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 51 198
  • 523 635 687

Video

"인류 최초" 달 뒷면에 '中'자 새기고, 오성홍기 펼쳐 | 과학뉴스 24.06.05
zhlédnutí 1,8KPřed 18 hodinami
중국이 인류 최초로 달 뒷면 토양 채취에 성공했다고 발표했습니다. 달 표면에 한문으로 가운데 '중'자를 새기고 중국 국기 '오성홍기'도 펼쳤습니다. 베이징 강정규 특파원입니다. [기자] 중국 고대 신화 속 달의 여신에서 이름을 따온 창어 6호, 착륙선에서 기계 팔이 뻗어 나옵니다. 지구에선 볼 수 없는 달 뒷면의 토양을 인류 최초로 퍼 올리는 순간입니다. 달 표면에 한문으로 '가운데 중(中)'자 모양의 흔적을 남겼습니다. [중국 관영 CCTV 보도 : 탐사선은 달 뒷면의 고온을 견뎌내고, 드릴과 기계 팔을 이용한 시추와 채취 두 가지 방식으로 표본을 모았습니다.] 14시간에 걸친 표본 채취에 성공한 뒤엔 특수제작한 '오성홍기'를 펼쳤습니다. [중국 관영 CCTV 보도 : 1년 넘는 연구 끝에 현무암 융...
[최강기업] 농인을 위한 AI 기술? 수어 자동번역 서비스 / YTN 사이언스
zhlédnutí 172Před 20 hodinami
일상 속에서 자주 이용하는 ARS, 챗봇 상담! 하지만 한글보다 수어가 익숙한 농인들에게는 사용하기 힘든 기능이다. 이런 농인들을 위해 개발된 기술! 텍스트를 3D 아바타 수어 영상으로 변환해주는 AI 기술인데! 그 놀라운 기술을 최강기업에서 만나본다! #청각장애인 #농인 #인공지능 #AI 농인을 위한 AI 기술? 수어 자동번역 서비스 /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science.ytn.co.kr/program/view.php?mcd=1587&hcd=&key=202406031005256316 [프로그램 제작 문의] legbiz@ytn.co.kr
'물 없는' 소형모듈원자로 밀어준다...2.5조 사업 추진 | 과학뉴스 24.06.05
zhlédnutí 1,3KPřed 20 hodinami
정부가 차세대 소형모듈원자로, SMR 상용화를 위해 2조 5천억 원 규모의 실증 지원사업을 추진합니다. AI 시대에 급증하는 에너지 수요를 맞추기 위해서는 원전 개발이 세계적인 추세라는 판단에 따른 겁니다. [기자] 소형모듈원자로, SMR은 핵잠수함의 동력원인 원자로가 민간 발전용으로 진화한 개념입니다. 기존 원전보다 발전 용량이 작지만, 더 안전하다는 게 장점으로 꼽힙니다. 정부가 차세대 SMR 해외시장 개척을 위해 미국의 선진원자로 실증 지원사업(ARDP)을 모델로 한 사업(K-ARDP)을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원자로를 기존처럼 물로 식히는 '혁신형 SMR'은 내년까지 표준설계를 마치고 2028년에는 인가받을 수 있도록 서두르고, 물이 아닌 냉매를 사용하는 '4세대 SMR'은 2조 원 넘는 돈을 들...
[핫클립] 기습 폭우로 인한 인명피해 / YTN 사이언스
zhlédnutí 1,8KPřed 20 hodinami
2022년 8월 8일 수도권에 쏟아진 기습 폭우 개인의 옷차림과 외부 활동은 물론 농어업과 유통, 여행과 레저, 스포츠 등 우리나라 산업 전반에 걸쳐 일기예보는 아주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정확한 일기예보를 위해 전국 80여 개 기상대와 관측소, 500여 지점의 자동기상관측망을 통해 다양한 관측 자료를 수집하고 있을 뿐 아니라 슈퍼컴퓨터를 도입해 좀 더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는데요. 하지만 설상가상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상이변까지 겹치면서 기후 예측의 어려움은 더욱 커지고 있는 상황! 미래 기후를 예측하는 일은 과연 어디까지 가능한 일이며, 예보의 오차 범위를 줄여나가기 위해서 우리에게 필요한 기술은 무엇일까요? 거대한 자연과 기후 변화에 따른 자연재해에 맞서기 위한...
[사이언스포럼] 2차 전지, 난제를 풀다 / YTN 사이언스
zhlédnutí 11KPřed 22 hodinami
친환경 시대 여는 2차 전지! 그러나 2차 전지의 발목 잡는 수명 저하와 화재 위험. 나트륨이온 전지, 리튬이온 전지의 단점을 보완한 전고체 전지의 기술력은 무엇일까. 또한 리튬황 전지의 한계인 수명 연장을 극복한 리튬금속 전지까지… 한국전기연구원이 해결한 2차 전지 신공법을 알아본다 ■ 박준우 박사 / 한국전기연구원 차세대전지연구센터 책임연구원 00:00 | lntro 01:26 | 2차 전지란? 02:34 | 배터리 기술, 넘어야 할 장벽은? 04:59 | 세계가 주목하는 차세대 전지는? 06:43 | 나트륨 이온 전지, 기술적 과제는? 11:34 | 리튬-금속 전지의 문제점은? 13:04 | 고체 전해질을 합성하는 공정 개발 18:09 | 리튬황 전지 개발 연구 #친환경 #2차전지 #전고체전지 #...
R&D 예비타당성조사 전면 폐지..."사업 착수 2년 이상 단축"
zhlédnutí 278Před 23 hodinami
정부가 그동안 예산 낭비를 막기 위해 대형 R&D 사업을 대상으로 진행해온 예비타당성 조사를 폐지하기로 했습니다. 사업 기획부터 착수까지 평균 3년 이상이 걸려 시급한 사업의 발목을 잡는다는 지적이 계속됐기 때문인데, 정부의 입김대로 예산 몰아주기가 나타날 수도 있다는 우려도 나왔습니다. 현재 500억 원이 넘는 연구개발 사업은 반드시 예비타당성 조사를 거쳐야 합니다. 경제성과 기술성, 정책성 등을 평가해 타당하지 않은 사업은 예산을 받을 수 없었습니다. 문제는 예타 조사 과정이 몇 년씩 걸려 빠르게 발전하는 기술 속도를 따라가지 못한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됐습니다. 이에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가 예타 전면 폐지를 의결했습니다. 일단 총사업비 1천억 원 미만의 R&D 사업은 일반적인 예산심의만 거치면 됩니...
[멍하니] 한국인들이 극찬하는 여행지 발리에서 힐링, 서핑하기
zhlédnutí 614Před 2 hodinami
발리 해변의 아름다움을 여유롭게 즐기는 사람들, 거친 파도에서 서핑을 즐기는 사람들 그리고 아름다운 석양의 발리 해변. 가장 인기 있는 휴양지 중 하나인 발리의 해변으로 초대합니다. #발리 #발리여행 #서핑 #바다 #휴양지 #신혼여행지 [저작권자(c) YTN science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IAEA "北 강선 증축 핵시설 완공 단계" | 과학뉴스 24.06.04
zhlédnutí 265Před 2 hodinami
IAEA "北 강선 증축 핵시설 완공 단계" | 과학뉴스 24.06.04
'선'을 없앤 전자 피부...내 몸이 와이파이가 된다 | 과학뉴스 24.06.04
zhlédnutí 3,8KPřed 2 hodinami
'선'을 없앤 전자 피부...내 몸이 와이파이가 된다 | 과학뉴스 24.06.04
[황금나침반] 대한민국 길거리 음식 3대장 / YTN 사이언스
zhlédnutí 806Před 2 hodinami
[황금나침반] 대한민국 길거리 음식 3대장 / YTN 사이언스
[핫클립] 모든 측정값에 따라붙는 단위 / YTN 사이언스
zhlédnutí 400Před 2 hodinami
[핫클립] 모든 측정값에 따라붙는 단위 / YTN 사이언스
[최강기업] 연구원의 안전을 책임진다! 실험실 설계 및 가구 제작 / YTN 사이언스
zhlédnutí 392Před 2 hodinami
[최강기업] 연구원의 안전을 책임진다! 실험실 설계 및 가구 제작 / YTN 사이언스
진정한 '산유국' 꿈 이룰까?...에너지 자립에 수출까지 | 과학뉴스 24.06.04
zhlédnutí 2,2KPřed 2 hodinami
진정한 '산유국' 꿈 이룰까?...에너지 자립에 수출까지 | 과학뉴스 24.06.04
[멍하니] 한 낮, 신호등 바라보며 멍 때리기|여름|도시 풍경
zhlédnutí 403Před 4 hodinami
[멍하니] 한 낮, 신호등 바라보며 멍 때리기|여름|도시 풍경
'첫 한국인 아프리카 추장' 한상기 박사 등 4명...과학기술유공자 증서 헌정' | 과학뉴스 24.06.03
zhlédnutí 567Před 4 hodinami
'첫 한국인 아프리카 추장' 한상기 박사 등 4명...과학기술유공자 증서 헌정' | 과학뉴스 24.06.03
[핫클립] 구름씨앗 만드는 방법 / YTN 사이언스
zhlédnutí 616Před 4 hodinami
[핫클립] 구름씨앗 만드는 방법 / YTN 사이언스
바다 밑 '자원 전쟁'...1,800억 탐사선 나선다 | 과학뉴스 24.06.03
zhlédnutí 1KPřed 4 hodinami
바다 밑 '자원 전쟁'...1,800억 탐사선 나선다 | 과학뉴스 24.06.03
尹 "포항 앞바다 140억 배럴 석유·가스 매장 가능성" | 과학뉴스 24.06.03
zhlédnutí 618Před 4 hodinami
尹 "포항 앞바다 140억 배럴 석유·가스 매장 가능성" | 과학뉴스 24.06.03
벌써 7번째 죽은 새끼 남방큰돌고래 발견..."서식지 위협 받아" | 과학뉴스 24.06.03
zhlédnutí 208Před 4 hodinami
벌써 7번째 죽은 새끼 남방큰돌고래 발견..."서식지 위협 받아" | 과학뉴스 24.06.03
중국 창어 6호 달 착륙 성공...인류 최초 뒷면 토양 채취 예정 | 과학뉴스 24.06.03
zhlédnutí 2,6KPřed 4 hodinami
중국 창어 6호 달 착륙 성공...인류 최초 뒷면 토양 채취 예정 | 과학뉴스 24.06.03
위대한 과학기술인_박상대 편 / YTN 사이언스
zhlédnutí 90Před 7 hodinami
위대한 과학기술인_박상대 편 / YTN 사이언스
[핫클립]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인공강우 / YTN 사이언스
zhlédnutí 1,1KPřed 7 hodinami
[핫클립]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인공강우 / YTN 사이언스
[핫클립] 스핀 온이 우주산업에 주는 영향 / YTN 사이언스
zhlédnutí 2,2KPřed 7 hodinami
[핫클립] 스핀 온이 우주산업에 주는 영향 / YTN 사이언스
[핫클립] 인류가 우주개발에 적극적인 이유 / YTN 사이언스
zhlédnutí 1,5KPřed 9 hodinami
[핫클립] 인류가 우주개발에 적극적인 이유 / YTN 사이언스
[핫클립] 다양한 사업으로 활용하는 우주산업 기술 / YTN 사이언스
zhlédnutí 3,9KPřed 9 hodinami
[핫클립] 다양한 사업으로 활용하는 우주산업 기술 / YTN 사이언스
[멍하니] 민들레 씨앗 보며 5분 멍 때리기|봄바람|기분전환|휴식
zhlédnutí 324Před 12 hodinami
[멍하니] 민들레 씨앗 보며 5분 멍 때리기|봄바람|기분전환|휴식
"밭일이 쉬워졌어요"...밭작물 스마트 기계화 '착착' | 과학뉴스 24.05.31
zhlédnutí 1,1KPřed 12 hodinami
"밭일이 쉬워졌어요"...밭작물 스마트 기계화 '착착' | 과학뉴스 24.05.31
누리호 4호기 첫 75톤급 엔진 출하...모습 최초 공개 | 과학뉴스 24.05.31
zhlédnutí 476Před 12 hodinami
누리호 4호기 첫 75톤급 엔진 출하...모습 최초 공개 | 과학뉴스 24.05.31
[핫클립] 장마로 인한 농작물 피해,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 YTN 사이언스
zhlédnutí 689Před 12 hodinami
[핫클립] 장마로 인한 농작물 피해,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 YTN 사이언스

Komentáře

  • @user-xl5cn8ut9p
    @user-xl5cn8ut9p Před 31 minutou

    한국차 망하것네...

  • @user-cm7wu2wk2w
    @user-cm7wu2wk2w Před 43 minutami

    줄기절단하고 마늘수확하면 마늘이 상한다내! 빠르다고 좋은건 아닐세

  • @user-ec3pw4vk5j
    @user-ec3pw4vk5j Před 45 minutami

    이런 역사 왜곡은 어떤 쓰레기들이 조작하는걸까?

  • @user-zr9es4tv9q
    @user-zr9es4tv9q Před 47 minutami

    말처럼 시운게없지 기지가 직접 해보고 기사을 써야지 잠시 잠깐보고 기계로해도 사람 손 다시 들어 가야지 거기서 거기

  • @user-lh8ed2bw4f
    @user-lh8ed2bw4f Před 52 minutami

    리승만이 팔만대장경도 없애려한거네? 앞두 물불안가리고? 그 몇명때문에 몇백년을 지켜온 문화유산을? ㅋ

  • @Min-yp3tk
    @Min-yp3tk Před hodinou

    ㅋㅋㅋㅋㅋ저것도 재현이라고 ㅋㅋ

  • @MJ-hk2ni
    @MJ-hk2ni Před hodinou

    15년전 핸드폰으로 영상통화를 한다고? 핸드폰으로 영화를 볼수있다고? 했었지

  • @lro8039
    @lro8039 Před hodinou

    울아빠는6~70년대 제집드나들듯햇는데. 과학이발달한 현재엔 방귀도못끼냐?

  • @user-zs4vt6rg6s
    @user-zs4vt6rg6s Před hodinou

    이 와중에 과학 예산깍고 과학인재들 푸대접하는 대한민국..

  • @dokdo8888
    @dokdo8888 Před hodinou

    12000년 우리나라 구천만민족의 정신과 문화를 잘 지켜보고 감명을 받았다

  • @user-ye3ps4zm4x
    @user-ye3ps4zm4x Před hodinou

    아직도 속나 ㅎㅎㅎ

  • @an12750
    @an12750 Před hodinou

    목소리가 박물관가면 틀어주는 방송에서 나오는 목소리네ㅋㅋ

  • @user-ss6ij7hj5c
    @user-ss6ij7hj5c Před hodinou

    이산화탄소 배출하는 나라가 저장비를 비례적으로 사용하게 압력을 넣으면 될듯..

  • @user-lg5up3jd4e
    @user-lg5up3jd4e Před hodinou

    니들많이 타세요 난 다른차 살란다

  • @BigOneFishingClub
    @BigOneFishingClub Před hodinou

    강계에서 실종된 인원 한명을 찾는 수색작전 조차 불가능 한 해병대가 적군에 대한 경계작전이나 이와 같은 대응사격이 가능 했을거라고 믿기에는 무리가 있네요 .

  • @hurtang1140
    @hurtang1140 Před hodinou

    저것도 극히 일부 지역만 가능함. 오히려 안되는 지역이 많고 기계값만 나감

  • @power1642
    @power1642 Před hodinou

    응원합니다. 꼭 밝혀지길 바랄게요.

  • @ykp-mt9db
    @ykp-mt9db Před 2 hodinami

    안하는것보단 낫다

  • @user-cr4qu9yk3q
    @user-cr4qu9yk3q Před 2 hodinami

    주민들을 이거를 시켸야 되겠습니다

  • @user-cr4qu9yk3q
    @user-cr4qu9yk3q Před 2 hodinami

    우뚝솟아 있는 산을 보니 언제 저것이 터질지 모르겠네요 완전 위험 이네요

  • @user-ry3wv8hj2v
    @user-ry3wv8hj2v Před 2 hodinami

    줄기치기전 작업은?비닐제거는 ..

  • @user-do6ef7oq8s
    @user-do6ef7oq8s Před 2 hodinami

    절감비용은 결국 이자와 기계값으로 다 나간다. 기계대체비용 뽑고나면 기계수리비용으로 다 나간다. 마늘값 뛰면 저장물량이 풀거나 수입한다. 값좀 받을려고 저장고라도 설치하면 빚더미 앉는다. 참 힘들다. 영농은 쉽지 않다.

  • @sexytak9522
    @sexytak9522 Před 2 hodinami

    우주의 크기에 대해 여러가지 영상들을 보신분들은 아시겠지만 지구밖 우주의 크기는 어마어마하다는 말로도 표현이 부족할정도로 정말 매우매우 크지요. 그런데 이런 우주안에 존재하는 작디작은 박테리아보다도 더 작은 지구에만 지적 생명체가 존재한다? 말이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인간의 기술이 부족해서 외계생명체를 발견하지 못했을뿐이지 100프로 일반 생명체뿐 아니라 지적 생명체 또한 우주 어딘가엔 반드시 존재한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 @user-yw8ns2ww2u
    @user-yw8ns2ww2u Před 2 hodinami

    부칸이 저런정부인데 우리네 좌빨은 그수령을 모시려고 오늘도 충성 맹세를한다.

  • @yuantsusheng3180
    @yuantsusheng3180 Před 2 hodinami

    2.500킬로면 뭐해? 어차피 몇일 안갈거 같그만..

  • @yakuza9392
    @yakuza9392 Před 2 hodinami

    상용화 돼도 근육만 이식하는거면 문제 생길듯 인간 근육의 17배인데 그 부하를 연부조직이 어케 버텨..

  • @user-zc7fh5kc6s
    @user-zc7fh5kc6s Před 2 hodinami

    차내부 다보이는 블박 생기지 얺는이상 중립

  • @ymkim142
    @ymkim142 Před 2 hodinami

    그래서 어떤 회사인데요 ㅠㅠ

  • @user-vz5jv9ev3b
    @user-vz5jv9ev3b Před 2 hodinami

    정치인은 목적을 달성 하기위해 모두 없ㅇㅐ도 자신의 소중함만을 취하는 권력자 로써 살아간다

  • @ilovekorea1294
    @ilovekorea1294 Před 2 hodinami

    백령도에서 13분만이 빠른 건가? 글쎄... 나는 모르겠다. 지휘보고하고 승락하고 그 절차가 있어서 그랬나? 글쎄... 탸약도 보급받고? 다른 지역이였으면 몰라도 백령도에서는 13분의 반격은 쫌.... 평소 이럴 가능성을 예상하고 대비훈련을 했다면 더 빨랐을 거다! 나 26사단 기계화부대에 근무했었는데 훈련 진짜 많았다. 대대장이 바뀌고 훈련을 하는데 조종사들이 더블백과 군장들을 짊어지고 장갑차로 뛰는 모습을 지켜보시고는 조종사들은 비상시 소총만 들고 무조건 장갑차로 뛰라고 하셨고 조종수 군장을 담당하는 병사를 지정해서 더블백에 때려박고 장갑차에 가져가라고 바꾸었다. 그리고 기존에는 조종수들이 군장을 장갑차 외부에 달았는데 그것도 하지말라고! 일단 장갑차에 때려박고 출동 후 무전대기 할 때 군장을 소총수들이 직접달라고 장갑차에 군장의 위치도 세세하게 정해주는 것으로 바꾸셨다. 그렇게하니까 진짜 시간이 엄청 단축되더라! 나는 자주포에 대해서 잘 모르지만 5분대기조를 해본 결과 백령도같은 특수한 최전방에서는 5분대기 못지않은 훈련과 시스템을 만들었어야되는 거 아닌가? 아니 그럼 백령도는 13분간 쳐맞다가 반격하는 시스템이야? ㅎㅎㅎㅎㅎ 즉각반응 시스템을 만들었어야한다! 내 생각에는! 적어로 백령도! 백령도에서는!! 백.령.도에서는! 백령도같은 곳에서는!

  • @user-if8ob9rx2m
    @user-if8ob9rx2m Před 2 hodinami

    비싼 중국물건사는분계신가요? 잠깐쓰다버릴물건이나사지요 중국은 이런짖만안하면 훨 믿음이갈텐데

  • @SALALA31
    @SALALA31 Před 3 hodinami

    이런 건 조용한 정치 환자들과 정치인들

  • @user-rj2vn5to2r
    @user-rj2vn5to2r Před 3 hodinami

    왜구 열도 더 떨어가 나가서 미국 가까이 가라

  • @user-xv2hd2ds5x
    @user-xv2hd2ds5x Před 3 hodinami

    진정한 애국자네요. 존경합니다.

  • @user-dm6tt9dd2l
    @user-dm6tt9dd2l Před 3 hodinami

    근거는 있는 얘긴가요? 하

    • @user-ul4ju6hh9d
      @user-ul4ju6hh9d Před 2 hodinami

      전쟁이 소설이냐ㅉㅉ

    • @user-ul4ju6hh9d
      @user-ul4ju6hh9d Před 2 hodinami

      진짜 이야기겠지 에휴

    • @user-ri2jr3jk6y
      @user-ri2jr3jk6y Před 2 hodinami

      하긴 이런애들 6.25때 방산비리도 않믿더라

    • @user-lh8ed2bw4f
      @user-lh8ed2bw4f Před 51 minutou

      그 근거가 있어 저 장교 처벌받았을거임 팔만대장경지켰단이유로

  • @guyverpae4094
    @guyverpae4094 Před 3 hodinami

    의성도 좀 저렇게 합시다. 무조건 의성마늘이 최고라고 고집하지 말고 좀 합시다.

  • @user-hi8jd3bt9m
    @user-hi8jd3bt9m Před 3 hodinami

    그럼 오랜 시간 지나면 자연히 일본 바다가 되네요 ㅠ

  • @coolzenjo
    @coolzenjo Před 3 hodinami

    저런거 하는데 경주면허가 있는 시민이 운전해야하나? ㅋㅋ

  • @Beubelove
    @Beubelove Před 3 hodinami

    요즘 해병들은 초탄 3분 이내에 뜬다더라

  • @user-ti8mc1we6p
    @user-ti8mc1we6p Před 3 hodinami

    이승만 클래스 오지네.

  • @user-fi4rs1rm2r
    @user-fi4rs1rm2r Před 3 hodinami

    ❤😂😂😂😂😂

  • @JJ-yk6ju
    @JJ-yk6ju Před 3 hodinami

    저것도 하고 이것저것 다 해보던가. 효과가 있으면 존나 지어서 존나 지었습니다 하면 되잖아. 전기 먹는 건 원자력으로 해결하면 되는 거고. 원자력이 가장 친환경적인 에너지 생산방식임.

  • @user-ti9pi4kl7m
    @user-ti9pi4kl7m Před 3 hodinami

    에구.북한.추종자들.은.남쪽이.다.똑같은.쓰래기들. 인민군.싹.쓸히.합시다

  • @user-os5te4eh8y
    @user-os5te4eh8y Před 3 hodinami

    국과수는 뭐 했나...??? 해 보기는 했나....???

  • @user-gy3ub5vk2o
    @user-gy3ub5vk2o Před 3 hodinami

    팔아서 드셧으면 인정좀 하세요..

  • @user-jv9eu1tf3z
    @user-jv9eu1tf3z Před 3 hodinami

    잘 보고 갑니다.유익하군요

  • @sungbokahn
    @sungbokahn Před 3 hodinami

    저것들은 달까지 가서 파괴를 하고 있네…

  • @user-dp7uv3rh3f
    @user-dp7uv3rh3f Před 3 hodinami

    기계화해서 생산비용이 절감되면 소비자에게도 혜택이 와야될텐데 왜 물가는 오르기만하나요

  • @user-pw3hp8tv6r
    @user-pw3hp8tv6r Před 4 hodinami

    실리콘밸리 전쟁

  • @user-pw3hp8tv6r
    @user-pw3hp8tv6r Před 4 hodinami

    사병월급 300만원 지급하라