똑같을까? 수학으로 바라본 대칭 정복기 🔹연사 | 이승재 교수 (인천대학교 수학과) 보다 친근하게! 보다 심도 있게! 남아있는 지적 호기심을 채우는 초밀착(?) 강연 과학의 즐거움을 나누는♥카오스재단 ~ 홈 ikaos.org (가입시 강연 행사 안내) 페 북 kaosfoundation 유튜브 czcams.com/users/KAOSscience 인스타 kaosfoundation
[강연] AI의 역습! 암호가 세상을 구한다 2_by 천정희 / 2024 봄 카오스강연 '세상에 나쁜 수학은 없다' 3강 두 번째 이야기
zhlédnutí 1,9KPřed 14 dny
세.나.수 세 줄 요약 댓글 이벤트!!!!!!!! 강연을 보시고 세 줄 요약 댓글을 달아주세요! 강연별로 최대 5명을 선정해 세.나.수 굿즈(루빅스 큐브)를 선물로 드립니다 (자세한 내용은 커뮤니티 참고) 🔸2024 봄 카오스강연 '세상에 나쁜 수학은 없다' 3강🔸 🔹강연 | AI의 역습! 암호가 세상을 구한다 🔹연사 | 천정희 교수 (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교수​) 전쟁에서 많이 사용되던 암호 기술이 인터넷 세상이 되면서 모든 분야에 스며들었다. 컴퓨터에도 스마트폰에도 비트코인과 같은 암호화폐에도 최고의 암호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양자 컴퓨터가 등장하면 이러한 암호가 모두 깨진다고 한다. 양자 컴퓨터가 등장해도 안전한 암호가 있고, 이런 암호는 심지어 챗-GPT와 같은 곳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강연] AI의 역습! 암호가 세상을 구한다 1_by 천정희 / 2024 봄 카오스강연 '세상에 나쁜 수학은 없다' 3강 첫 번째 이야기
zhlédnutí 3,7KPřed 21 dnem
세.나.수 세 줄 요약 댓글 이벤트!!!!!!!! 강연을 보시고 세 줄 요약 댓글을 달아주세요! 강연별로 최대 5명을 선정해 세.나.수 굿즈(루빅스 큐브)를 선물로 드립니다 (자세한 내용은 커뮤니티 참고) 🔸2024 봄 카오스강연 '세상에 나쁜 수학은 없다' 3강🔸 🔹강연 | AI의 역습! 암호가 세상을 구한다 🔹연사 | 천정희 교수 (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교수​) 전쟁에서 많이 사용되던 암호 기술이 인터넷 세상이 되면서 모든 분야에 스며들었다. 컴퓨터에도 스마트폰에도 비트코인과 같은 암호화폐에도 최고의 암호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양자컴퓨터가 등장하면 이러한 암호가 모두 깨진다고 한다. 양자컴퓨터가 등장해도 안전한 암호가 있고, 이런 암호는 심지어 챗-GPT와 같은 곳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
[강연] 군론, 수의 개념을 확장하다 2_by 김민형 / 2024 봄 카오스강연 '세상에 나쁜 수학은 없다' 2강 두 번째 이야기
zhlédnutí 4,5KPřed 21 dnem
세.나.수 세 줄 요약 댓글 이벤트!!!!!!!! 강연을 보시고 세 줄 요약 댓글을 달아주세요! 강연별로 최대 5명을 선정해 세.나.수 굿즈(루빅스 큐브)를 선물로 드립니다 (자세한 내용은 커뮤니티 참고) 🔸2024 봄 카오스강연 '세상에 나쁜 수학은 없다' 2강🔸 🔹강연 | 군론, 수의 개념을 확장하다 🔹연사 | 김민형 교수 (에든버러 국제 수리과학 연구소) 자연과 사회와 언어 사방에 도사리고 있는 ‘군’이라는 수학적 구조는 기하적 대칭과 관계 깊으면서도 그 자체로 일종의 ‘수 체계’이기도 하다. 이런 이중성은 기하적 성질과 대수적 성질의 교묘한 결합을 통해서 모양과 수의 탐구, 물리적 현상의 기술, 그리고 정보의 효율적 처리까지 강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군은 또한 ‘구조란 무엇인가’의 모호한 철학...
[강연] 군론, 수의 개념을 확장하다 1_by 김민형 / 2024 봄 카오스강연 '세상에 나쁜 수학은 없다' 2강 첫 번째 이야기
zhlédnutí 9KPřed 28 dny
세.나.수 세 줄 요약 댓글 이벤트!!!!!!!! 강연을 보시고 세 줄 요약 댓글을 달아주세요! 강연별로 최대 5명을 선정해 세.나.수 굿즈(루빅스 큐브)를 선물로 드립니다 (자세한 내용은 커뮤니티 참고) 🔸2024 봄 카오스강연 '세상에 나쁜 수학은 없다' 2강🔸 🔹강연 | 군론, 수의 개념을 확장하다 🔹연사 | 김민형 교수 (에든버러 국제 수리과학 연구소) 자연과 사회와 언어 사방에 도사리고 있는 ‘군’이라는 수학적 구조는 기하적 대칭과 관계 깊으면서도 그 자체로 일종의 ‘수 체계’이기도 하다. 이런 이중성은 기하적 성질과 대수적 성질의 교묘한 결합을 통해서 모양과 수의 탐구, 물리적 현상의 기술, 그리고 정보의 효율적 처리까지 강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군은 또한 ‘구조란 무엇인가’의 모호한 철학...
[강연] 무엇이 무엇이 똑같을까? 수학으로 바라본 대칭 정복기 2_by 이승재 / 2024 봄 카오스강연 '세상에 나쁜 수학은 없다' 1강 두 번째 이야기
zhlédnutí 5KPřed měsícem
세.나.수 세 줄 요약 댓글 이벤트!!!!!!!! 강연을 보시고 세 줄 요약 댓글을 달아주세요! 강연별로 최대 5명을 선정해 세.나.수 굿즈(루빅스 큐브)를 선물로 드립니다 (자세한 내용은 커뮤니티 참고) 🔸2024 봄 카오스강연 '세상에 나쁜 수학은 없다' 1강🔸 🔹강연 | 무엇이 무엇이 똑같을까? 수학으로 바라본 대칭 정복기 🔹연사 | 이승재 교수 (인천대학교 수학과) 대칭, 자연 속에서 그리고 일상 속에서 우리는 자주 대칭을 마주한다. 거울 앞에 선 나의 모습, 대칭적인 건축물과 예술 작품들, 육각형 눈꽃송이와 아름다운 꽃잎까지. 대칭은 우리에게 아름다움을, 또 편안함을 선사한다. ​ 그렇지만 대칭은 눈에 보이는 시각적 요소 외에도 정말 많은 곳에 숨어 우리의 삶을 지탱하고 있다. 본 강연에서는 ...
[강연] 무엇이 무엇이 똑같을까? 수학으로 바라본 대칭 정복기 1_by 이승재 / 2024 봄 카오스강연 '세상에 나쁜 수학은 없다' 1강 첫 번째 이야기
zhlédnutí 6KPřed měsícem
세.나.수 세 줄 요약 댓글 이벤트!!!!!!!! 강연을 보시고 세 줄 요약 댓글을 달아주세요! 강연별로 최대 5명을 선정해 세.나.수 굿즈(루빅스 큐브)를 선물로 드립니다 (자세한 내용은 커뮤니티 참고) 🔸2024 봄 카오스강연 '세상에 나쁜 수학은 없다' 1강🔸 🔹강연 | 무엇이 무엇이 똑같을까? 수학으로 바라본 대칭 정복기 🔹연사 | 이승재 교수 (인천대학교 수학과) 대칭, 자연 속에서 그리고 일상 속에서 우리는 자주 대칭을 마주한다. 거울 앞에 선 나의 모습, 대칭적인 건축물과 예술 작품들, 육각형 눈꽃송이와 아름다운 꽃잎까지. 대칭은 우리에게 아름다움을, 또 편안함을 선사한다. ​ 그렇지만 대칭은 눈에 보이는 시각적 요소 외에도 정말 많은 곳에 숨어 우리의 삶을 지탱하고 있다. 본 강연에서는 ...
[2024 봄 카오스강연] 현실 자각 제대로 한 카오스 수학자 3인방
zhlédnutí 2,1KPřed měsícem
2024년 봄 카오스강연 "세상에 나쁜 수학은 없다" 수학은 어렵고! 따분하고! 피하고 싶은 시험! 그래서 나쁘기만 했던 너... 카오스의 수학자 3인방이 본격적인 강연을 앞두고 현장 조사에 나섰습니다. 어떻게 하면 좀 더 좋은, 재미있는, 유익한 강연을 할 수 있을까 수포자와 수사자(수학을 사랑하는 자) 모두를 만족하게 할 강연을 위해 오늘도 고민하는 수학자 3인방!! 그들의 좌충우돌 조사 현장 지켜봐 주세요!! 과학의 즐거움을 나누는♥카오스재단 ~ 홈 ikaos.org (가입시 강연 행사 안내) 페 북 kaosfoundation 유튜브 czcams.com/users/KAOSscience 인스타 kaosfoundation
[2024 봄 카오스강연] 수학 좋아해요? 아주대 학생에게 물어보았습니다!
zhlédnutí 2,4KPřed měsícem
[2024 봄 카오스강연] 수학 좋아해요? 아주대 학생에게 물어보았습니다!
[수학 튜토리얼 Lv.5] 0차원의 점이 바꾼 수학?
zhlédnutí 1,5KPřed měsícem
[수학 튜토리얼 Lv.5] 0차원의 점이 바꾼 수학?
[수학 튜토리얼 Lv.4] X 출생의 비밀, 느그 아부지 뭐하시는 분이고?
zhlédnutí 1,3KPřed 2 měsíci
[수학 튜토리얼 Lv.4] X 출생의 비밀, 느그 아부지 뭐하시는 분이고?
[수학 튜토리얼 Lv.3] 인류가 이해하는데 천 년이나 걸렸다는 OO?
zhlédnutí 2,5KPřed 2 měsíci
[수학 튜토리얼 Lv.3] 인류가 이해하는데 천 년이나 걸렸다는 OO?
[수학 튜토리얼 Lv.2] 피타고라스가 자기 발목을 잡은 사연은?
zhlédnutí 1,4KPřed 2 měsíci
[수학 튜토리얼 Lv.2] 피타고라스가 자기 발목을 잡은 사연은?
[수학 튜토리얼 Lv.1] 루트 때문에 사람이 죽었다고?!
zhlédnutí 2,3KPřed 2 měsíci
[수학 튜토리얼 Lv.1] 루트 때문에 사람이 죽었다고?!
[연구뭐하지?] 파검? 흰금? 뇌과학으로 풀어보는 드레스 논쟁_신혜영 교수 | 서울대학교 “뇌활동 연구실”
zhlédnutí 2,9KPřed 4 měsíci
[연구뭐하지?] 파검? 흰금? 뇌과학으로 풀어보는 드레스 논쟁_신혜영 교수 | 서울대학교 “뇌활동 연구실”
[연구뭐하지?] 우리 몸은 침입 병원체를 어떻게 인식하고 방어하는가?_라젠드라 카르키(Rajendra Karki)교수 | 서울대학교 “선천면역 및 세포사멸 연구실”
zhlédnutí 1,7KPřed 4 měsíci
[연구뭐하지?] 우리 몸은 침입 병원체를 어떻게 인식하고 방어하는가?_라젠드라 카르키(Rajendra Karki)교수 | 서울대학교 “선천면역 및 세포사멸 연구실”
[연구뭐하지?] 하늘을 나는 철새 무리에서 보이는 비평형계 속 특이한 질서_백용주 교수 | 서울대학교 “비평형 통계물리학 연구실”
zhlédnutí 2,2KPřed 4 měsíci
[연구뭐하지?] 하늘을 나는 철새 무리에서 보이는 비평형계 속 특이한 질서_백용주 교수 | 서울대학교 “비평형 통계물리학 연구실”
[강연] 초전도체가 만든 세상, 펼치는 미래_by김기훈 l 31회 서울대 자연과학 공개강연_"세상을 바꾼 과학, 과학이 여는 미래"
zhlédnutí 3,3KPřed 4 měsíci
[강연] 초전도체가 만든 세상, 펼치는 미래_by김기훈 l 31회 서울대 자연과학 공개강연_"세상을 바꾼 과학, 과학이 여는 미래"
[인터뷰] 김기훈_꿈의 물질, 초전도체 연구와 펼쳐질 미래|제31회 서울대 자연과학 공개강연_"세상을 바꾼 과학, 과학이 여는 미래"
zhlédnutí 1,1KPřed 4 měsíci
[인터뷰] 김기훈_꿈의 물질, 초전도체 연구와 펼쳐질 미래|제31회 서울대 자연과학 공개강연_"세상을 바꾼 과학, 과학이 여는 미래"
[인터뷰] 황윤정_탄소 중립을 실현하는 고체 촉매 연구|제31회 서울대 자연과학 공개강연_"세상을 바꾼 과학, 과학이 여는 미래"
zhlédnutí 893Před 4 měsíci
[인터뷰] 황윤정_탄소 중립을 실현하는 고체 촉매 연구|제31회 서울대 자연과학 공개강연_"세상을 바꾼 과학, 과학이 여는 미래"
[강연] 탄소 중립을 위한 화학의 도전_by황윤정 l 31회 서울대 자연과학 공개강연_"세상을 바꾼 과학, 과학이 여는 미래"
zhlédnutí 1,4KPřed 4 měsíci
[강연] 탄소 중립을 위한 화학의 도전_by황윤정 l 31회 서울대 자연과학 공개강연_"세상을 바꾼 과학, 과학이 여는 미래"
[연구뭐하지?] 최첨단 기술의 집약체, 위성자료로 보는 원격탐사 기상학_이상무 교수 | 서울대학교 “위성기상 실험실”
zhlédnutí 971Před 5 měsíci
[연구뭐하지?] 최첨단 기술의 집약체, 위성자료로 보는 원격탐사 기상학_이상무 교수 | 서울대학교 “위성기상 실험실”
[인터뷰] 안광석_차세대 범용 백신을 꿈꾸는 바이러스 면역학자 |제31회 서울대 자연과학 공개강연_"세상을 바꾼 과학, 과학이 여는 미래"
zhlédnutí 561Před 5 měsíci
[인터뷰] 안광석_차세대 범용 백신을 꿈꾸는 바이러스 면역학자 |제31회 서울대 자연과학 공개강연_"세상을 바꾼 과학, 과학이 여는 미래"
[강연] 전염병에 맞서온 과학_by안광석 l 제 31회 서울대 자연과학 공개강연_"세상을 바꾼 과학, 과학이 여는 미래"
zhlédnutí 912Před 5 měsíci
[강연] 전염병에 맞서온 과학_by안광석 l 제 31회 서울대 자연과학 공개강연_"세상을 바꾼 과학, 과학이 여는 미래"

Komentáře

  • @user-nc9lb5vq3y
    @user-nc9lb5vq3y Před 14 hodinami

    최근에 '총균세'를 읽고 상당히 공감이 되는 부분이라고 생각했는데 그 이야기가 여기에서도 이렇게 나오네요. 소름~^^ 박형주 교수님 숨은 펜입니다.

  • @mad4mathtv699
    @mad4mathtv699 Před 14 hodinami

    세줄 요약 드갑니다~ 1. 수학은 무용함의 끝에 있는 학문이다. 무용하지만 일단 발명해 놓으면 나중에 쓸모가 참 많다. 2. 미분이 딱 그렇다. 우주도 설명하고 요즘은 AI도 가능하게 해주고 있다. 3. 애벌레 무쓸모 수학이 AI라는 나비로 우화하는 걸 보여줄게. 대수기하 가즈아!

  • @goldenbuglab
    @goldenbuglab Před 16 hodinami

    잘 들었습니다. ^^ 수학을 잘하는 사람은 새로운 걸 빠르게 배울 거라고 말씀하셨는데, 제게는 통하지 않는 말이었습니다. 제가 나온 고등학교는 3 년 동안 배우는 수학을 2 년 동안 가르치고, 3 학년 때는 복습을 하는 형태로 수업을 했습니다. 근데 저는 뭔가 새로 배우는 게 무척 느린 편이라서.... 2 학년 때까지는 무척 고생하던 기억이 나네요.

  • @jjnevermind3099
    @jjnevermind3099 Před 17 hodinami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 @via_eunis
    @via_eunis Před dnem

    장대익교수님 최고야 👍

  • @via_eunis
    @via_eunis Před dnem

    알려주고픈 내용은 많고 시간은 없고 갈수록 목소리 갈라지시는것 맴찢.

  • @user-il9wo5bp4p
    @user-il9wo5bp4p Před dnem

    감사합니다.

  • @LaLa-qf3cr
    @LaLa-qf3cr Před dnem

    20~30대전후셨겠죠...

  • @user-dj1vb9ze2i
    @user-dj1vb9ze2i Před dnem

    한줄요약 바이러스 절대기생체 단순생물 단독생존불가 박테리아(세균) 독자적 복합생물 단독생존가능 이정도쯤 요약하면 될려나?

  • @user-oq8yd6ix8e
    @user-oq8yd6ix8e Před dnem

    이번 회차를 보고 초반보다 배경음악도 적절히 삽입되고 강의도 스토리 중심이 되는 것 같아 앞으로 많은 분들께 수학 이야기를 전할 수 있으리라는 기대가 생겼습니다. 교수님들,진행자님,제작진분들 응원합니다^^ -사교육에 몸담은 수학전공자

  • @jongmanra6000
    @jongmanra6000 Před 2 dny

    내가 새롭게 알게된 세줄요약 뉴턴이 말한 '거인의 어깨'는 좌표평면을 만들어 대수기하를 통합한 데카르트 이다. 대수적 다양체는 원, 포물선, 타원곡선 등 방정식으로 만들수 있는 다양한 모양이고 대수적으로 해를 구하는 것이 기하학적으로 교점을 찾는 것과 같다. 허준이 교수는 그래프이론의 확장인 매트로이드의 조합론적 대상에서 대수기하학구조를 발견하였다.

  • @studiodarbor
    @studiodarbor Před 2 dny

    39:46 "인간의 미래 진화를 예측하라고 한다면 생물학적 진화가 아닌 문화적 진화일 가능성이 높다."

  • @choegiveittome5433
    @choegiveittome5433 Před 3 dny

    이강환 이라는 페르소나를 연기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K박사님

  • @user-qs8su6op7m
    @user-qs8su6op7m Před 3 dny

    붓다ㆍ인연법이ㆍ밀려듭니다~~^^

  • @levratte4
    @levratte4 Před 3 dny

    □ 목차 03:30 목차 소개 04:20 의식이란 .. .. ..

  • @levratte4
    @levratte4 Před 3 dny

    쉽게 설명 하시네요. 감사합니다.

  • @user-ej5rw9dn8c
    @user-ej5rw9dn8c Před 3 dny

    🎉

  • @jaiyoonkim1861
    @jaiyoonkim1861 Před 3 dny

    이런 귀중한 강의를 왜 사람들은 안볼까?

  • @youngjuene
    @youngjuene Před 3 dny

    대수기하학 강연을 듣고 나니 수학의 아름다움과 깊이에 다시 한번 감탄했습니다. 대수와 기하의 만남이라는 이 학문의 정의 자체가 매력적이었고, 타원곡선과 베주 정리 같은 개념들은 수학의 역사와 현재를 잇는 가교 같았습니다. 특히 그래프 이론과 조합론까지 아우르는 새로운 지평을 엿볼 수 있어서 더욱 흥미로웠으며, 앞으로 대수기하학이 수학의 다양한 분야를 어떻게 연결하고 발전시켜 나갈지 기대가 됩니다!

  • @JB-rc9gj
    @JB-rc9gj Před 4 dny

    암흑에너지는 없다 점점 밝혀지네요 그동안 수고많으셨어요

  • @Kim_jeju
    @Kim_jeju Před 4 dny

    🎉세줄요약🎉 1. 기하학을 통해 세상을 구조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2. 모든 구조에는 규칙이 있고 수학을 통해 발견한다 3. 수학은 단순 계산이 아니라 세상을 이해하는 가장 정확하고 좋은 방식이다

  • @tddgadsfdfdf
    @tddgadsfdfdf Před 5 dny

    이제는 진화론이라는 말을 안쓰죠. 진화생물학이나 진화학이란 말을 쓰죠

  • @user-od1nt7hg2i
    @user-od1nt7hg2i Před 5 dny

    그래서~~시간이 뭐냐구요~~???!!😢

  • @Cosmos832
    @Cosmos832 Před 5 dny

    토프트가 30대인 시절..?

  • @LYLeonLY0514
    @LYLeonLY0514 Před 5 dny

    진화 믿는 분들, 간단한 질문이 있습니다. 첫 생명체는 어디서 왔고 어떻게 생겨난건가요?

  • @henpark3516
    @henpark3516 Před 6 dny

    대수기하학의 발전과정- 기하학과 대수학의 만남 유클리드-기하학의 아버지(기하학 원론)와 알콰리즈미-대수학의 아버지(복원과 대비의 책), 그리고 데카르트-좌표계를 통해 기하학과 대수학을 연결(방법서설). 대수적 다양체-다항식들의 공통근을 찾는 문제(대수학적 접근)와 대수적 방정식이 나타내는 기하학적 대상들의 교점을 찾는 문제(기하학적 접근)는 서로 다른 관점에서 바라보는 같은 문제이다.

  • @user-tb2jd6bv6w
    @user-tb2jd6bv6w Před 6 dny

    3:25

  • @dnrwind-drive
    @dnrwind-drive Před 6 dny

    기하와 대수는 각자 다른 것 같으나 서로 통하고 동전의 양면과 같다 ; 이집트서 시작한 기하는 그리스에서 발전하여 유클리드의 기하학으로 집대성되었고 대수는 중동 아라비아의 알 콰리즈미에 의해 정리되어 모두 유럽에서 이어져 과학 발전의 토대가 되었으며 데카르트는 좌표개념으로 양자를 연결하였다 ; 대수기하의 영역은 이제 정체인 것 같았으나 허준이교수의 발견으로 조합론적 영역에서 대수와의 연결의 세계가 보이게 되었다.

  • @Hina_Kikuchi
    @Hina_Kikuchi Před 6 dny

    유한개의 생성 요소들을 찾을 수 없다는 말이 이해가 안갑니다. 타원곡선 내에서 아까의 과정들을 통해 해를 찾은게 아닌가요? 몇 번을 돌려봐도 도무지 머리가 돌질 않네요. '유한개의 생성 요소' 라는게 뭐죠?

  • @framedriven2123
    @framedriven2123 Před 6 dny

    만물은 공이다. 부처

  • @greenleft9
    @greenleft9 Před 6 dny

    [세 줄 요약] 대수기하학은 대수와 기하의 상호작용이다. 수학의 두 분야가 대응적 구조를 가짐으로써 대수적 문제를 기하적으로 해결할 수도 있고, 기하적 문제를 대수적으로 해결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기하학은 고대 이집트 등 당대 문명권의 땅 측량학(게+메트리아)으로부터 발전되어 유클리드에 의해 집대성 되었으며, 대수학은 서남아시아 지역의 알 콰리즈미에 의해 정립 되었는데, 훗날 데카르트에 의하여 두 학문이 융합, 발전하여 대수기하학이 탄생하게 되었다.

  • @superb444
    @superb444 Před 6 dny

    추상화는 누구나 시도할 수 있지만 그 결과물이 확장 가능하고 유의미하게 만드는 건 정말 어려운 거 같아요. 오늘도 감탄하고 갑니다!

  • @dschai0220
    @dschai0220 Před 6 dny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업적을 낸 대수기하학자는 누구인가요?

    • @user-sk4hm4zk6r
      @user-sk4hm4zk6r Před 6 dny

      황준묵, 금종해 두 교수님이 있습니다.😊

    • @dschai0220
      @dschai0220 Před 6 dny

      @@user-sk4hm4zk6r 네~감사합니다. 제가 고대 수학적 구조를 하나 해독했는데 문자로 쓴 기하학이 아닌가 해서요. 문자 하나하나가 수와 겹쳐져 있습니다.

    • @La_Valse
      @La_Valse Před 6 dny

      허준이 교수님도 조합대수기하학자기도 하죠~

  • @IyoH-qz9jf
    @IyoH-qz9jf Před 6 dny

    수학에 관심 없는 줄 알았는데 지폐에 있는 인물 튜링 빼고 다 알고 있었네요. 뭐지 어떻게 아는 거지😅 그래프 이론?이 저렇게 쓰이는군요. 알아갑니다 흥미롭네요.

  • @kaosfoundation985
    @kaosfoundation985 Před 6 dny

    📌 목차 04:28 5강 첫 번째 이야기 14:17 바리뇽의 정리 16:48 쾨니흐스베르크의 다리 19:46 오일러의 그래프 이론 24:52 수학자의 학문적 족보

  • @user-eh2kp1dv4x
    @user-eh2kp1dv4x Před 6 dny

    대수 기하가 제 기억으로는 해석 기하라고도 하지 않았던가요…? 영어로는 analysis or analytics???❤😂🎉

  • @user-ig4dy6iu2h
    @user-ig4dy6iu2h Před 7 dny

    너무 좋은강의였고 서울대학교 교수님이 하니 더 믿음이 가고 더 잘생각이 날것같다 그리고 이런영상이 요즘시대에 보면 좋을것같다.

  • @user-jx2hb9li9v
    @user-jx2hb9li9v Před 7 dny

    암호가 세상을 구한다의 영상을 보고 암호가 많이 중요하다는것을 알게 되었고 수학이 중요하다는것을 알게되었다

  • @SASD563
    @SASD563 Před 7 dny

    교통카드에 암호가 있는데 처음 알았습니다. 중요한 것 패스워드는 어렵게 해야 하는 것을 알았습니다. 굉장히 유익한 영상이었습니다.

  • @bbang12s
    @bbang12s Před 7 dny

    암호화된 데이터를 금고에 빗대어 표현하니 이해가 잘 되었습니다

  • @user-px4jv6xl8t
    @user-px4jv6xl8t Před 7 dny

    암호라고는 열려라 참깨만 알고있던 내가 암호를 잘 알게되어 좋았다. 재밌었다.

  • @rrr01234
    @rrr01234 Před 7 dny

    암호를 잘만드는 법과 암호의 중요성을 알게되었다. 제미있고 신기하다.

  • @TV-qo5zu
    @TV-qo5zu Před 7 dny

    네❤ 너무 재밌네요❤ 정말 유익한영상 패스워드에 대해 잘 몰랐는데 잘 알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pr3br2ht8b
    @user-pr3br2ht8b Před 7 dny

    선생님너무재미있어요.🎉 14:23쪽이흥미진지해요 인새세도움이돼는거갓아요. ≖‿≖

  • @probabilityjune5760

    수학자들의 족보 재밌네요

  • @user-mg7vp5tu5p
    @user-mg7vp5tu5p Před 7 dny

    넓은 우주에 생명체가 오직 지구에만 존재 하는 이유 입니다

  • @ung-jinkim2774
    @ung-jinkim2774 Před 7 dny

    고유값 꼭지점

  • @k33choul
    @k33choul Před 7 dny

    감사합니다 😂

  • @henpark3516
    @henpark3516 Před 7 dny

    1. 스스로 충분한 시간을 들여 고민을 하다가 정답의 실마리를 찾는 순간의 즐거움을 느껴보도록 하자. 2. 바리뇽의 정리: 임의의 사각형의 중점을 이어 만든 새로운 사각형은 언제나 평행사변형이다. 3. 쾨니히스베르크의 다리: 각 다리를 한 번씩만 건너면서 모든 다리를 건너는 방법을 고민하던 오일러가 문제를 해결하며 그래프 이론을 만들었다.

  • @hjlee8260
    @hjlee8260 Před 8 dny

    왜 우리나라학자들은 남의나라 (중국등)논문들만 앵무새처럼~ 읽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